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대진
서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플라톤의 『향연』 연구로 석사 학위를, 호메로스의 『일리아스』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국민대학교 및 홍익대학교 겸임교수를 지냈으며, 현재 정암학당 연구원으로 활동 중이다. 지은 책으로 『옛사람들의 세상 읽기, 그리스 신화』, 『세계와 인간을 탐구한 서사시 오뒷세이아』, 『호메로스의 『일리아스』 읽기』, 『호메로스의 『오뒷세이아』 읽기』, 『그리스 로마 서사시』, 『비극의 비밀』, 『잔혹한 책 읽기』, 『신화와 영화』, 『신화의 세계』 등이 있으며, 옮긴 책으로 『아르고 호 이야기』, 『아폴로도로스 신화집』, 『오이디푸스 왕』, 『사물의 본성에 관하여』, 『신들의 본성에 관하여』 등이 있다.
강성훈
서울대학교 철학과에서 학사와 석사 학위를 받고 프린스턴 대학교 철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인제대학교 인간환경미래 연구원 연구교수를 역임했고, 현재 서울대학교 철학과에 재직 중이며 정암학당 연구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플라톤의 『국가』에서 선분 비유와 동굴 비유」, 「고대 그리스어 einai에 해당하는 한국어는?」, 「아리스토텔레스는 존재사와 계사를 구분하였는가?」, 「플라톤과 예시논증」, 「플라톤의 『국가』에서 정의와 강제」, 「『파이돈』에서 대중적인 시가와 뮈토스」 등의 논문을 출간하였으며, 지은 책으로 『서양고대철학 1』(공저), 『고대 그리스철학의 감정이해』(공저)에서 「스토아 감정이론에서 감정의 극복」, 『마음과 철학』(공저)에서 「플라톤: 영혼의 세 부분」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플라톤의 『프로타고라스』와 『에우튀프론』 등이 있다.
김유석
숭실대학교 철학과에서 학사와 석사 학위를 받고 파리 1대학교-팡테옹-소르본에서 플라톤의 초기 대화편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숭실대학교 강사, 강릉원주대학교 학술연구교수를 거쳐 현재 정암학당 연구원이자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책임연구원으로 일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식물의 혼과 플라톤의 채식주의」, 「플라톤 혼 이론의 재음미」, 「소크라테스의 날과 파르메니데스의 돛」, 「해석과 전용의 사이에서」 등이 있다. 지은 책으로 『서양고대철학 1』 (공저), 『서양고대철학 2』(공저)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장바티트스 구리나의 『스토아주의』, 플라톤의 『티마이오스』 등이 있다.
김주일
성균관대학교 철학과 대학원에서 「파르메니데스 철학에 대한 플라톤의 수용과 비판」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성균관대학교와 청주대학교에서 글쓰기와 고전읽기 관련 강의를 하는 한편으로 정암학당 연구원이자 학당장으로 재직하면서 서양고대철학의 연구와 번역에 힘쓰며 고전강좌에 공을 들이고 있다. 지은 책으로 『소크라테스는 악법도 법이라고 말하지 않았다. 그럼 누가?』, 『서양고대철학 I』(공저), 『문명이 낳은 철학, 철학이 바꾼 역사 I』(공저)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는 『아빠와 함께 떠나는 철학여행』(공역),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자들 단편 선집』(공역), 플라톤의 『알키비아데스 I,II』(공역), 『에우튀데모스』, 『파이드로스』, 『편지들』(공역), 『법률』(공역) 등이 있다.
이강서
성균관대학교 철학과와 같은 대학교 대학원 철학과를 졸업했다. 1993년 독일 뮌헨대학교에서 플라톤 철학 주제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1996년 이래 전남대학교 철학과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2008년 9월부터 2009년 8월 까지 독일 튀빙겐대학교 방문교수를 지냈다. 주요 관심 분야는 서양고대철학과 형이상학이다. 지은 책으로 『플라톤 철학과 그 영향』(공저), 『생각하고 토론하는 서양철학 이야기 1: 고대―서양철학의 탄생』, 『철학, 문화를 읽다』(공저), 『철학의 전환점』(공저), 『죽음을 생각한다는 것―고대희랍의 죽음 이해』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대화의 철학 소크라테스』, 『진리의 현관 플라톤』, 『지중해 철학기행』, 『플라톤 철학과 헬라스 종교』, 『철학적 사유의 근본 주제들 1』 (공역) 등이 있다.
이기백
성균관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에서 『필레보스』를 중심으로 플라톤의 윤리학과 우주론 및 방법론을 연구하여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정암학당 이사이며 성균관대학교 초빙교수로 재직 중이다. 최근에는 플라톤의 윤리학과 정치철학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지은 책으로 『철학의 전환점』(공저), 『서양고대철학 1』(공저), 『아주 오래된 질문들: 고전철학의 새로운 발견』(공저)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자들의 단편 선집』(공역), 『히포크라테스 선집』(공역), 플라톤의 『크라튈로스』(공역), 『크리톤』, 『필레보스』, 『법률 1, 2』(공역) 등이 있다.
정준영
성균관대학교에서 플라톤의 『테아이테토스』연구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성균관대학교 초빙교수이자 정암학당의 연구원으로 있다. 서양 고대철학을 다루는 철학 논문과 호메로스의 서사시 및 그리스 비극에 대한 여러 편의 글을 발표했으며, 최근에는 고대 그리스 문화를 테마로 삼아 문사철을 아우르는 연구를 시도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플라톤 철학과 그 영향』(공저), 『서양고대철학 I』(공저), 『아주 오래된 질문들: 고전철학의 새로운 발견』(공저)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플라톤의 대화편 『알키비아
데스 I·II』(공역), 『테아이테토스』 등이 있다.
한경자
스토아 자연학 연구로 이화여자대학교 철학과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서울대학교 철학과 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브리티시컬럼비아 대학교(UBC) 철학과 방문학자를 역임했다. 현재 세종대학교 초빙교수로 재직하면서 서울대학교에 출강하고 있으며, 정암학당 연구원이자 연구실장직을 수행하고 있다. 플라톤 철학과 아리스토텔레스 철학, 헬레니즘 철학을 공부하고 있으며, 특히 서양 고대 후기 헬레니즘 철학인 스토아 철학 연구에 매진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 「언어와 존재」, 「스토아 혼합 논의」, 「초기 스토아 자연학에서 능동 근원의 물체성 연구」 등이 있으며, 옮긴 책으로 플라톤의 『라케스』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