명· 청 시대 호광 소수민족 지역의 토사와 국가 권력, 1368~1735
한족(漢族)의 그늘에 가려진 중국 소수민족의 역사는 그 자체로서 대단히 흥미로운 주제다. 특히 호광(湖廣) 지역 소수민족의 역사적 의의는 제법 분명하다. 이 책의 연구 목표는 명(明) 왕조 성립부터 청 옹정(雍正) 연간(1723~1735)에 시행된 개토귀류(改土歸流) 직전 시기까지 호광 토사(土司)와
한족(漢族)의 그늘에 가려진 중국 소수민족의 역사는 그 자체로서 대단히 흥미로운 주제다. 특히 호광(湖廣) 지역 소수민족의 역사적 의의는 제법 분명하다. 이 책의 연구 목표는 명(明) 왕조 성립부터 청 옹정(雍正) 연간(1723~1735)에 시행된 개토귀류(改土歸流) 직전 시기까지 호광 토사(土司)와
이 책은 북조시대 북위와 동위·북제, 서위·북주의 지방통치를 분석한 연구서이다. 이민족이 세운 북조 여러 왕조들이 문화와 경제적으로 다른 한인(漢人, 중국인)들의 거주지인 화북(華北) 지역을 어떻게 통치했는지를 분석하였다. 지방통치를 주제로 삼았지만, 북조 여러 왕조의 흥망과 정치사, 전쟁사 등도
전통 시기 한국의 철학, 종교, 예술, 과학 등 여러 문화요소들의 역사를 연구하면서 접하게 되는 문제 한 가지가 ‘한국사에서의 중국의 문제’이다. 전통 시기 한국의 사상, 기물(器物), 실행, 경향 등 많은 것들이 중국의 것이거나 중국에서 기원한 것이며,
한국학술협의회, 대우재단과 조선일보가 「중국 문명의 다원성과 보편성」이라는 주제로 주최했던 ‘2012 제14회 석학연속강좌’에서 발제했던 논문과 강연 등을 엮어 단행본으로 발간하였다. 천라이[陳來] 중국 칭화대학교 국학연구원 원장과 거자오광[葛兆光] 푸단대학교 문사연구원 원장과의 대담 및 글을 통해 중국 문명의 정체성과
알타이 언어에 대한 일반 언어학적 접근의 필요성’, ‘절멸 위기에 처한 언어에 대한 연구와 문서화’라는 관점에 입각하여 현지조사를 통해 얻은 자료를 기술하고 분석한 자료를 제시한 책. 중국의 다구르어와 어웡키어의 문법과 어휘를 연구하고 있다. 기초 회화에도 도움을
세계적인 지역학으로 성장한 ‘돈황학’에 대한 체계적이면서도 상세한 분석을 담고 있다. 돈황학 전문 연구가인 지은이는 이 책에서 중국인의 시각에서 영국, 프랑스, 일본, 러시아 등 세계 각지에 분포해 있는 돈황 관련 자료와 연구를 집대성하여 저술해 돈황학 전반에
중국역사의 형성과정에서 유가사상, 도가사상에 못지않은 공헌을 수행한 법가사상에 대한 연구서. 군주만이 장악하는 최고 고유의 통치권인 “세”, 냉철한 이성과 합리성으로 신하, 관료들을 평가하는 군술인 “술”, 모든 계급과 계층을 초월하여 공정, 공평하게 시행되는 성문법 “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본 웹사이트는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해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합니다. 이를 위반 시 정보통신망법(제50조의 2)에 의해 형사 처벌될 수 있음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