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묵, 김문식, 옥영정 지음; 이강한 번역; Sem Vermeersch 편집
2010/12/31
276 페이지
30,000 원
아카넷
ISBN 978-89-5733-197-2 94910

Kyujanggak 1/2

Author(s)

이종묵, 김문식, 옥영정 지음; 이강한 번역; Sem Vermeersch 편집

Biography

Lee Jongmook 이종묵
Professor,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n Hanmun Literature, Literary Space in the Joseon Dynasty, Reading Korean Poems in Classical Chinese

Kim Moonsik 김문식
Professor, Department of History, Dankook University, History of the Joseon Dynasty, King Jeongjo’s Learning on Kingship, King Jeongjo’s Studies on Chinese Classics and the Learning of Master Zhu Xi, The Education of the Crown Prince in the Joseon Dynasty

Ok Youngjung 옥영정
Associate Professor, Graduate School of Korean Studies,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Bibliography, The Cultural History of Books in the Joseon Period(co-author), Encyclopedic Knowledge in the Joseon Dynasty

English Translation by Lee Kanghahn 이강한 번역
Assistant Professor, Graduate School of Korean Studies,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Economic History of the Goryeo Dynasty
“Trade between the Goryeo dynasty and the Mongol Yuan Empire, and the Nature of this trade, in the 13th-14th centuries”(Doctoral Dissertation)

Copy-editor Sam Vermeersch
Associate Professor, Department of Religious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History of Korean Buddhism, The Power of the Buddhas: The Politics of Buddhism during the Koryeo Dynasty(918-1392)

Abstract

It has been suggested that in order to clarify the duty and functions of Gyujanggak once again, we should take a comprehensive look upon the past and present of Gyujanggak and reevaluate the historical and cultural meaning of all the books currently in custody. So a plan for a series of publications entitled “The History and Culture of Gyujanggak” was established in September 2008, and a decision was made to publish English versions of the individual installments as well, as introduction pieces for foreign readers which would allow them to understand the history and collection of Gyujanggak. As part of such efforts, “Gyujanggak: Rediscovering its History and Culture” and “Gyujanggak and the Cultural History of Books” were published in August 2009, and now we present you with the English versions of those publications.

For most people, the name Kyujanggak is immediately associated with the intrigues and splendor of the Joseon court, with venerable books and documents and the masterpiece of historical record keeping that is the “Veritable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 Unfortunately, however, beyond a small circle of specialists, most people are unaware of the sheer variety of documents and books that can be found here and the checkered history of this royal library. Kyujanggak reflects the late pre-modern and modern history of Korea, as it evolved from repository of royal writings to the centerpiece of Confucian statecraft, from imperial library of the Daehan empire to state of the art archive and research center. This series aims to introduce the collection to a wider audience, offering accessible yet accurate information on the collection and how it was formed. For the first time, it offers an English-speaking audience in-depth access to the treasures that can be found here and their cultural significance.
Kyujanggak: Rediscovering its History and Culture is a historical overview of the development of Kyujanggak during the Joseon period(1392-1910). Originally intended only as a place to store writings by kings(“Kyujang” is a term for royal compositions), in 1776 King Jeongjo reinvented it as a research institute to foster the mosttalented and dedicated scholar officials. Hence its collections expanded vastly, and at this time Kyujanggak also started to publish books. In the last years of the dynasty, it became the imperial library of the Daehan empire, and at this time many works on Western science and history were acquired.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encroachment and colonization, more books were added from regional archives, and after liberation, the collection continued to expand through personal donations.
The richness and variety of the collection is amply illustrated in Kyujanggak and the Cultural History of Books, which introduces more than 200 examples of books, documents, maps, and paintings. This work not only explains the works’ contents and significance, but also how they were produced and circulated. Besides the famous “veritable records”(sillok) and ritual manuals(uigwe), there are also Buddhist works, medical manuals, maps of the whole country or of local counties, literary works, land ledgers, diplomatic correspondence, etc. In short, through this book it becomes clear that the Kyujanggak collection is a vital window into Korea’s pre-modern and early modern history.
Both works were authored by eminent researchers of Kyujanggak and other institutions, who share their intimate knowledge of the collections and their history with the reader.

Table of Contents

1권 Kyujanggak and the Cultural History of Books
Part 1 The Creation and Circulation of Documents
Part 2 The Accumulation and communication of Knowledge
Part 3 The History and Culture of Kyujanggak
Index

Gallery

도서
검색

Daewoo Foundation Library

대우재단 총서 검색

대우재단에서 연구/출판 지원한 모든 도서를 한 곳에서 검색하실 수 있습니다.
바로가기
2010/12/31
아카넷 출판
46배판 B5 188x257mm
276 페이지
30,000원
ISBN 978-89-5733-197-2 94910

관련 총서

대우재단 대우학술총서 제74권 중국희곡 written by 양회석 and published by 민음사 in 1994

중국희곡

이 책은 중국 희곡에 대한 최초의 총체적인 저술이다. 戱曲은 중국 고유의 연극 양식을 가리키는데, 이것은 중국인의

대우재단 대우학술총서 제602권 한국현대소설과 근대적자아의식 written by 문광훈 and published by 아카넷 in 2010

한국현대소설과 근대적자아의식

근대적 의미의 자아-개인-주체가 어떻게 생겨나고 어떻게 파악되었으며 이러한 이해가 어떤 경로를 통해 변하면서 펼쳐졌는가라는 관점에서 한국

대우재단 대우학술총서 제44권 스페인문학사 written by 김현창 and published by 민음사 in 1990

스페인문학사

유럽 문화권에 속해 있으면서도 그 소개가 미진했던, 『돈키호테』의 스페인 문학에 대한 개설서로, 우리의 문학적 인식과 지평의

대우재단 대우고전총서 제30권 자연에서의 의지에 관하여 written by 김미영 and published by 아카넷 in 2012

자연에서의 의지에 관하여

쇼펜하우어가 경험과학의 연구결과를 통해 자신의 철학을 증명하는 책이다. 쇼펜하우어는 1818년에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를 출간한 이후 자연과학을

대우재단 총서 전체 태그

Dtalk 가무희 가족제도 가축 갑골문자 갑골학 강철웅 개인주의 건축학 견문기 경영학 경제 경제학 계몽주의 고고학 고구려 고대 고려 고분 고전 고전주의 고진하목사시인 공학 과학 과학기술 관료제도 광물학 교육학 구조주의 국가 국방 국제 규장각대우 그리스 근대 금속공예 금융 기독교 기록물관리 기하학 기호 기후학 김백철 김우중의료봉사상 김우중의료인상 김유석교수 꿈과휴 남미 남성 낭만주의 노예제도 노화도 논리학 농업 농학 니체 다문화주의 다산정약용 다산학 대동서 대우고전총서 대우꿈동산 대우재단 대우학술총서 대한제국 데이비드흄 데이터베이스 데카르트 도교 도시 도시공학 독일 동물학 동물행동학 동북아시아 동아시아 동양 동양철학 라틴아메리카 랑케 래모음집 러시아 러시아어 레이저 로마제국 르네상스 리만 마르크스 마리드프랑스 마키아벨리 막스베버 만엽집 맥시멀리즘 메가라학파 메커니즈즈즘 목민심서 몽고 몽고제국 무역 묵자 문광훈 문명 문명의기원 문자 문학 문헌정보 문화 문화유물론 문화인류학 물리주의 물리학 미국 미니멀리즘 미술 미학 민족 민주주의 바나흐 바도모리 박지향 발굴 발해 방언 백제 법인스님 법학 베트남 벽화 병자호란 보수주의 복지국가 봉건제도 분광학 분자물리학 불교 비교문학 비교언어학 비교종교학 비교학 비트겐슈타인 사법품보 사회 사회계급 사회과학 사회인류학 사회주의 사회학 산업혁명 산업화 삼국시대 상문명 상주사 생리학 생명공학 생명과학 생물 생물학 생체에너지 생태학 생화학 샤머니즘 서교 서양 서양미술 서양철학 서장원교수 서재필 서학 서학사 세계화 소설 소재공학 소크라테스 소피스트 수산업 수학 스탕달 스페인 슬라브어 시민인문학강좌 시베리아 시베리아개발 시장 시장경제 시카고학파 식문화 식물학 신경 신경과학 신동흔 신라 신약성서 신화 실용주의 실증주의 실학 심리 심리학 아담스미스 아동심리학 아랍 아리스토텔레스 아시아 아우구스티누스 아트선재센터 안보 알렉산드르게르첸 알타이어 암각화 양명학 양자 양자물리학 양자역학 양자학 어원론 언어 언어학 엔트로피 여성 여속사 역사 역사언어학 역사주의 역사학 역학 열역학 영국 영국혁명 영어 예술 완도 외교 외교학 우주과학 우주의기원 원철스님 유교 유기물 유기물질 유기화학 유라시아 유럽 유럽연합 유재건 유전자 윤리 윤리학 윤주옥 은대 음악 음악학 음운학 음파 음향학 응용과학 응용화학 의복문화 의상 의식주 의학 이론 이론물리학 이성 이슬람 이슬람교 이승종교수 인간주의 인공지능 인도 인류학 인문학 인상주의 인식론 인지심리학 일본 일본어 입자물리 자본주의 자서전 자연과학 자유주의 재료공학 전기 전라북도 전쟁 전통 전파 절대주의 정다산 정보통신 정보통신기술 정책 정치학 제1차세계대전 제3세계 제국 제국주의 제주도 조선 조형미술 존스튜어트밀 종교 종교학 종말론 종족제도 주거문화 죽음의춤 중국 중국어 중동 중미 중상주의 중세 중화사상 지구과학 지능 지도 지리 지리학 지명 지방 지방행정 지식의지평 지역 지역발전 지질학 진화론 진화심리학 진화학 천문학 천체물리학 철학 청나라 체계이론 체육 총론 춘추전국시대 충청남도 카시러 칸트 컴퓨터 컴퓨터공학 케인즈 쿤스트할오르후스 크로스토크 토지 토지소유 토텐탄츠 톰삭스 통계학 통신사 파장 포스트모더니즘 포스트모던 포스트휴먼 폴리스 풍속 풍수사상 풍수설 프랑스 프랑스혁명 프래그머티즘 프로이트 플라톤 하이에크 학술연구지원 학술지원사업 한국 한국도자제작기술사 한국어 한국의정원 한글 한자 합성소재 해석학 해양법 핵물리학 행복나눔섬지역센터 행정 향약 헬레니즘 혁명 현대 현상학 형이상학 호남실학 홍대용 화엄사상 화학 화학공학 환경 환경공학 환경과학 후설 훈민정음 희곡 희극 힉스입자 힐버트
Scroll to Top
Scroll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