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병희
1958년 서울 신정동 출생. 서울대 사범대학 역사교육과에서 학부를 이수했으며, 서울대 국사학과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목포대학교 사학과 교수를 역임했으며, 1998년 이래 한국교원대 역사교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뿌리 깊은 한국사 샘이 깊은 이야기(고려 편)』, 『고려후기 사원경제 연구』, 『고려 시기 사원경제 연구』 등의 저서가 있다.
고려 시기 및 조선 초 사원경제에 대해 여러 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그밖에 중세의 농업문제와 생태환경에 대해서도 관심을 두고 있다.
Abstract
“풍토가 다르면 농법도 다르다”
조선 세종대 편찬된 농사직설은 중국과 다른 조선의 농업 관행, 농업 경험에 기초해서 편찬한 우리나라 최초의 농서이다. 농사직설은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 등 삼남 지방의 선진 농법과 관행 기술을 조사 정리함으로써 조선의 풍토에 맞는 농서로 편찬한 것으로 ‘풍토부동론(風土不同論)’이 전제되어 있다. 우리나라의 각 지방에는 그 지방의 풍토관이 형성되어 있어 이에 따라 논밭을 갈고 씨를 뿌리며 곡물을 재배하기 때문이다. 한마디로 중국과 서로 다른 풍토가 전제된 것이다. 농사직설에는 주요 품종에 대해 항상 국내 재래명을 뜻하는 향명(鄕名)을 병기했다.
“여러 도의 감사에게 명해 주현(州縣)의 노농을 찾아 방문해 토질에 따라 이미 시험해본 경험을 갖추어 아뢰도록 했다. 또 신(臣) 정초에게 조리와 순서를 덧붙이게 했다. 신 정초와 종부소윤 신 변효문이 펼쳐 보고 참고해서 중복되는 것을 삭제하고 절실하고 중요한 것을 취해 한 편을 찬술해 완성하고 제목을 ‘농사직설(農事直說)’이라 했다. 농사 이외의 다른 말을 섞지 않았으며 힘써 간결하고 사실대로 써서 산야(山野)의 백성으로 하여금 [내용을] 환히 쉽게 알 수 있도록 했다.”(『세종실록』 권44, 世宗 11년 5월 16일)
또한 정초의 서문에도 농사직설 편찬의 의미를 다음과 같이 밝히고 있다.
“우리 주상전하(세종)에 이르러 밝은 정사를 이어서 다스리기를 도모했는데 더욱 백성의 일에 뜻을 두었다. 오방(五方)의 풍토가 같지 않아, 심고 재배하는 법에 각각 마땅함이 있기 때문에 고서와 모두 동일하게 할 수 없다고 했다. 이에 여러 도의 감사에게 명해 주현의 노농을 찾아 방문해 토질에 따라 이미 시험해본 경험을 갖추어 아뢰도록 했다.”
농사직설 구성과 내용의 특징
농사직설의 구성을 원문대로 나열하자면 ① 비곡종(備穀種) ② 경지(耕地) ③ 종마(種麻) ④ 종도(種稻) ⑤ 종서속(種黍粟) ⑥ 종직(種稷) ⑦ 종대두(種大豆)·소두(小豆)·녹두(菉豆) ⑧ 종대소맥(種大小麥) ⑨ 종호마(種胡麻) ⑩ 종교맥(種蕎麥) 등의 순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눈에 띄는 것은 양식(糧食) 작물은 대부분 재배법을 수록하고 있으나, 섬유작물은 마(麻)의 재배법만을 수록하고 있을 뿐, 목면(木綿)의 재배법을 제외한 점이다.
농사직설에서 가장 중시한 작물은 수도작(水稻作, 벼농사)이었다. 이것은 농상집요에서 한전 작물을 중시한 것과 크게 다른 점이다. 농사직설에 수록한 내용의 분량을 보아도 수전 중심임을 알 수 있다. 전체 10항목 가운데 벼농사 관련한 내용이 37.1%를 차지한다.
농사직설에 나타난 농법으로서 중국과 현저히 다른 점은, 한전 작물 재배에 화경(火耕) 농법과 간종법(間種法)이 보이는 것, 그리고 수도작에서의 건파법(乾播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화경 농법·간종법·건파법 등은 조선 고유의 내용이다. 2년3작 식의 작부 방식도 조선적인 특징으로 보기도 한다. 중국인이 그들의 자연환경 속에서 자신의 농업기술을 개발하고 발전시켰듯이, 조선인도 자신의 자연환경 속에서 그에 상응하는 농업기술을 개발·발전시켰던 것이다.
Original Volume
Title : 農事直說
Author : 鄭招, 卞季文
Published Year : 1429
저자(한글) : 정초
원서 언어 : 漢文
저자 약력 : 정초
조선 세종 때의 문신이다. 본관은 하동(河東)이고, 자는 열지(悅之)이며, 정희(鄭熙)의 아들이다. 태종 5년(1405) 문과에 급제하고, 태종 7년 중시에 합격했다. 이조판서·대제학을 지냈다. 세종 초의 과학 사업에 중요한 소임을 맡아 정인지(鄭麟趾)·정흠지(鄭欽之)와 함께 『대통통궤(大統通軌)』를 연구하고 『칠정산내편(七政算內篇)』을 편찬했으며, 간의대(簡儀臺)를 제작, 설치하는 일을 관장했다. 또한 왕명에 의하여 『농사직설(農事直說)』 『회례문무악장(會禮文武樂章)』 『삼강행실도』 등을 편찬했다. 시호는 문경(文景)이다.
변효문
조선 초의 문신이다. 본관은 초계(草溪)이고, 초명은 변계문(卞季文)이며, 자는 일민(一敏)이다. 변경(卞卿)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변빈(卞贇)이고, 아버지는 판윤(判尹) 변남룡(卞南龍)이며, 어머니는 영문하부사 염제신(廉悌臣)의 딸이다. 태종 14년(1414) 알성 문과에 을과 3등으로 급제, 내외직을 지낸 뒤 직제학을 거쳐 세종 10년(1428) 봉상시소윤(奉常寺少尹)을 지냈다. 세종 21년 판내섬시사(判內贍寺事)를 거쳐 그 이듬해 첨지중추원사가 되었으나, 이전에 회령대후(會寧待候)로 재직 시에 귀화한 여진인들의 의복지급사건에서 죄를 지은 사실로 의금부·사헌부 등의 탄핵을 받아 세종 23년(1441) 파직되었다. 세종 25년 첨지중추원사로 복직되어 통신사로 일본에 다녀왔으나, 태종 때의 죄인이었던 이속(李續)의 손자인 이인휴(李仁畦)를 통신사 수행 시 대동했다는 이유로 탄핵을 받았다. 세종 26년 『오례의주(五禮儀注)』를 상정(詳定)했다. 정초와 함께 『농사직설』을 편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