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영석
2017/12/25
376 페이지
15,000 원
아카넷
ISBN 978-89-5733-582-6 03900

삶으로서의 역사

Author(s)

이영석

Biography

이영석
서양사학자.(영국사) 광주대 명예교수. 성균관대 사학과 및 동대학원을 졸업했다.(문학박사)
케임브리지 대학 클레어홀과 울프슨 칼리지 초빙교수를 지냈으며, 한국서양사학회와 도시사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2012년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 우수학자로 선정되었다.
그동안 19~20세기 영국 사회사, 노동사, 생활사, 사학사 분야의 많은 논문을 썼다.
저서로는 『산업혁명과 노동정책』(1994), 『다시 돌아본 자본의 시대』(1999), 『역사가가 그린 근대의 풍경』(2003), 『사회사의 유혹』(전 2권, 2006), 『영국 제국의 초상』(2009), 『공장의 역사: 근대 영국사회와 생산, 언어, 정치』(2012), 『지식인과 사회: 스코틀랜드 계몽운동의 역사』(2014), 『역사가를 사로잡은 역사가들』(2015), 『영국사 깊이 읽기』(2016), 『삶으로서의 역사』(2017), 『유럽의 산업화와 노동계급』(공저, 1997)이 있고, 번역서로 『영국민중사』(1988), 『역사학을 위한 변론』(1999), 『옥스퍼드 유럽 현대사』(공역, 2003), 『자연과학을 모르는 역사가는 왜 근대를 말할 수 없는가』(2004), 『잉글랜드 풍경의 형성』(2007) 등이 있다.

Abstract

한국 사회에서 전근대와 근대, 탈근대를 가로지르는 풍경은 도처에서 발견할 수 있다. 압축적 근대의 서사에는 단절과 혼란, 갈등이 점철되어 있을 것이다. 이러한 시대를 살아온 어느 지식인, 그것도 한 세대 이상 역사연구를 해온 역사가의 삶이라면 거기에는 조금 더 주목할 부분이 있지 않을까 싶다. 객관적 진실이라는 도달할 수 없는 꿈을 향해 부단히 노력하는 존재가 역사가라고 할 때, 우리는 한국 사회에서 그의 생애와 지성사가 펼치는 풍경에 곡진한 사연이 담겨 있으리라 짐작해 볼 수 있다.

1953년생인 저자는 논문과 저술, 번역 등 여러 방면에서 국내 서양사학계의 내로라하는 학자로 손꼽힌다. 30년 이상, 영국 사회사, 경제사, 노동사, 사상사, 제국사, 비교사 등을 연구하면서 영국사를 중심으로 연구의 지평을 지속해서 넓혀왔다. 역사가 조지 트리벨리언의 표현을 빌자면 “기쁨을 경멸하고 근면한 날들을 살아”온 학자이며 “그의 온 생애를 만족스럽게 소진하며, 매일 아침 연인처럼 열심히 도서관과 문서고로 다가선” 학자이다. 저자의 논저목록에는 연구서 10권, 연구논문 108편, 공저 및 편저 14권, 번역서 5권 등이 올라 있다. 지방대학의 교수로서 열악한 도서관과 빈곤한 연구지원에 아랑곳하지 않고 이뤄낸 이러한 학문적 결산은 ‘직업으로서의 학문’에 충실했던 학자의 성실함을 대변한다. 그러나 한국사회의 연구풍토에서 서양사학자가 대면했던 심리적이고 정신적인 측면의 내용은 무엇이었는지, 또 그러한 내용이 역사연구의 흐름에 어떤 변곡점을 가져왔는지 등을 알기 위해서는 또 다른 질적 접근이 필요하지 않을까.

저자의 내력을 들춰보면 궁벽한 산촌에서 자라난 유년시절을 비롯해 박정희, 전두환 정권의 반민주주의와 억압, 산업화와 민주화의 열풍, 현실 사회주의의 몰락과 포스트모더니즘의 돌발, 그리고 미시사와 신문화사의 유행 등이 그의 학문적 여정에 일정한 영향을 끼쳤음을 알게 된다. 저자는 이제 정년퇴임을 앞둔 시점에서 과연 “나의 탐구는 무엇을 위한 것인가”라는 회고적 질문을 던져본다. 자신 삶의 경험과 역사 탐구의 과정을 연결해 ‘삶으로서의 역사’를 그려봄으로써 학자로서의 정체성과 ‘역사란 무엇인가’를 되묻는다. 그럼으로써 역사 연구란 “역사가의 현실 인식과 문제의식이 과거의 사례를 투사해 일으키는 일종의 공명현상”임을, 역사가는 자기 나름의 스타일과 자기만의 독특한 방법으로 과거를 투사해야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이 책은 어느 서양사학자의 생애사이자 역사가로서의 연구 궤적을 보여주는 지성사다. 자신이 고민하고 방향 전환하고 몰두했던 연구대상과 자신의 탐구의 열망을 젊은 연구자와 일반 독자에게 전달하려는 의도가 진솔하고 촘촘하게 배어 있다. 특히 젊은 시절부터 자신이 처한 시대상황이 어떻게 연구 대상의 선택과 집중에 영향을 미쳤는가를 탐색하는 과정이 치밀하다. 저자는 이 책을 가리켜 메타-역사서술이라 부른다. 1~4장은 저자의 유년시절 이야기를 비롯해 역사연구의 방향을 정립하게 되는 과정이, 5~11장에서는 30여 년간에 걸친 역사연구의 궤적과 방향 전환, 그리고 그 과정에서 느꼈던 고민과 방황이 솔직하게 드러나 있다. 공장법 연구를 포함해 정치사와 사회사를 거쳐 포스트모더니즘, 여성사, 미시사, 노동사 등에 이르는 탐구의 여정이 파노라마처럼 펼쳐진다. 마지막 장에서는 역사학과 역사가로서 삶에 대한 저자의 생각과 통찰을 담았다.

Table of Contents

1장 두 개념어의 탄생과 서양사
‘역사’라는 단어의 기원·13
근대 개념어 ‘서양’·16
나는 왜 서양사를 공부했는가·21
기억들의 조각 맞추기·25

2장 자기 절제와 근면성에 관하여
근면성에 관하여·35
초여름날의 수학여행, 그리고 소농경제·37
삶의 태도의 변화? 한 친구에 대한 회상·44

3장 젊은 날의 독서
소년시절의 기억·55
진보적 책 읽기·59

4장 역사연구의 길잡이
모리스 도브·71
에드워드 톰슨·77
에릭 홉스봄과 19세기사 3부작·82
사회주의 붕괴에 대한 소회·89

5장 정치사와 사회사, 그리고 산업혁명
사회사에 빠져들다·99
정치사의 공백을 어떻게 메우나?·103
산업혁명에 다가서기-공장법·109
맥신 버그에 대한 기억·116
‘산업혁명’이라는 덫·120

6장 새로운 모색
좌절과 방황·131
신경제사 분야의 논문 읽기·139
『산업혁명과 노동정책』 출간에 이르기까지·144

7장 영국경제의 쇠퇴, 그 이후
외부에서 보는 시선·155
산업정신의 쇠퇴?·157
영국 지배세력과 지주-금융자본·163
대불황 보고서와 씨름하기·169
다시 ‘공장의 역사’를 바라보다·174

8장 포스트모더니즘의 공습
문화사 텍스트 읽기·183
모던과 모더니티에 대한 단상·188
논쟁의 기억과 『역사학을 위한 변론』 번역·193
미시사에 관하여·211
리처드 에번스와의 인연·216

9장 노동사와 사회적 풍경의 역사
노동사 공동연구의 경험·225
노동사 연구에서 얻은 것과 잃은 것·232
『잉글랜드 풍경의 형성』 번역·239
‘사회적 풍경’의 역사·243
여성사 연구에 눈을 뜨다·252

10장 사상의 사회사
스코틀랜드 계몽운동에 다가서기·259
계몽운동의 배경·263
공적 덕성에 관하여-애덤 퍼거슨에 대한 회상·271
에든버러의 황혼·275

11장 제국과 지구사의 전망
신사적 자본주의론과 제국·281
영제국의 해체·286
지구사와 유럽중심주의 극복 문제-‘대분기논쟁’·292
유럽중심적 역사상의 비판-기계의 진보성에 관하여·300

12장 역사, 진실, 직업으로서 학문
탐구와 객관성·311
역사서술의 실용성·317
직업으로서 학문·322
아웃사이더·330
학문공동체와 역사가의 정체성·337

저자 후기·343

Gallery

도서
검색

Daewoo Foundation Library

대우재단 총서 검색

대우재단에서 연구/출판 지원한 모든 도서를 한 곳에서 검색하실 수 있습니다.
바로가기
2017/12/25
아카넷 출판
46판 B6 128x188mm
376 페이지
15,000원
ISBN 978-89-5733-582-6 03900

관련 총서

대우재단 대우학술총서 제625권 맛멋흥취통 written by 이숙인 외 and published by 아카넷 in 2020

맛멋흥취통

한국인에게 18세기는 어떤 의미를 갖는가? 우리 역사에서 가장 큰 흥미를 끄는 시대로 많은 사람들이 18세기를 손꼽는

대우재단 대우학술총서 제478권 고대도시 written by 김응종 and published by 아카넷 in 2000

고대도시

고대 그리스, 로마에 있어서 도시국가 polis의 기원, 그리고 도시국가들이 경험한 일련의 혁명적 변화를 종교의 관점에서 규명한

대우재단 규장각 새로읽는우리고전 제1권 양화소록 written by 이종묵 and published by 아카넷 in 2012

양화소록

우리의 고전을 학계의 분야별 전문가가 일반 독자의 눈높이에 맞춰 새롭게 번역하고 해설한 「규장각 새로 읽는 우리고전」제1권

대우재단 대우휴먼사이언스 제17권 미국의 묵시록 written by 서보명 and published by 아카넷 in 2017

미국의 묵시록

『미국의 묵시록』은 미국에서 오랫동안 신학을 공부하고 연구해온 지은이가 실존적이며 학문적인 관심 대상인 미국이라는 나라를 자신의 관찰과

대우재단 총서 전체 태그

Dtalk 가무희 가족제도 가축 갑골문자 갑골학 강철웅 개인주의 건축학 견문기 경영학 경제 경제학 계몽주의 고고학 고구려 고대 고려 고분 고전 고전주의 고진하목사시인 공학 과학 과학기술 관료제도 광물학 교육학 구조주의 국가 국방 국제 규장각대우 그리스 근대 금속공예 금융 기독교 기록물관리 기하학 기호 기후학 김백철 김우중의료봉사상 김우중의료인상 김유석교수 꿈과휴 남미 남성 낭만주의 노예제도 노화도 논리학 농업 농학 니체 다문화주의 다산정약용 다산학 대동서 대우고전총서 대우꿈동산 대우재단 대우학술총서 대한제국 데이비드흄 데이터베이스 데카르트 도교 도시 도시공학 독일 동물학 동물행동학 동북아시아 동아시아 동양 동양철학 라틴아메리카 랑케 래모음집 러시아 러시아어 레이저 로마제국 르네상스 리만 마르크스 마리드프랑스 마키아벨리 막스베버 만엽집 맥시멀리즘 메가라학파 메커니즈즈즘 목민심서 몽고 몽고제국 무역 묵자 문광훈 문명 문명의기원 문자 문학 문헌정보 문화 문화유물론 문화인류학 물리주의 물리학 미국 미니멀리즘 미술 미학 민족 민주주의 바나흐 바도모리 박지향 발굴 발해 방언 백제 법인스님 법학 베트남 벽화 병자호란 보수주의 복지국가 봉건제도 분광학 분자물리학 불교 비교문학 비교언어학 비교종교학 비교학 비트겐슈타인 사법품보 사회 사회계급 사회과학 사회인류학 사회주의 사회학 산업혁명 산업화 삼국시대 상문명 상주사 생리학 생명공학 생명과학 생물 생물학 생체에너지 생태학 생화학 샤머니즘 서교 서양 서양미술 서양철학 서장원교수 서재필 서학 서학사 세계화 소설 소재공학 소크라테스 소피스트 수산업 수학 스탕달 스페인 슬라브어 시민인문학강좌 시베리아 시베리아개발 시장 시장경제 시카고학파 식문화 식물학 신경 신경과학 신동흔 신라 신약성서 신화 실용주의 실증주의 실학 심리 심리학 아담스미스 아동심리학 아랍 아리스토텔레스 아시아 아우구스티누스 아트선재센터 안보 알렉산드르게르첸 알타이어 암각화 양명학 양자 양자물리학 양자역학 양자학 어원론 언어 언어학 엔트로피 여성 여속사 역사 역사언어학 역사주의 역사학 역학 열역학 영국 영국혁명 영어 예술 완도 외교 외교학 우주과학 우주의기원 원철스님 유교 유기물 유기물질 유기화학 유라시아 유럽 유럽연합 유재건 유전자 윤리 윤리학 윤주옥 은대 음악 음악학 음운학 음파 음향학 응용과학 응용화학 의복문화 의상 의식주 의학 이론 이론물리학 이성 이슬람 이슬람교 이승종교수 인간주의 인공지능 인도 인류학 인문학 인상주의 인식론 인지심리학 일본 일본어 입자물리 자본주의 자서전 자연과학 자유주의 재료공학 전기 전라북도 전쟁 전통 전파 절대주의 정다산 정보통신 정보통신기술 정책 정치학 제1차세계대전 제3세계 제국 제국주의 제주도 조선 조형미술 존스튜어트밀 종교 종교학 종말론 종족제도 주거문화 죽음의춤 중국 중국어 중동 중미 중상주의 중세 중화사상 지구과학 지능 지도 지리 지리학 지명 지방 지방행정 지식의지평 지역 지역발전 지질학 진화론 진화심리학 진화학 천문학 천체물리학 철학 청나라 체계이론 체육 총론 춘추전국시대 충청남도 카시러 칸트 컴퓨터 컴퓨터공학 케인즈 쿤스트할오르후스 크로스토크 토지 토지소유 토텐탄츠 톰삭스 통계학 통신사 파장 포스트모더니즘 포스트모던 포스트휴먼 폴리스 풍속 풍수사상 풍수설 프랑스 프랑스혁명 프래그머티즘 프로이트 플라톤 하이에크 학술연구지원 학술지원사업 한국 한국도자제작기술사 한국어 한국의정원 한글 한자 합성소재 해석학 해양법 핵물리학 행복나눔섬지역센터 행정 향약 헬레니즘 혁명 현대 현상학 형이상학 호남실학 홍대용 화엄사상 화학 화학공학 환경 환경공학 환경과학 후설 훈민정음 희곡 희극 힉스입자 힐버트
Scroll to Top
Scroll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