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서영
이화여자대학교 과학교육과(생물 전공)를 졸업하고 영국 셰필드 대학교 정신과 심리치료연구센터에서 석사·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광운대학교 인제니움학부대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
지은 책으로 『영화로 읽는 정신분석: 김서영의 치유하는 영화읽기』, 『프로이트의 환자들: 정신분석을 낳은 150가지 사례 이야기』, 『내 무의식의 방: 프로이트와 융으로 분석한 100가지 꿈 이야기』, 『프로이트의 〈꿈의 해석〉: 무의식에 비친 나를 찾아서』, 『백만인을 위한 정신분석: 혁명의 시간을 사는 우리를 위하여』(근간)가 있고, 옮긴 책으로 『라캉 읽기』, 『에크리 읽기: 문자 그대로의 라캉』, 『시차적 관점』이 있다.
Abstract
당신은 당신이 마음에 담아낸 사람들의 총합이다.
누구를 어떻게 동일시하느냐에 따라 당신의 모습이 바뀐다.
이 책은 프로이트의 편지와 이론, 사례를 통해 정신분석의 새로운 통찰을 전하며 인생의 중심축이 되는 삶의 단계들을 ‘동일시’라는 주제어를 중심으로 검토한다. 내 부모로부터 독립하는 일, 불완전한 타인을 내 삶에 받아들이고 사랑하는 일, 다른 생각들을 받아들여 내 세계를 넓혀가는 일, 나의 한계를 넘어 어른이 되는 일에 이르기까지, 이 책은 프로이트가 삶의 단계마다 보내왔던 편지를 따라가며 우리의 삶은 동일시의 연속일 수밖에 없음을 찬찬히 보여준다.
Table of Contents
들어가는 말: 동일시, 인간관계의 근본원리
1. 정신분석은 휴머니즘이다
편지│ 프로이트가 아인슈타인에게
전쟁을 막는 감정적 유대
삶 충동 대 죽음 충동
이론│ 문화와 동일시
개인의 공격성을 길들이는 문화
동일시의 대상들
사례│ 살인 충동이라는 지하 감옥
충동의 혼돈
사형수의 아버지가 된 교도관
2. 내 아이의 이야기
편지│ 프로이트가 질버슈타인에게
어린 분석가, 어린 철학자
프로이트의 성숙함과 미숙함
이론│ 초자아의 목소리에 맞서라
성숙한 주체
초자아, 이드, 자아
사례│ 세상과의 만남을 촉진하는 양육
실패한 부모, 망가진 아이들
충분히 사랑받는 아이들
3. 삶의 중심을 찾다
편지│ 프로이트가 마르타에게
살길을 찾아서
프로이트의 꿈
이론│ 당신을 위해 내 세상을 멈추다
억압된 대상의 귀환
가족 로맨스에서 벗어나기
사례│ 성인이 된다는 것
자라지 않는 아이들
세상과 손을 잡다
4. 자신의 한계를 넘어서
편지│ 프로이트가 플리스와 융에게
코와 성의 상관관계
프로이트를 떠나는 융
이론│ 프로이트, 아들러 그리고 융
정신분석학 대 개인심리학
정신분석학 대 분석심리학
사례│ 파멸과 불멸
잘못된 만남
대극의 합일
5. 시대의 어른을 찾아서
편지│ 프로이트가 츠바이크와 피스터에게
새로운 모세 이야기
진리는 전진한다
이론│ 온전한 나 자신이 되는 길
유대인 모세
이집트인 모세
사례│ 보편을 향하여
보편을 포기한 결과
하늘의 법을 따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