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중양
2019/07/30
288 페이지
20,000 원
아카넷
ISBN 978-89-5733-638-0 94080

의산문답

Author(s)

문중양

Biography

문중양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계산통계학과에서 이학사 학위를 받았으며, 동 대학원에서 역사학으로서 과학사를 공부했다.
‘조선후기의 수리학(水利學)’으로 박사학위를 받은 후에는 우주론을 중심으로 서구과학과 조선과학의 만남 양상과 성취에 대해서 연구해왔다.
요즘에는 19세기 조선 지식인들의 과학활동에 연구가 집중되고 있지만 세종대 과학의 성취와 역사성을 중심으로 여말선초 시기로 연구가 옮겨가고 있다.
대표 저서로 『조선후기 水利學과 水利담론』, 『우리역사 과학기행』(2006년 중앙일보와 동아일보가 선정한 ‘올해의 책’), 『조선후기 과학사상사: 서구 우주론과 조선 천지관의 만남』이 있다.
현재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Abstract

일반적으로 『의산문답』은 홍대용이 실옹(實翁)과 허자(虛子)라는 두 가상의 인물을 설정하고, 이들이 묻고 답하는 형식으로 과학 사상을 전개하는 내용으로 알려져 있다. 우주의 원리뿐만 아니라 천체와 기상 현상, 인류 역사의 탄생 등 천문, 역법, 산술, 지질학 등 자연과학 분야의 다양한 이론이 전개된다. 특히 홍대용이 땅이 원형(구형)임을 주장하고 무한우주에서의 다세계설을 펼치는 사색의 근대성은 큰 주목을 받았다. 뿐만 아니라 사람과 사물의 차원에서 ‘사람과 사물은 균등하다’는 인물균(人物均)과 ‘중화와 이적은 같다’는 ‘화이일야(華夷一也)’를 주장한 내용은 ‘조선’이라는 나라에 대한 상식으로 볼 때 일탈적이고 파격적인 주장이다. 그러나 이 책의 역해자 문중양 교수에 따르면 『의산문답』은 당대의 시공간의 맥락을 살펴서 읽어야 한다. 가령 홍대용의 후배 이규경은 홍대용의 다세계설을 우언으로서 호사가들의 좋은 이야깃거리였다고 일축했다.

“정인보 이래 대부분의 근대 연구자들은 『의산문답』에서 지구 중심의 편협하고 유한한 우주를 넘어선 무한우주에서의 다세계설을 펼치는 사색의 근대성을 보았다. 그러나 홍대용의 후배 이규경은 홍대용의 다세계설을 우언으로서 호사가들의 좋은 이야깃거리였다고 일축했다. 그 거리가 너무나 멀다. 『의산문답』의 이야기를 우화로 보면 특권 지배 세력으로서 여유 있는 지적 유희를 즐길 수 있었던 홍대용이 펼친 과격한 논의들을 이해할 수 있다. 원굉도가 『장자』의 우화를 흉내 내어 더 황당한 상상의 나래를 펼친 것처럼 조선 유학자 홍대용도 『의산문답』에서 유학자로서의 영역을 넘나드는 지적 유희를 펼쳤다고 볼 수는 없을까.”(‘해제’ 에서)

실제로 『의산문답』의 편찬과 출간내력을 살펴보면 1930년대 이전 조선시대에 『의산문답』은 널리 유통되지 않았고 홍대용과 교류가 있는 노론계 학인들 중심으로 소수에게만 필사본으로만 회람된 것으로 추정된다. 오히려 『의산문답』은 정인보와 같은 일제 식민지기 조선학운동을 펼치던 국학자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조선 과학의 부재’를 통탄하며 조선의 자주독립을 위해 과학적 지식을 창출해야 한다고 부르짖던 조선학운동가들에게 한 줄기 빛처럼 보였다. 정인보가 ‘실학적 지식’을 규정하면서 과학을 중심에 두었던 것을 고려하면 당연한 일일 수 있다. 그중에서도 『의산문답』은 홍대용의 사상과 지식의 성격을 대표하는 것으로서 정인보는 『의산문답』의 핵심 내용을 지구설과 지동설, 그리고 ‘역외춘추론’으로 알려진 탈화이론적 세계관으로 요약했다. 그러나 역해자가 보기에 정인보와 같은 1930년대 ‘실학’ 연구 선구자들의 『의산문답』 읽기는 우리가 갖고 있던 근대성의 필터를 거친 것으로서 역사적 맥락에서 많이 벗어났다고 할 수 있다. 역해자는 “오래전에 쓰인 텍스트를 읽을 때는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중요한 것이 독자 자신이 서 있는 시공간적 위치에서 읽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가능하면 독자가 가진 근대 학문의 필터를 지우고 텍스트가 쓰인 오래전 당대의 역사적 맥락 속에서 텍스트를 읽어야 한다. 그럴 때 텍스트의 저자가 의도한 바를 제대로 읽어낼 수 있기 때문이다.”라고 강조한다. 당시 조선의 분위기를 생각할 때 놀라운 통찰력이 담겨 있고, 전통 유교의 성리학과 근대적인 서양과학 사이에 서 있는 홍대용 자신의 두 가지 면모를 흥미롭게 읽어볼 수 있는 팁이다.

Original Volume

Title : 醫山問答
Author : 洪大容
Published Year : 1766
저자(한글) : 홍대용
원서 언어 : 漢文
저자 약력 : 홍대용
18세기 조선의 실학자이며 북학파의 선두주자로서 《의산문답》에서 동양 최초로 지동설을 주장하고 우주무한론을 주창한 과학사상가이다. 자는 덕보이고 호는 담헌이다. 천문과 율력에 뛰어나 혼천의를 만들었으며, 일찍이 과거를 포기하고 참 선비로서의 수양과 참 학문의 실천에 평생 정진하였다. 저서에 《담헌서》가 있고, 편서에 《건정필담》 《주해수용》 《임하경론》 《사서문의》 《항전척독》 등이 있다.

Table of Contents

해제 천지와 인물에 대한 ‘일탈적’ 우화 11

1부 헛된 공부였음을 인정하다
1. 세상을 등지고 의무여산에 은거할 뜻을 품다 25
2. 지난 공부의 헛됨을 반성하고 가르침을 청하다 33
3. 사람이 사물과 다른 이치에 대해 묻고 논하다 46

2부 우주의 새로운 원리를 살펴보다
4. 기(氣)에서 우주가 생성되다 63
5. 땅은 구형이다 72
6. 지구의 메커니즘 우주의 무상하와 지면 위의 상하의 형세 80
7. 지구의 모두가 정계(正界) 93
8. 지전이 어떻게 가능한가 99
9. 서양의 지동설 부정에 대하여 106
10. 티코 모델에서 무중심의 우주 모델로의 전환 112
11. 고리 모양의 수 많은 은하계를 상상하다 또 다른 세계의 공간 118
12. 소옹의 원회운세설을 부정하다 122
13. 다른 세계를 유력(遊歷)하고픈 허자의 욕망을 질타하다 126
14. 지구는 왜 자전만 하나 무겁고 둔하기 때문이다 137

3부 천체와 기상 현상을 살펴보다
15. 고전적 천문관을 비판하고 분야설을 수정하다 143
16. 달 가운데 명암의 형상을 묻다 152
17. 하늘의 구조와 별들의 운행에 대하여 157
18. 요사한 별과 오행성의 밝기에 대하여 162
19. 일식과 재이론에 대하여 166
20. 기상 현상 1 바람·구름·비·눈·서리·우박·천둥·번개·무지개·무리 171
21. 기상 현상 2 청몽기차에 대하여 181
22. 기상 현상 3 지구설과 햇빛의 경사각에 의한 기후의 차이 186
23. 음양오행설과 인물의 근원으로서 태양 불의 역할 191

4부 땅에 대하여 논하다
24. 북고남저의 지세 203
25. 낮과 밤의 지역 간 장단에 대하여 206
26. 바다와 조석에 대하여 209
27. 지각 변동에 대하여 산 위의 조개껍질과 곤과 우의 치수 사업 216
28. 땅은 활물(活物)이다 221
29. 음택풍수와 적절한 장례법 225
30. 음택풍수와 동기감응에 대하여 235

5부 인류 역사를 새로 쓰다
31. 천지 생성 이후 인류 사회의 탄생 243
32. 중화 문명의 부침의 역사 252
33. 중화와 이적은 같다 267
참고문헌 273
찾아보기 279

Gallery

도서
검색

Daewoo Foundation Library

대우재단 총서 검색

대우재단에서 연구/출판 지원한 모든 도서를 한 곳에서 검색하실 수 있습니다.
바로가기
2019/07/30
아카넷 출판
신국판 A5 152x225mm
288 페이지
20,000원
ISBN 978-89-5733-638-0 94080

관련 총서

대우재단 규장각 새로읽는우리고전 제9권 서수일기 written by 오수창 and published by 아카넷 in 2015

서수일기

『서수일기』는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이 소장하고 있는 『해동지도』, 『1872년 지방지도』처럼 군현별 정보를 상세히 담고 있는 지도들을 풍부하게 활용하여

대우재단 대우학술총서 제467권 시스템 생태학 2 written by 박석순, 강대석 and published by 아르케 in 2000

시스템 생태학 2

생태계의 부분적 기능을 통합하여 하나의 시스템으로 연구하는 방법과 컴퓨터를 이용하여 생태계를 분석하고 재구성하는 과정을 소개한 책.

대우재단 대우휴먼사이언스 제1권 종교의 미래 written by 이태하 and published by 아카넷 in 2015

종교의 미래

우리에게 참된 종교의 모습은 무엇이며, 종교의 미래는 어떻게 펼쳐질 것인가? ‘종교의 시대’라는 역설, 잃어버린 성스러움을 찾아서

대우재단 대우학술총서 제603권 맹자의 땀, 성왕의 피 written by 김상준 and published by 아카넷 in 2011

맹자의 땀, 성왕의 피

맹자의 땀, 성왕의 피’를 이 책의 제목으로 삼은 이유는 이 두 개념이 유교문명을 이해하는 핵심이라고 생각하기

대우재단 총서 전체 태그

Dtalk 가무희 가족제도 가축 갑골문자 갑골학 강철웅 개인주의 건축학 견문기 경영학 경제 경제학 계몽주의 고고학 고구려 고대 고려 고분 고전 고전주의 고진하목사시인 공학 과학 과학기술 관료제도 광물학 교육학 구조주의 국가 국방 국제 규장각대우 그리스 근대 금속공예 금융 기독교 기록물관리 기하학 기호 기후학 김백철 김우중의료봉사상 김우중의료인상 김유석교수 꿈과휴 남미 남성 낭만주의 노예제도 노화도 논리학 농업 농학 니체 다문화주의 다산정약용 다산학 대동서 대우고전총서 대우꿈동산 대우재단 대우학술총서 대한제국 데이비드흄 데이터베이스 데카르트 도교 도시 도시공학 독일 동물학 동물행동학 동북아시아 동아시아 동양 동양철학 라틴아메리카 랑케 래모음집 러시아 러시아어 레이저 로마제국 르네상스 리만 마르크스 마리드프랑스 마키아벨리 막스베버 만엽집 맥시멀리즘 메가라학파 메커니즈즈즘 목민심서 몽고 몽고제국 무역 묵자 문광훈 문명 문명의기원 문자 문학 문헌정보 문화 문화유물론 문화인류학 물리주의 물리학 미국 미니멀리즘 미술 미학 민족 민주주의 바나흐 바도모리 박지향 발굴 발해 방언 백제 법인스님 법학 베트남 벽화 병자호란 보수주의 복지국가 봉건제도 분광학 분자물리학 불교 비교문학 비교언어학 비교종교학 비교학 비트겐슈타인 사법품보 사회 사회계급 사회과학 사회인류학 사회주의 사회학 산업혁명 산업화 삼국시대 상문명 상주사 생리학 생명공학 생명과학 생물 생물학 생체에너지 생태학 생화학 샤머니즘 서교 서양 서양미술 서양철학 서장원교수 서재필 서학 서학사 세계화 소설 소재공학 소크라테스 소피스트 수산업 수학 스탕달 스페인 슬라브어 시민인문학강좌 시베리아 시베리아개발 시장 시장경제 시카고학파 식문화 식물학 신경 신경과학 신동흔 신라 신약성서 신화 실용주의 실증주의 실학 심리 심리학 아담스미스 아동심리학 아랍 아리스토텔레스 아시아 아우구스티누스 아트선재센터 안보 알렉산드르게르첸 알타이어 암각화 양명학 양자 양자물리학 양자역학 양자학 어원론 언어 언어학 엔트로피 여성 여속사 역사 역사언어학 역사주의 역사학 역학 열역학 영국 영국혁명 영어 예술 완도 외교 외교학 우주과학 우주의기원 원철스님 유교 유기물 유기물질 유기화학 유라시아 유럽 유럽연합 유재건 유전자 윤리 윤리학 윤주옥 은대 음악 음악학 음운학 음파 음향학 응용과학 응용화학 의복문화 의상 의식주 의학 이론 이론물리학 이성 이슬람 이슬람교 이승종교수 인간주의 인공지능 인도 인류학 인문학 인상주의 인식론 인지심리학 일본 일본어 입자물리 자본주의 자서전 자연과학 자유주의 재료공학 전기 전라북도 전쟁 전통 전파 절대주의 정다산 정보통신 정보통신기술 정책 정치학 제1차세계대전 제3세계 제국 제국주의 제주도 조선 조형미술 존스튜어트밀 종교 종교학 종말론 종족제도 주거문화 죽음의춤 중국 중국어 중동 중미 중상주의 중세 중화사상 지구과학 지능 지도 지리 지리학 지명 지방 지방행정 지식의지평 지역 지역발전 지질학 진화론 진화심리학 진화학 천문학 천체물리학 철학 청나라 체계이론 체육 총론 춘추전국시대 충청남도 카시러 칸트 컴퓨터 컴퓨터공학 케인즈 쿤스트할오르후스 크로스토크 토지 토지소유 토텐탄츠 톰삭스 통계학 통신사 파장 포스트모더니즘 포스트모던 포스트휴먼 폴리스 풍속 풍수사상 풍수설 프랑스 프랑스혁명 프래그머티즘 프로이트 플라톤 하이에크 학술연구지원 학술지원사업 한국 한국도자제작기술사 한국어 한국의정원 한글 한자 합성소재 해석학 해양법 핵물리학 행복나눔섬지역센터 행정 향약 헬레니즘 혁명 현대 현상학 형이상학 호남실학 홍대용 화엄사상 화학 화학공학 환경 환경공학 환경과학 후설 훈민정음 희곡 희극 힉스입자 힐버트
Scroll to Top
Scroll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