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지만
2020/12/31
572 페이지
30,000 원
아카넷
ISBN 978-89-5733-717-2 94360

대명률직해

Author(s)

조지만

Biography

조지만(趙志晩)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및 동대학원을 졸업(법학박사)했다. 현재 아주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저작으로 『조선시대의 형사법』(2007), 『조선후기 수교자료집성1-3』 (공역, 2009-2010, 2012), 『역주 대전사송유취―잊혀진 법학자 신번』(공역, 2012), 『개설 서양법제사』(공역, 2020)이 있으며 주요 논문으로 「《大典會通》 刑典 규정의 成立沿革」, 「대한제국기 전율체계의 변화―고등재판소 및 평리원 상소판결선고서를 중심으로」, 「《大明律》 保辜限期에 관한 硏究―조선시대의 적용례를 중심으로」, 「구한말 이자에 관한 연구―법전규정과 민사판결문을 중심으로」, 「조선시대 이죄(二罪) 이상의 범죄와 처벌」 등이 있다.

Abstract

규장각총서 『대명률직해』 는 조선시대 형사법의 근간이었던 『대명률직해』 의 전체 내용을 개괄하며 일반 독자들이 흥미롭게 접근할 만한 부분을 중심으로 발췌 번역하고 해설을 실었다. 그러나 독자들이 책의 전체적인 내용을 통독할 수 있도록 각 조문의 대략적인 내용을 실어놓았으므로 전통시대 형사법은 어떠한 내용을 담고 있는지를 아는 데는 매우 유용하다.

언제부터 『대명률직해』라는 명칭을 사용했을까

『대명률직해』란 『대명률』이라는 명나라의 형법을 당시 우리나라 사람들이 한문을 쉽게 읽기 위하여 사용하던 이두를 이용하여 우리나라의 사정에 맞게 번안한 책이다. 그런데 사실 『대명률직해』라는 책의 이름은 조선시대에는 존재하지 않았다. 조선시대 당시로 돌아가서 『대명률』과 관련된 책명을 보면, 『대명률』, 『대명률서(大明律書)』, 『대명률강해(大明律講解)』, 『대명률부례(大明律附例)』 등이 존재하였지만, 『대명률직해』라는 명칭은 발견되지 않는다. 그렇다면 언제부터 『대명률직해』라는 명칭을 사용했을까?

서적의 명칭으로 『대명률직해』를 처음 사용한 때는 조선총독부에서 전통적인 법전들을 교정하고 활자화하여 간행한 일제강점기로 보는 것이 학계의 공통된 견해다. 이렇게 일제 강점기에 『대명률직해』를 간행한 이후에는 이두가 들어가 있는 『대명률』을 모두 『대명률직해』라는 명칭으로 통칭하였고, 서적 이름으로도 사용하였다. 서울대학교 규장각에서 이 책을 영인하여 출간할 때에도 『대명률직해』라는 명칭으로 하였다. 이 책에서도 기존의 용례에 따라서 『대명률직해』라고 한다.

중국 명나라의 형법인 『대명률』은 어떻게 조선의 형법이 되었을까?

조선시대에는 중국의 형법인 『대명률(大明律)』을 자국의 형법으로 사용하는 이른바 포괄적인 계수(법의 전파)가 일어났다. 『대명률』을 쓴다고 명확하게 『경국대전(經國大典)』에 규정하였는바, 이로써 조선 사회는 중국의 형법인 『대명률』을 포괄적으로 받아들인 것이다. 조선의 경우 성종 16년(1485)부터 현재 전하는 『경국대전』의 최종본을 반포하여 시행함으로써 조선의 기본 제도가 완성되었다. 이러한 『경국대전』의 반포에 즈음하여 『대명률직해』의 조선 사회에의 계수가 완성 단계에 이르렀다고 보는 것이다. 이렇게 하여 조선 사회의 형사 기본법이 된 『대명률직해』는 구한말까지 사용되었고, 현대식으로 조문 번호를 매긴 최초의 근대적 형법으로 일컬어지는 『형법대전(刑法大全)』의 근간을 이루었다.

『대명률』은 그 당시까지의 역대 중국의 형법전들을 모두 참조하여 만든 것이었고, 내용도 매우 상세하였다. 따라서 고려 말 형사 사법을 개혁하려고 한 지식인들은 이를 도입하는 데 매우 적극적이었다. 그러나 『대명률』은 사소하게는 관직명에서부터 크게는 신분구조까지 우리의 사정과는 맞지 않는 면이 많았다. 이에 『대명률』을 우리의 사정에 맞게 내용을 고치고 당시 사람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하여야 했는데, 그 작업은 역시 이두를 이용하는 길이었다. 이두는 문장구조가 다른 한문을 우리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해주는 마법의 도구였다.

조선시대의 죄형법정주의와 무죄추정의 원칙은 어느 정도였을까?

서양 근대의 산물인 죄형법정주의는 『대명률직해』에서는 인정되지 않았지만 관리의 자의적인 형벌을 배제하기 위한 측면에서의 법정주의는 『대명률직해』에서도 일관되게 유지되었다. 예컨대 처벌을 위해서는 반드시 처벌하고자 하는 행위에 적용되는 규정을 인용해야 했다. 관리의 자의적인 형벌을 배제하는 차원의 법조문의 인용은 한편으로는 국왕 내지 황제가 가진 처벌의 권한을 관리에게 위임한 것이므로 국왕 내지 황제가 언제든지 이를 살펴볼 수 있도록 근거를 남기는 역할도 한 것으로 보인다.

죄형법정주의의 전제가 되는 것은 형법에 규정이 없다면 사람을 처벌할 수 없다는 것이며, 이는 무죄추정을 근간으로 한다. 그런데 전통사회에서는 이러한 무죄추정이 작동하지 않았다. 어떤 사람이 혐의가 있는 것으로 수사가 개시되면 아무런 혐의가 없다는 것이 밝혀지지 않는 한 일단 유죄가 추정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즉 『대명률직해』에 정확하게 해당되는 규정은 없지만, 사회에 위해를 가하는 등 처벌해야 한다는 집단적인 관념을 고려할 때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을 수는 없었다. 다만 처벌의 자의를 방지하기 위하여 이러한 유추 적용을 하는 경우는 반드시 국왕의 승인을 거치도록 하였다. 이처럼 서구 근대의 산물인 죄형법정주의는 그 전제를 달리하는 『대명률직해』에서는 인정되지 않았다.

『대명률직해』의 특징

『대명률직해』 총목에 나오는 각 편과 각 권의 조문수를 통하여 전통사회에서 중요하게 취급하던 사안들이 무엇인가를 추정할 수 있다. 형사처벌의 일반 원리를 다루는 명례율을 제외하고 각각의 범죄에 대하여 다루는 이율, 호율, 예율, 병률, 형률, 공률 중에서 가장 많은 분량을 차지하는 것은 역시 형률로서 170개조에 이른다. 직무 분장에 따라서 범죄를 분류해 놓기는 하였지만, 인간사에서 가장 빈번하게 등장하는 것은 재산범죄, 인명범죄, 성범죄, 폭력범죄 등으로, 형률이 가장 많은 분량을 차지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할 것이다. 이에 비하여 가장 적은 분량을 차지하는 편은 건축, 토목 등과 관련된 공률이다.

한편 『대명률직해』는 신분에 따른 형량의 차이가 반영된 형법이다. 양인과 천인의 싸움이 일어났을 때 양인에 비하여 천인에게는 형량을 가중하였다. 또한 일반민과 관인 사이의 분쟁에서도 관에 대한 범죄로 보아 형량을 가중하였다. 연좌제도 역시 허용하고 있었다. 업무상 연좌(連坐)든 연좌(緣坐)든 모든 연좌가 허용되었다. 예컨대 부적임자를 추천하는 경우에는 추천한 자를 처벌하도록 하였고, 동료 관리가 죄를 지은 경우 직급에 따라 책임을 달리하기는 하였지만 모두 책임을 지는 것으로 하였다. 또 모반이나 모대역(종묘와 산릉 및 궁궐을 훼손하려고 꾀하는 것)을 하는 경우에는 본인만을 처벌하지 않고 일정한 범위의 친족도 연좌하여 처벌하였다.

Original Volume

Title : 大明律直解
Author : 직해자 金祉, 高士褧; 감수자 鄭道傳, 唐誠
Published Year : 1395
저자(한글) : 직해자 김지, 고사경; 감수자 정도전, 당성
원서 언어 : 漢文
저자 약력 : 직해자
김지(金祉)
고려말 조선초의 문신. 본관은 영광(靈光). 자는 경숙(敬淑). 1362년(공민왕 11) 문과 급제. 『주관육익(周官六翼)』, 『선수집(選粹集)』을 저술하였다.

고사경(高士褧)
고려말 조선초의 문신. 본관은 제주(齊州). 보문각직학사(寶文閣直學士),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역임하였다.

감수자
정도전(鄭道傳, 1342~1398)
고려말 조선초의 문신. 본관은 봉화(奉化). 호는 삼봉(三峯), 자는 종지(宗之). 조선 개국 1등공신. 시호는 문헌공(文憲公). 판삼사사(判三司事) 역임. 『조선경국전(朝鮮經國典)』, 『경제문감(經濟文鑑)』, 『경제문감별집(經濟文鑑別集)』 등을 저술하였다.

당성(唐誠, 1337~1413)
고려말 조선초의 문신으로 중국에서 귀화한 밀양 당씨의 시조. 조선 개국원종공신으로 책록되었으며 예조, 형조, 공조의 전서(典書)를 역임. 율문에 능하여 『대명률』의 직해 작업에 참여한 것으로 보인다.

Table of Contents

해제 – 『대명률직해』의 내용과 구성

권수(卷首)

1. 대명률직해 총목
2. 오형과 형벌도구
3. 상복 전반의 설명
4. 여덟 글자의 관용적 사용의 정의

명례율(名例律)
권1 명례율(名例律)

1. 제1조 오형
2. 제2조 십악
3. 제11조 형벌의 중복 감경
4. 제18조 사형수의 부모 봉양
5. 제19조 공장호·악호 및 부인의 범죄
6. 제21조 노인·유소자·폐질자의 범죄
7. 제25조 여러 범죄의 처리
8. 제31조 친족 간의 범인은닉
9. 제37조 정확한 조문이 없는 죄의 처단
10. 제47조 도형·유형·천사의 지방

이율(吏律)
권2 직제(職制)
권3 공식(公式)

1. 제60조 간사한 무리
2. 제63조 율령의 강독

호율(戶律)
권4 호역(戶役)
권5 전택(田宅)
권6 혼인(婚姻)
권7 창고(倉庫)
권8 과정(課程)
권9 전채(錢債)
권10 시전(市廛)

1. 제84조 위법한 적자 선정
2. 제96조 전지와 세량의 허위 신고
3. 제123조 이혼
4. 제168조 이자 제한

예율(禮律)
권11 제사(祭祀)
권12 의제(儀制)

1. 제181조 사술의 금지
2. 제198조 부모·남편 상의 은닉

병률(兵律)
권13 궁위(宮衛)
권14 군정(軍政)
권15 관진(關津)
권16 구목(廐牧)
권17 우역(郵驛)

1. 제242조 통행증의 위법 발급
2. 제254조 마소의 도살

형률(刑律)
권18 도적(盜賊)
권19 인명(人命)
권20 투구(鬪毆)
권21 매리(罵詈)
권22 소송(訴訟)
권23 수장(受贓)
권24 사위(詐僞)
권25 범간(犯姦)
권26 잡범(雜犯)
권27 포망(捕亡)
권28 단옥(斷獄)

1. 제277조 모반과 모대역
2. 제279조 요서·요언의 제작
3. 제289조 강도
4. 제292조 절도
5. 제295조 친족상도례
6. 제299조 분묘의 발굴
7. 제305조 모살
8. 제308조 간통자의 살해
9. 제311조 생기 채취와 신체 절단
10. 제313조 투구살 및 고살
11. 제315조 희살상, 오살상, 과실살상제
12. 제326조 보고 기한
13. 제355조 월소
14. 제367조 관리의 재물 수수
15. 제433조 관사의 죄 가감

공률(工律)
권29 영조(營造)
권30 하방(河防)

1. 제457조 하천 제방의 붕괴

참고문헌
찾아보기

Gallery

도서
검색

Daewoo Foundation Library

대우재단 총서 검색

대우재단에서 연구/출판 지원한 모든 도서를 한 곳에서 검색하실 수 있습니다.
바로가기
2020/12/31
아카넷 출판
신국판 A5 152x225mm
572 페이지
30,000원
ISBN 978-89-5733-717-2 94360

관련 총서

대우재단 대우학술총서 제558권 조선중기 정치와 정책 written by 오수창, 구덕회, 오종록, 김세봉, 한명기, 배우성 and published by 아카넷 in 2003

조선중기 정치와 정책

17세기 중반의 조선왕조 정치사에 대한 연구서. 16세기의 임진왜란과 반정으로 인해 왕위에 오른 인조. 그리고 두 번의

대우재단 대우학술총서 제109권 중국수학사 written by 김용운, 김용국 and published by 민음사 in 1996

중국수학사

우리는 지금 유럽 수학을 세계 공통의 학문으로 다루는 한편에서 이것을 우리와는 다른 문화로 이해하고 그 밑을

대우재단 대우학술총서 제69권 다산의 역학 written by 이을호 and published by 민음사 in 1993

다산의 역학

다산 역학의 성립과 정수, 그리고 그 경학적.사상사적의의를 논구한 저술.

대우재단 대우학술총서 제48권 법인류학 written by 이문웅 and published by 민음사 in 1992

법인류학

“사회 속의 법”, “문화 속의 법”에 주목하는 것이 법인류학이다.

대우재단 총서 전체 태그

Dtalk 가무희 가족제도 가축 갑골문자 갑골학 강철웅 개인주의 건축학 견문기 경영학 경제 경제학 계몽주의 고고학 고구려 고대 고려 고분 고전 고전주의 고진하목사시인 공학 과학 과학기술 관료제도 광물학 교육학 구조주의 국가 국방 국제 규장각대우 그리스 근대 금속공예 금융 기독교 기록물관리 기하학 기호 기후학 김백철 김우중의료봉사상 김우중의료인상 김유석교수 꿈과휴 남미 남성 낭만주의 노예제도 노화도 논리학 농업 농학 니체 다문화주의 다산정약용 다산학 대동서 대우고전총서 대우꿈동산 대우재단 대우학술총서 대한제국 데이비드흄 데이터베이스 데카르트 도교 도시 도시공학 독일 동물학 동물행동학 동북아시아 동아시아 동양 동양철학 라틴아메리카 랑케 래모음집 러시아 러시아어 레이저 로마제국 르네상스 리만 마르크스 마리드프랑스 마키아벨리 막스베버 만엽집 맥시멀리즘 메가라학파 메커니즈즈즘 목민심서 몽고 몽고제국 무역 묵자 문광훈 문명 문명의기원 문자 문학 문헌정보 문화 문화유물론 문화인류학 물리주의 물리학 미국 미니멀리즘 미술 미학 민족 민주주의 바나흐 바도모리 박지향 발굴 발해 방언 백제 법인스님 법학 베트남 벽화 병자호란 보수주의 복지국가 봉건제도 분광학 분자물리학 불교 비교문학 비교언어학 비교종교학 비교학 비트겐슈타인 사법품보 사회 사회계급 사회과학 사회인류학 사회주의 사회학 산업혁명 산업화 삼국시대 상문명 상주사 생리학 생명공학 생명과학 생물 생물학 생체에너지 생태학 생화학 샤머니즘 서교 서양 서양미술 서양철학 서장원교수 서재필 서학 서학사 세계화 소설 소재공학 소크라테스 소피스트 수산업 수학 스탕달 스페인 슬라브어 시민인문학강좌 시베리아 시베리아개발 시장 시장경제 시카고학파 식문화 식물학 신경 신경과학 신동흔 신라 신약성서 신화 실용주의 실증주의 실학 심리 심리학 아담스미스 아동심리학 아랍 아리스토텔레스 아시아 아우구스티누스 아트선재센터 안보 알렉산드르게르첸 알타이어 암각화 양명학 양자 양자물리학 양자역학 양자학 어원론 언어 언어학 엔트로피 여성 여속사 역사 역사언어학 역사주의 역사학 역학 열역학 영국 영국혁명 영어 예술 완도 외교 외교학 우주과학 우주의기원 원철스님 유교 유기물 유기물질 유기화학 유라시아 유럽 유럽연합 유재건 유전자 윤리 윤리학 윤주옥 은대 음악 음악학 음운학 음파 음향학 응용과학 응용화학 의복문화 의상 의식주 의학 이론 이론물리학 이성 이슬람 이슬람교 이승종교수 인간주의 인공지능 인도 인류학 인문학 인상주의 인식론 인지심리학 일본 일본어 입자물리 자본주의 자서전 자연과학 자유주의 재료공학 전기 전라북도 전쟁 전통 전파 절대주의 정다산 정보통신 정보통신기술 정책 정치학 제1차세계대전 제3세계 제국 제국주의 제주도 조선 조형미술 존스튜어트밀 종교 종교학 종말론 종족제도 주거문화 죽음의춤 중국 중국어 중동 중미 중상주의 중세 중화사상 지구과학 지능 지도 지리 지리학 지명 지방 지방행정 지식의지평 지역 지역발전 지질학 진화론 진화심리학 진화학 천문학 천체물리학 철학 청나라 체계이론 체육 총론 춘추전국시대 충청남도 카시러 칸트 컴퓨터 컴퓨터공학 케인즈 쿤스트할오르후스 크로스토크 토지 토지소유 토텐탄츠 톰삭스 통계학 통신사 파장 포스트모더니즘 포스트모던 포스트휴먼 폴리스 풍속 풍수사상 풍수설 프랑스 프랑스혁명 프래그머티즘 프로이트 플라톤 하이에크 학술연구지원 학술지원사업 한국 한국도자제작기술사 한국어 한국의정원 한글 한자 합성소재 해석학 해양법 핵물리학 행복나눔섬지역센터 행정 향약 헬레니즘 혁명 현대 현상학 형이상학 호남실학 홍대용 화엄사상 화학 화학공학 환경 환경공학 환경과학 후설 훈민정음 희곡 희극 힉스입자 힐버트
Scroll to Top
Scroll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