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소연
한국외국어대학교 통역번역대학원과 동덕여자대학교에서 공부했으며 현재는 서울외국어대학원대학교 통역번역대학원에 출강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 『생물과 무생물 사이』, 『동적평형』, 『아이는 느려도 성장한다』, 『새로운 발상의 비밀』, 『가능성의 발견』, 『모자란 남자들』 등이 있다.
Abstract
2015년 노벨 물리학상이 궁금하다면 꼭 읽어야 할 단 한 권!
도시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서 밤하늘을 올려다보면 무수한 별들이 보인다. 누구라도 ‘이렇게 큰 우주에 우리는 왜 존재하는 걸까? 어떻게 생겨난 걸까?’하고 어느 정도 철학적인 생각을 해 본 경험이 있지 않을까? 일본 대중이 사랑하는 이론물리학자 무라야마 히토시가 쓴 『왜, 우리가 우주에 존재하는가』는 우리 존재에 대한 비밀의 열쇠를 쥐고 있는 중성미자라는 소립자에 대한 내용이다.
마침 이 책은 2015년 노벨 물리학상과도 관련이 있다. 올해 노벨 물리학상이 ‘중성미자에 질량이 있다’는 것을 입증한 가지타 다카아키와 아서 맥도널드에게 돌아갔다. ‘중성미자’가 무엇인지, ‘중성미자의 질량’ 발견이 어떤 의미인지 알고 싶다면 이 책이 안성맞춤이다. 이 책은 일곱 개의 장 중에 무려 네 개의 장을 중성미자에 관한 설명에 할애하고 있다. 이렇게까지 중성미자에 대해 상세히 기술한 책은 국내에서 찾기 힘들다. 올해 노벨 물리학상의 업적을 이해하고 싶은 이들에게 적극 추천한다.
Original Volume
Title : 宇宙になぜ我#が存在するのか
Author : 村山斉
Publisher : Kodansha Ltd.
Published Year : 2013
저자(한글) : 무라야마 히토시
원서 언어 : 日本語
저자 약력 : 무라야마 히토시
2002년에 일본에서 40세 미만의 신진 이론물리학자들에게 주어지는 니시노미야 유카와 기념상을 수상한 소립자 이론의 선두주자이며 기초과학 분야의 젊은 리더 중 한 명이다. 일반 독자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과학서 집필로 대중들에게도 잘 알려진 인기 작가이기도 하다. 일본 도쿄대학교에서 소립자물리학을 전공한 후 동 대학원 물리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도호쿠대학교 대학원 이학연구과 물리학과 조수, 로렌스버클리 국립연구소 연구원, 캘리포니아대학교 버클리캠퍼스 물리학과 조교수, 준교수를 거쳐 현재 같은 대학 물리학과 맥애덤스(MacAdams) 석좌교수다. 또한 도쿄대학교 국제고등연구소 우주의 물리학과 수학 연구소(Kavli IPMU) 초대 소장을 역임했고 현재 특임 교수다.
Table of Contents
추천의 글
시작하며
1장 부끄럼쟁이 중성미자
우주는 우로보로스의 뱀 | 정체불명의 물질로 가득 찬 우주 | 중성미자가 넘쳐나는 우주 | 원자의 세계를 탐구하다 | 사라진 에너지 | 파울리의 예언 | 원자력발전소에서 발견된 유령의 정체
2장 소립자의 세계
수많은 소립자로 이루어진 우주 | 쿼크로 이루어진 양성자와 중성자 | 소립자는 모두 삼형제 | 소립자에 맛이 있다고? | 입자의 캐치볼-힘 | 강한 힘의 정체 | 약한 힘의 정체 | 네 가지 힘의 통일을 위해 | CP대칭성의 깨짐 | 고바야시-마스카와 이론의 등장 | 고바야시-마스카와 이론의 검증
3장 정말 신비로운 중성미자의 세계
열쇠를 쥐고 있는 중성미자 | 중성미자의 무게 | 중성미자는 시간을 느낀다 | 중성미자로 태양을 보다 | 태양 중성미자 문제 | 캄랜드 실험 | [칼럼] 가미오칸데와 중성미자
4장 너무나 가벼운 중성미자의 비밀
항상 왼쪽 돌기인 중성미자 | 왼쪽 돌기 반중성미자는 초중량급 | 통일된 힘의 세계를 보여주는 소립자 | 왼쪽 돌기 중성미자가 가벼운 이유 | [Q&A]
5장 중성미자가 장난꾸러기라고?
힘의 통일과 중성미자 | 우주에 우리가 존재하는 이유-중성미자 | 중성미자로 알아보는 물질과 반물질의 움직임 | 전자 중성미자로 변한 뮤우 중성미자 | [Q&A]
6장 힉스입자의 정체
힉스입자는 신의 입자?! | 경차를 충돌시켜 전차를 찾다 | 1000조 번의 충돌로 얻은 10개의 힉스입자 | 99.99994%의 확실성 | 광자와 뮤온을 찾아라 | 새로운 입자의 존재를 예언한 힉스 박사 | 자발적 대칭성 깨짐 | 힉스입자가 식어 우주에 질서가 | 얼굴 없는 힉스입자 | 새시대의 개막-힉스입자의 얼굴 찾기 | 통일의 시대 | [Q&A]
7장 왜, 우리가 우주에 존재하는가?
부풀어 있는 우주 | 빅뱅의 증거 | 인플레이션 이론 | 소립자 요동의 주름 | 태초의 우주를 향해 | 초끈이론에 거는 기대 | 원자보다 작았던 우주의 탄생 | 우주의 과거와 미래를 보여주는 ‘스미레 계획’ | [Q&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