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찬국 서울대학교 철학과 교수
백종현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한국포스트휴먼학회 회장
박충식 U1대학교 아산캠퍼스 스마트IT학과 교수
손화철 한동대학교 교양학부 철학과 교수
정원섭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책임연구원
하대청 광주과학기술원 기초교육학부 과학기술학 교수
Abstract
2016년 다보스 포럼에서 유행하기 시작한 4차 산업혁명에 대한 담론이 봇물을 이룬다. 4차 산업혁명이 가져올 변화가 어떤 방식으로 전개될지는 인공지능 및 디지털 신기술의 발전과 수용을 둘러싼 불확실성 때문에 누구도 명확하게 예측할 수 없다. 특히 4차 산업혁명으로 말미암아 인간의 노동이 종말을 고할지도 모른다는 위기감은 포스트휴먼 사회가 도래하면서 야기할 인간 사회의 여러 문제들에 대한 각별한 접근과 대안을 요구한다. 이 책은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한국포스트휴먼연구소, 한국포스트휴먼학회,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등 세 연구기관이 펴낸 공동연구 결과물이다.
Table of Contents
1장 제4차 산업혁명과 사회 윤리적 과제 – 백종현
1. 산업혁명과 사회 변동_ 25
2. ‘제4차 산업혁명’의 성격과 포스트휴먼 사회의 도래_ 31
3. ‘제4차 산업혁명’이 야기하는 문제들과 새로운 사회 규범의 필요성_ 34
1) 노동 기반 소득 체제의 와해에 따른 소득 구조 재편의 문제_ 35
2) 의생명과학기술의 진보와 생명 윤리 문제_ 48
2장 제4차 산업혁명과 함께 인간은 더 행복해질 것인가?- 박찬국_ 59
1. 제4차 산업혁명과 기술적 존재이해_ 59
2. 인간이란 어떤 존재인가_ 75
3. 행복이란 무엇인가_ 84
4. 시적 존재이해_ 88
5. 제4차 산업혁명과 행복_ 91
3장 지속가능한 발전과 제4차 산업혁명 담론 – 손화철_ 99
들어가며_ 99
1. 제4차 산업혁명과 기술예보_ 102
1) 제4차 산업혁명의 정의와 특징_ 102
2) 인공지능과 기술의 자율성_ 104
3) 자연이 된 기술_ 106
4) 무력한 인간상_ 107
2. 지속가능한 발전과 기술의 도구성_ 110
1) 지속가능한 발전 개념의 역사_ 110
2) 유엔의 지속가능발전목표_ 112
3) 기술의 도구성_ 115
4) 지속가능발전의 한계_ 118
3. 새로운 기술 이해의 모색 : 자연과 도구 사이_ 119
1) 호모 파베르의 역설_ 119
2) 우리는 어떤 인간이고 싶은가?_ 121
3) 지속가능발전 개념의 확대 해석_ 124
4. 목적이 이끄는 기술 발전 정책_ 124
1) 과학기술 개발의 정당화를 위한 노력_ 125
2) 국제적인 기술 거버넌스 구축의 필요성_ 127
3) 현실성 점검: 기술 견인의 사례들_ 128
나가며_ 129
4장 생명과 몸과 마음의 존재로서의 인공지능 – 박충식_ 131
1. 인공지능의 구현 기술 비판_ 133
2. 자율적 인공지능_ 141
3. 제4차 산업혁명에서의 인공지능_ 154
5장 웨어러블 자기추적 기술의 각본과 윤리: 초연결 시대의
건강과 노동 – 하대청_ 157
1. ‘제4차 산업혁명’, 초연결 사회, 그리고 자기추적_ 157
2. STS와 웨어러블 자기추적 기술의 각본_ 161
3. 재각본화 (1): 건강관리와 ‘디지털 넛지 기술’_ 166
4. 재각본화 (2): 노동관리, 테일러주의, ‘친밀한 감시’_ 174
5. 초연결 사회의 윤리: 기술의 배치들에 질문하기_ 180
6장 제4차 산업혁명과 기본소득 – 정원섭_ 185
1. 네 가지 규범적 영역_ 185
1) 사회철학의 영역: 실업과 불평등_ 188
2) 도덕철학의 영역: 인간성_ 189
3) 인공지능의 윤리: 인공 바보, 편견 로봇, 안전성, 악의 정령_ 190
4) 거버넌스의 영역: 특이성과 로봇의 권리_ 192
2. 복지냐 정의냐?_ 193
1) 복지국가의 연원_ 193
2) 자유주의 정치철학의 네 가지 유형: 정의관을 중심으로_ 197
3) 기본소득_ 201
3. 사회적 안전장치로서 기본소득_ 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