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주
2017/10/09
2018년 세종도서 교양부문 우수도서
328 페이지
16,000 원
아카넷
ISBN 978-89-5733-572-7 03810

춘향전의 인문학

Author(s)

김현주

Biography

김현주
서강대학교 대학원에서 『춘향전의 연행론적 연구』(1992)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같은 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있다.
경희대학교에 재직할 때 ‘판소리 이본전집’과 ‘판소리 역주’ 작업을 공동 진행하면서 춘향전을 포함해 숱한 판소리 이본들 속에 묻혀 산 적이 있다.
그동안 한국 고전문학을 문화론적으로 확장 해석하는 논문들과 저서들을 써왔으며, 특히 춘향전 사설들을 읽으면서 풍속화가 강하게 연상되는 경험을 바탕으로 『판소리와 풍속화, 그 닮은 예술세계』(2000)를 썼다.
그 밖의 주요 저서로는 『판소리 담화분석』(1998), 『구술성과 한국서사전통』(2003), 『고전서사체 담화분석』(2006), 『고전문학과 전통회화의 상동구조』(2007), 『토테미즘의 흔적을 찾아서』(2009), 『연행으로서의 판소리』(2011) 등이 있다.

Abstract

왜 “춘향전의 인문학”인가?

국민소설 춘향전은 200년 넘게 판소리로도 불려지고 여러 판본으로도 출간되며 민족의 사랑을 받아왔다. 현대에 이르러서는 스무 편 넘는 영화로 만들어지기까지 했다. 작자 미상의 이 작품에 담긴 절절한 이야기와 넘쳐나는 해학은 우리가 춘향전을 사랑하는 이유다. 그러나 춘향전과 교감을 나누어온 그 깊이는 쉽게 헤아릴 수 없다. 춘향전으로 박사학위를 받고 평생을 춘향전 연구에 몰두한 지은이 김현주 교수(서강대 국문과)는 춘향전을 “한국인에게 멀리 떠나온 고향과 같은 곳”이라고 말한다. 우리가 고향에 대해 아련하고 황홀한 어떤 기억을 간직하듯이 춘향전에 대해서도 모두가 어떤 기억의 편린들을 간직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그 기억의 편린들은 무엇이며 어떠한 의미가 있을까? 지은이는 이 책에서 바로 이 문제를 직접 겨냥해 대표적인 10장면을 통해 그 해답을 내놓는다.

Table of Contents

머리말

장면 1 숙종대왕 즉위 초에 성덕이 넓으시사
1. 숙종은 왜 시대 배경에 들어오게 되었나?
2. 여성의 계보부터 얘기하는 파격
3. 판각본 서체에 담긴 집단의 심리

장면 2 그네 타는 춘향의 치맛자락이 펄렁펄렁
1. 경처 소개에 동원되는 고지도의 상상력
2. 성애적 상징이 풍부한 광한루와 오작교
3. 〈단오풍정〉의 풍속화적 상상력이 끼어들다

장면 3 오만방자와 욕쟁이, 한판 붙다
1. 정감 있고 유머러스한 욕설의 향연
2. 진경문화의 호사장식 취향과 색채 감각
3. 우리말의 율동과 때깔을 비벼내는 솜씨

장면 4 사또 자제가 야밤에 기생집 출입이 될 말이오?
1. 혜원 풍속화의 유흥 향기가 나다
2. 민화적 상상력으로 가득 찬 춘향 집 후원 묘사
3. 고사인물도와 춘화가 함께 걸린 까닭

장면 5 열여섯 살 먹은 것들이 해괴망측하게시리
1. 본능적 욕망을 발견하다
2. 몸에 기억을 새기는 노래, 사랑가
3. 춘향전은 성희의 국민 교과서

장면 6 춘향이 명기라는 소문이 어떻게 한양까지?
1. 춘향을 그린 미인도가 있었을까?
2. 점심 먹고 자고, 점심 먹고 잔다는 노정기
3. 신임부사는 시끌벅적하게 부임해야

장면 7 쑥대머리에 귀곡성, 나 죽을 꿈이로다
1. 민족의 심금을 울린 임방울의 ‘쑥대머리’
2. 형벌은 수령 방백 마음대로 하나
3. 꿈은 반대로 해석해야 좋다?

장면 8 장모는 거지 사위를 제일 싫어해
1. 장모가 거꾸로 신 신고 뛰어나간다 하였으나
2. 알고 보면 월매는 얼간이 탐정
3. 정정렬 나고 춘향가 다시 났다

장면 9 흥겹게 노는 생신 잔치에 한시 짓기는 안 어울려
1. 지방 수령의 생신연이 너무 거창해
2. 위신도 세우고 흥을 돋우는 음악 편성
3. 한시 짓기는 놀이와 풍자를 함께

장면 10 민중의 소망으로 정렬부인 납시오
1. 독자의 욕망이 춘향 신분을 밀어 올리다
2. 삶의 위로를 넘어서는 해피엔딩
3. 역사보다 더 역사적이라는 역설

Gallery

도서
검색

Daewoo Foundation Library

대우재단 총서 검색

대우재단에서 연구/출판 지원한 모든 도서를 한 곳에서 검색하실 수 있습니다.
바로가기
2018년 세종도서 교양부문 우수도서
2017/10/09
아카넷 출판
46판 B6 128x188mm
328 페이지
16,000원
ISBN 978-89-5733-572-7 03810

관련 총서

대우재단 대우학술총서 제39권 한국 농학사 written by 이춘령 and published by 민음사 in 1989

한국 농학사

정치·경제적 환경과 유교의 영향을 고려하면서 農書 중심으로 한국농학의 전개과정을 살피고 있다.

대우재단 대우학술총서 제47권 조선의 서학사 written by 강재언 and published by 민음사 in 1990

조선의 서학사

근대의 문턱에서 전개된 문화교섭사를 西敎(천주교)와 西學의 양 측면에서 체계적으로 다루고 있다

대우재단 대우학술총서 제425권 한국의 전통민가 written by 주남철 and published by 아르케 in 1999

한국의 전통민가

우리나라 전통민가의 유형과 역사를 지역별로 나눠 고찰한 연구서. 전통민가의 뜻과 건축인, 전통민가의 건축구성, 유형을 살피고 서울/경기,

대우재단 대우학술총서 제69권 다산의 역학 written by 이을호 and published by 민음사 in 1993

다산의 역학

다산 역학의 성립과 정수, 그리고 그 경학적.사상사적의의를 논구한 저술.

대우재단 총서 전체 태그

Dtalk 가무희 가족제도 가축 갈릴레오 갑골문자 갑골학 개인주의 건축학 견문기 경영학 경제 경제학 계량경제학 계몽주의 고고학 고구려 고대 고려 고분 고전 고전주의 고진하목사시인 공학 과거제도 과학 과학기술 과학혁명 관료제도 광물학 교육 교육학 구조주의 국가 국경 국방 국제 그리스 근대 금속공예 금융 기독교 기록물관리 기하학 기호 기후변화 기후학 김우중의료봉사상 김우중의료인상 김유석교수 꿈과휴 남미 남성 낭만주의 노예제도 논리학 농업 농학 니체 다문화주의 다산정약용 다산학 대기 대동서 대우고전총서 대우꿈동산 대우재단 대우학술총서 대학 대한제국 데이비드흄 데이터베이스 데카르트 도교 도시 도시공학 독일 동력 동물학 동물행동학 동북아시아 동아시아 동양 동양철학 라틴아메리카 랑케 래모음집 러시아 러시아어 레이저 로마제국 르네상스 리만 마르크스 마리드프랑스 마키아벨리 막스베버 만엽집 맥시멀리즘 메가라학파 메커니즈즈즘 목민심서 몽고 몽고제국 무역 묵자 문명 문명의기원 문자 문학 문헌정보 문화 문화유물론 문화인류학 물리주의 물리학 미국 미니멀리즘 미술 미학 민족 민주주의 바나흐 바도모리 발굴 발해 방언 백제 법인스님 법학 베이컨 베트남 벽화 보수주의 복지국가 봉건제도 분광학 분자물리학 불교 비교문학 비교언어학 비교종교학 비교학 비트겐슈타인 사회 사회계급 사회과학 사회인류학 사회주의 사회학 산업혁명 산업화 삼국시대 상문명 상주사 생리학 생명공학 생명과학 생물 생물학 생체에너지 생체화학 생태학 생화학 샤머니즘 서교 서양 서양미술 서양철학 서장원교수 서재필 서학 서학사 세계화 소설 소재공학 소크라테스 수산업 수학 스탕달 스페인 슬라브어 시민인문학강좌 시베리아 시베리아개발 시장 시장경제 시카고학파 식문화 식물학 신경 신경과학 신동흔 신라 신약성서 신화 실용주의 실증주의 실학 심리 심리학 아담스미스 아동심리학 아랍 아시아 아우구스티누스 아트선재센터 안보 알타이어 암각화 양명학 양자 양자물리학 양자역학 양자학 어원론 언어 언어학 엔트로피 여성 여속사 역사 역사언어학 역사주의 역사학 역학 열역학 영국 영국혁명 영양학 영어 예술 온난화 외교 외교학 우주과학 우주의기원 운동 원철스님 유교 유기물 유기물질 유기화학 유라시아 유럽 유럽연합 유재건 유전자 윤리 윤리학 윤주옥 은대 음악 음악학 음운학 음파 음향학 응용과학 응용화학 의복문화 의상 의식주 의학 이론 이론물리학 이성 이슬람 이슬람교 이승종교수 인간주의 인공지능 인도 인류학 인문학 인상주의 인식론 인지심리학 일본 일본어 입자물리 자본주의 자연과학 자유주의 재료공학 전기 전라북도 전쟁 전통 전파 절대주의 정다산 정보통신 정보통신기술 정책 정치학 제1차세계대전 제3세계 제국 제국주의 제주도 조선 조형미술 존스튜어트밀 종교 종교학 종말론 종족제도 주거문화 죽음의춤 중국 중국어 중동 중미 중상주의 중세 중화사상 지구과학 지능 지도 지리 지리학 지명 지방 지방행정 지식의지평 지역 지역발전 지질학 진화론 진화심리학 진화학 천문학 천체물리학 철학 청나라 체계이론 체육 총론 춘추전국시대 충청남도 카시러 칸트 컴퓨터 컴퓨터공학 케인즈 쿤스트할오르후스 토지 토지소유 토텐탄츠 톰삭스 통계학 통신사 파장 포스트모더니즘 포스트모던 포스트휴먼 폴리스 풍속 풍수사상 풍수설 프랑스 프랑스혁명 프래그머티즘 프로이트 플라톤 피카레스크 하이에크 학술연구지원 한국 한국도자제작기술사 한국어 한국의정원 한글 한자 합성소재 해석학 해양법 핵물리학 행정 향약 헬레니즘 혁명 현대 현상학 형이상학 호남실학 홍대용 화엄사상 화학 화학공학 환경 환경공학 환경과학 후설 훈민정음 희곡 희극 힉스입자 힐버트
Scroll to Top
Scroll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