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인스님

법인스님의 사사건건 13

온 몸으로 한소식한, 삶의 고수들이 있다 월요일 풍경 실상사의 아침 울력. 사진 조현 기자 실상사에서는 매일 오전 8시 30분 ‘하루를 여는 법석’이 열린다. 절에 거주하는 출가와 재가 수행자들이 둥글게 모여 예불을 올린다. 이어 경전 낭독과

자세히 보기

법인스님의 사사건건 12

다이아몬드 뒤엔 소년의 피눈물이 숨어있다네 Photo by Arjiv Exports from Pexels 지난 수요일 농장 운력은 다른 때보다 보람과 의미가 있었습니다. 겨울맞이 김장을 위해 무를 뽑고 고추밭을 정리했습니다. 그리고 음식 나눔으로 한 해 농사를 마무리하는 감사를

자세히 보기

법인스님의 사사건건 11

실상사 마스코트 개, 다동이에게도 불성이 있는가 다동 이야기 조주 선사(778~897)에게 어느 스님이 물었다.  “개에게도 부처의 마음이 있습니까? 없습니까?”  조주 선사가 답했다.  “없다”   이 문답을 두고 후대의 무문 선사(1183~1260)는 다음과 같이 평했다.  “선(禪)을 참구함에 있어 옛

자세히 보기

법인스님의 사사건건 10

삶도 죽음도 늙음도 젊음도 빛나라 21세기 약사경을 만들다 전북 남원 지리산 실상사 경내. 사진 조현 기자 은행나무와 감나무가 사이 좋게 빛나는 극락전 뜨락이 한가롭고 넉넉하다. 올 여름 장마 때문에 극락전 처마 아래가 많이 패였다. 노스님

자세히 보기

법인스님의 사사건건 9

원수였던 외등이 고마운, 변화무쌍 이 내 마음 일체유심조 실상사 경내에서 뛰어노는 아이들 문득 고개를 들어보니 청명한 하늘이다. 옷소매에 스미는 초록 바람의 기운이 제법 서늘하다. 아하! 어느덧 추고마비(秋高馬肥)의 계절이네. 이런 날에는 면벽 좌선도 억지스럽고 독서도 시들하다.

자세히 보기

법인스님의 사사건건 8

간달프의 편지 지리산 도보 순례길에서 실상사작은학교 아이들 <한겨레 휴심정 제공> 그동안 모두들 안녕!  나는 간달프 선생이다. 이제 더위도 기운을 잃어가고 있는 것 같구나. 아침 저녁은 선선하고 밤에는 조금 춥기도 하다. 산에 밤도 제법 모양새를 잡아가고

자세히 보기

법인스님의 사사건건 7

밥주지 차주지 놀아주지 걸어주지 <한겨레 휴심정 제공> 절집 소임 중에 주지가 있다. 절의 대표자인 셈이다. 이십대 초반 시절, 계룡산 신원사에서 천일 기도 정진을 하고 있었다. 어느 날 아침 일찍, 절 대표 전화가 울렸다. “여보시유~ 거기

자세히 보기

법인스님의 사사건건 6

적막한 산중에선 무슨일을 하고 사는가 <한겨레 휴심정 제공> <한겨레 휴심정 제공> “스님, 지금 저희들과 차를 마시고 있는 시간 밖에서는 어떻게 지내십니까?” 칼끝이 뾰쪽한 말 한 마디. 진검 승부의 기운이 감지된다. 내가 즉각 답한다. “수시(隋時)- 그때

자세히 보기

법인스님의 사사건건 5

산승의 방문 안은 이렇습니다 출가 이후 나름의 규칙을 정했다. 방에 열쇠를 채우지 않는다. 그리고 텔레비전을 들여놓지 않는다. 이 둘은 지금까지 잘 지키고 있다. 방에 열쇠를 사용하지 않겠다는 이유는, 먼저 산사의 방에 열쇠가 잠겨있는 풍경이 아름답지도

자세히 보기

법인스님의 사사건건 4

노스님은 한마디 말이 없이 일만하지만 실상사 경내에서 일을 하는 노스님 지리산에 오시면, 노고단과 백무동이 갈라지는 곳에 자리잡은 실상사에 오시면, 고요하고 단아한 풍경을 볼 수 있습니다. 나무들이 어우러진 숲의 풍경이 아닙니다. 화려한 꽃들이 형형색색 어우러진 꽃밭의

자세히 보기

도서
검색

Daewoo Foundation Library

대우재단 총서 검색

대우재단에서 연구/출판 지원한 모든 도서를 한 곳에서 검색하실 수 있습니다.
바로가기

대우재단 총서 전체 태그

Dtalk 가무희 가족제도 가축 갈릴레오 갑골문자 갑골학 개인주의 건축학 견문기 경영학 경제 경제학 계량경제학 계몽주의 고고학 고구려 고대 고려 고분 고전 고전주의 고진하목사시인 공학 과거제도 과학 과학기술 과학혁명 관료제도 광물학 교육 교육학 구조주의 국가 국경 국방 국제 그리스 근대 금속공예 금융 기독교 기록물관리 기하학 기호 기후변화 기후학 김우중의료봉사상 김우중의료인상 김유석교수 꿈과휴 남미 남성 낭만주의 노예제도 논리학 농업 농학 니체 다문화주의 다산정약용 다산학 대기 대동서 대우고전총서 대우꿈동산 대우재단 대우학술총서 대학 대한제국 데이비드흄 데이터베이스 데카르트 도교 도시 도시공학 독일 동력 동물학 동물행동학 동북아시아 동아시아 동양 동양철학 라틴아메리카 랑케 래모음집 러시아 러시아어 레이저 로마제국 르네상스 리만 마르크스 마리드프랑스 마키아벨리 막스베버 만엽집 맥시멀리즘 메가라학파 메커니즈즈즘 목민심서 몽고 몽고제국 무역 묵자 문명 문명의기원 문자 문학 문헌정보 문화 문화유물론 문화인류학 물리주의 물리학 미국 미니멀리즘 미술 미학 민족 민주주의 바나흐 바도모리 발굴 발해 방언 백제 법인스님 법학 베이컨 베트남 벽화 보수주의 복지국가 봉건제도 분광학 분자물리학 불교 비교문학 비교언어학 비교종교학 비교학 비트겐슈타인 사회 사회계급 사회과학 사회인류학 사회주의 사회학 산업혁명 산업화 삼국시대 상문명 상주사 생리학 생명공학 생명과학 생물 생물학 생체에너지 생체화학 생태학 생화학 샤머니즘 서교 서양 서양미술 서양철학 서장원교수 서재필 서학 서학사 세계화 소설 소재공학 소크라테스 수산업 수학 스탕달 스페인 슬라브어 시민인문학강좌 시베리아 시베리아개발 시장 시장경제 시카고학파 식문화 식물학 신경 신경과학 신동흔 신라 신약성서 신화 실용주의 실증주의 실학 심리 심리학 아담스미스 아동심리학 아랍 아시아 아우구스티누스 아트선재센터 안보 알타이어 암각화 양명학 양자 양자물리학 양자역학 양자학 어원론 언어 언어학 엔트로피 여성 여속사 역사 역사언어학 역사주의 역사학 역학 열역학 영국 영국혁명 영양학 영어 예술 온난화 외교 외교학 우주과학 우주의기원 운동 원철스님 유교 유기물 유기물질 유기화학 유라시아 유럽 유럽연합 유재건 유전자 윤리 윤리학 윤주옥 은대 음악 음악학 음운학 음파 음향학 응용과학 응용화학 의복문화 의상 의식주 의학 이론 이론물리학 이성 이슬람 이슬람교 이승종교수 인간주의 인공지능 인도 인류학 인문학 인상주의 인식론 인지심리학 일본 일본어 입자물리 자본주의 자연과학 자유주의 재료공학 전기 전라북도 전쟁 전통 전파 절대주의 정다산 정보통신 정보통신기술 정책 정치학 제1차세계대전 제3세계 제국 제국주의 제주도 조선 조형미술 존스튜어트밀 종교 종교학 종말론 종족제도 주거문화 죽음의춤 중국 중국어 중동 중미 중상주의 중세 중화사상 지구과학 지능 지도 지리 지리학 지명 지방 지방행정 지식의지평 지역 지역발전 지질학 진화론 진화심리학 진화학 천문학 천체물리학 철학 청나라 체계이론 체육 총론 춘추전국시대 충청남도 카시러 칸트 컴퓨터 컴퓨터공학 케인즈 쿤스트할오르후스 토지 토지소유 토텐탄츠 톰삭스 통계학 통신사 파장 포스트모더니즘 포스트모던 포스트휴먼 폴리스 풍속 풍수사상 풍수설 프랑스 프랑스혁명 프래그머티즘 프로이트 플라톤 피카레스크 하이에크 학술연구지원 한국 한국도자제작기술사 한국어 한국의정원 한글 한자 합성소재 해석학 해양법 핵물리학 행정 향약 헬레니즘 혁명 현대 현상학 형이상학 호남실학 홍대용 화엄사상 화학 화학공학 환경 환경공학 환경과학 후설 훈민정음 희곡 희극 힉스입자 힐버트
Scroll to Top
Scroll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