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주
2018/12/25
432 페이지
25,000 원
아카넷
ISBN 978-89-5733-617-5 94080

성학집요

Author(s)

이용주

Biography

이용주
서울대학교와 프랑스고등연구원에서 종교학과 중국학을 공부했으며 서울대학교에서 주희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광주과학기술원 기초교육학부에서 철학 및 비교종교학을 가르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죽음의 정치학: 유교의 죽음이해』(2015), 『생명과 불사: 포박자 갈홍의 도교사상』(2009), 『동아시아 근대사상론』(2009), 『도, 상상하는 힘』(2003), 『주희의 문화 이데올로기』(2003)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는 『세계 종교의 역사』(2018), 『종교 유전자: 진화심리학으로 본 종교의 기원과 진화』(2015), 『20세기 신화이론』(2008), 『중세사상사』(2007), 『세계종교사상사 1』(2005), 『사랑의 중국문명사』(2004) 등이 있다.

Abstract

[성학집요(聖學輯要)]는 조선의 대표적 성리학자 율곡 사상의 핵심이 담긴 저술로서 성리학의 입문서이자 제왕학의 교과서이며 조선의 경장을 촉구하는 시국론이다. ‘규장각 새로 읽는 우리 고전 총서’로 나온 [성학집요: 군자의 길, 성찰의 힘]은 이러한 텍스트의 복합적 의미를 살리는 ‘읽기’를 시도하며 방대한 원전의 ‘핵심’을 간추려 소개한다. 한마디로 이이는 [성학집요]에서 성학론(聖學論)에 입각한 제왕학을 편다. 곧 누구든 ‘수양’을 통해서 성인이 될 수 있으며[修己] 성인의 눈으로 신하를 구하여 정치를 펴야 한다[治人]는 것이다. 곧 제왕의 일은 ‘군자의 길’이며 ‘성찰의 힘’에서 비롯한다.

“[성학집요]는 치도(治道)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책이 참으로 절실하고 긴요하다. 여기에 실린 말은 부제학의 말이 아니라 성현의 말이다. 치도(治道)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내가 영특하지 못해서 몸소 실행하지 못할까 두렵다.” ― 선조(宣祖)

[성학집요]는 선조 8년(1575년) 홍문관 부제학에 오른 이이가 그해 9월 선조에게 지어 바친 제왕학의 교과서이다. 선조가 책을 받고 보인 반응은 위 실록의 기록처럼 우려에 가까운 것이었고 결국 치세는 이이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했지만, [성학집요]는 조선 후기에 경연(經筵) 시의 교재로 이용되며 [대학연의] 등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텍스트로 자리매김한다. “(명종 때 이황이 지어 바친) [성학십도]와 더불어 16세기 왕도정치 이념을 대표하는 정치서”([율곡 평전])라는 역사학자 한영우 교수의 평가도 율곡의 정치 이념이 [성학집요]에 잘 녹아들어 있음을 짐작케 한다.

위기의 시대에 경장을 촉구한 경세(經世)의 서(書)

율곡이 선조에게 [성학집요]를 지어 바친 일은 군주에게 조선 사회의 위기를 극복하는 책무를 짊어지우면서 신하로서 함께 자신의 책무를 다하는 일이었다. 율곡은 당시 조선 사회가 창업 이후에 일정한 수성의 기간을 거치면서 쇠락기로 접어들고 있다는 위기의식을 가지고 있었다. 느슨해진 국가의 기강과 도덕적 타락, 당파적 갈등으로 인한 대립, 제도의 해이 등이 율곡이 느끼던 위기의 뿌리였다. 그런 위기의 시대에 기본이 무너진 상황을 극복하여 처음 나라가 시작되었을 때의 긴장감으로 되돌아가는 것이 바로 경장(更張)이다. 2년여에 걸친 집필 기간과 43권 12책의 방대한 분량이 율곡 위기의식의 긴박함을 간접적으로 증거하며 향후 임진왜란(1592~1598) 등으로 현실화하는 위기에 대한 선견지명을 증명한다.

“바른 세상을 만드는 데는 관심이 없고, 사욕을 채우는 데만 혈안이 된 지도자, 대통령, 제왕을 가진 민족, 국민, 공동체는 불행하다. 현재는 군주가 없는 세상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대로 된 정치 지도자를 가져보지 못한 우리로서는 율곡의 말이 너무나 절실하게 와 닿는다. 군주의 인격과 능력을 확대하는 것이 조선을 위기에서 구해내는 길이라고 생각했던 율곡은 조선을 중흥으로 이끌기 위한 처방전으로서 [성학집요]를 편찬했다.”

제왕의 수양이 위기를 극복하는 왕도다

성리학자들은 군주가 성인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누구든 수양을 통해서 성인이 될 수 있다[聖人可學]는 유교의 이론적 전제에서 비롯한다. 대표학자 율곡도 군주의 수양을 강조했다. 율곡에게 수양은 바른 정치[爲政]를 위한 토대였다. 율곡이 후일 인의(仁義)를 실현하는 왕도정치는 바로 이 ‘수양’의 바탕 위에서만 가능한 것이었다. 성리학의 입문서이자 제왕학의 교과서라고 불리는 [성학집요] 역시 핵심은 ‘수양’에 있다. 43권 12책 분량의 방대한 저술 가운데 ‘수기편’과 ‘도통편’을 중심으로 율곡의 대표작인 [성학집요]를 읽어낸 까닭도 여기에 있다. 이 두 편은 성리학의 사상적 규모, 성리학의 역사의식, 나아가 성리학의 목표인 인격 수립의 비전을 보여주는 핵심이다.

“수양은 크게 이론을 정립하는 일과 자기의 인격을 바로세우는 일로 나뉜다. 올바른 사상의 범주를 획정하는 도통(道統)이 전자라면 몸과 마음으로 이루어진 자기를 닦는 수기(修己)가 후자에 해당한다. 곧 성리학에서 수양은 결국 ‘도통론’에 입각해서 선별된 이론을 자기화하는 공부가 된다. 성리학의 입문서이자 제왕학의 교과서라고 불리는 [성학집요] 역시 핵심은 ‘수양’에 있다.”

율곡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 핵심을 읽는다

율곡은 유학의 근본 문서인 사서삼경의 문장을 선별하고 그 문장에 대한 성리학자들의 주석을 해설 형식으로 덧붙이고 그것을 자신의 언어로 요약 정리했다. 지은이 이용주 교수(광주과학기술원)는 원저자 율곡의 언어인 ‘안어’에 주목하여 율곡의 사상과 그것의 토대가 되는 성리학의 이론 및 유학의 사상적 주제 전반을 해설하려고 시도했다. 원전이 ‘율곡 판 성리학의 체계 점검’이라면 이 책은 ‘[성학집요]의 핵심 읽기’인 것이다. 조선의 중흥을 꿈꾸었던 선각자 율곡. 그의 목소리가 오늘을 사는 우리에게도 호소력 있게 전달되는 것은 이 ‘핵심 읽기’의 또 다른 미덕이다.

“오늘날에 정치인에게 요구되는 인격은 민주시민으로서의 시민윤리, 공정성, 준법성 등등이다. 시민으로서의 기본 자질을 갖추는 것이 현대적 의미의 ‘수신(修身)’이라는 말이다. 정치인뿐 아니라 시민 개개인이 그런 가치를 내재화할 때, 비로소 시민적 가치로 무장한 정치가를 선택할 수 있다.”

Original Volume

Title : 聖學輯要
Author : 李珥
Published Year : 1575
저자(한글) : 이이
원서 언어 : 漢文
저자 약력 : 이이
조선시대 최고의 성리학자이자 정치가로 꼽히는 율곡 이이는 1536년(중종 31) 아버지 이원수李元秀와 어머니 신사임당申師任堂 사이에서 태어났다. 태어난 곳은 외가가 있던 강릉이고, 고향은 파주 율곡으로, 그는 율곡을 자신의 호로 삼았다. 어린 시절부터 영특하여 13세에 진사 초시에 합격한 이래 모두 아홉 번의 과거에 합격하고 그중 일곱 번 장원하였다.
선조 2년, 홍문관 교리였던 율곡은 일종의 연구 휴가인 사가독서를 얻는다. 그 기간에 열정적인 정책 제안서인 [동호문답東湖問答]을 지어 제출하지만 그 개혁안은 받아들여지지 않고, 실망한 그는 관직을 떠난다. 이후 은거와 출사, 사직을 반복하다 38세에 홍문관 직제학으로 다시 중앙 정치에 복귀한다. 이듬해 정3품 우부승지가 된 율곡은 기상 이변으로 인해 당황한 선조가 신하들에게 제언을 구하자, 사회문제에 대한 대책을 제시한 [만언봉사萬言封事]라는 상소문을 올린다. 그 밖에도 평생 학문과 저술에 힘써 제왕의 지침서인 《성학집요聖學輯要》, 선비들의 기본 교육서인 《격몽요결擊蒙要訣》 등 많은 저술을 남긴다.
선조의 신임을 받아 고위직을 두루 거친 율곡은 병조판서로 있던 1583년(선조 16), 군정을 마음대로 하고 임금을 업신여긴다는 이유로 동인의 탄핵을 받아 사직하고 고향으로 내려간다. 그리고 이듬해 정월 49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난다. 그의 개혁안들은 당시 거의 채용되지 못했으나 그의 학문과 경세 사상은 조선 후기의 학자와 정치인들에게 계승되었다.

Table of Contents

간행사
『성학집요』 읽기를 시작하며

1부 『성학집요』 서론
1. 『성학집요』를 바치는 글
2. 『성학집요』의 집필 목표
3. 『성학집요』의 구성과 내용
4. 임금에 대한 율곡의 바람
5. 범례

2부 『성학집요』 총론
1. 유교 윤리학과 정치학

3부 수기: 성찰의 힘
1. 수기 입문: 유교 수양론의 윤곽
2. 수기 본론
1) 백성 다스리기의 근본
2) 수기와 지행합일
3. 입지: 뜻을 세우다
1) 입지는 방향 설정이다
2) 입지의 실패
3) 지도자로서 군주의 책무
4. 수렴: 마음을 모으다
1) 경, 유교 수양론의 중심
2) 정좌는 지식 공부의 기초
5. 궁리: 이치를 탐구하다
1) 궁리(窮理)란 무엇인가?
2) 독서의 중요성
3) 성선설
4) 마음은 하나다
5) 사단은 정(情)의 일부, 이기 호발(互發)의 오류
6) 리통기국, 이기관계
7) 궁리와 활연관통
6. 성실: 진실한 마음을 회복하다
7. 교기질: 기질을 교정하다
8. 양기: 기를 기르다
9. 정심: 마음을 바로잡다
1) 마음 바로잡기
2) ‘경’과 ‘미발’에 대하여
3) 미발과 이발에 대해서
4) 미발 시의 함양과 성찰
5) 미발 시의 체인의 중요성
6) 마음 작용의 혼(昏)과 란(亂)
10. 검신: 몸을 점검하다
1) 천형(踐形)의 중요성
2) 수양에서 몸의 중요성
11. 회덕량: 덕을 확장하다
12. 보덕: 군주의 덕을 보완하다
13. 돈독: 성실한 노력을 기울이다
14. 수기공효: 수기의 성과

4부 성현도통: 성리학의 정통론
1. 도통론 개요
2. 도통의 계승과 단절
3. 도의 기원과 전승
4. 현실의 어둠과 군주의 책무

원문
참고문헌
찾아보기

Gallery

도서
검색

Daewoo Foundation Library

대우재단 총서 검색

대우재단에서 연구/출판 지원한 모든 도서를 한 곳에서 검색하실 수 있습니다.
바로가기
2018/12/25
아카넷 출판
신국판 A5 152x225mm
432 페이지
25,000원
ISBN 978-89-5733-617-5 94080

관련 총서

대우재단 대우고전총서 제43권 아메리카의 민주주의 1 written by 이용재 and published by 아카넷 in 2018

아메리카의 민주주의 1

시대를 뛰어넘어 민주주의의 본질을 예리하게 포착한 정치사상사의 고전이자 미지의 신세계를 뜻했던 아메리카 합중국에 대한 직접적인 관찰을

대우재단 대우고전총서 제45권 윤리학의 방법 written by 강준호 and published by 아카넷 in 2018

윤리학의 방법

윤리학적 주요 개념들에 대한 서양 근대 사상가들의 엇갈리는 주장들, 고대로부터 전승된 덕목에 대한 세인들의 일관성 없는

대우재단 대우학술총서 제560권 문학해석학이란 무엇인가 written by 이문희 and published by 아카넷 in 2004

문학해석학이란 무엇인가

과거 해석학 이론에 대한 역사적 인식론적 비판을 바탕으로 오늘날 해석학의 역사적 입지점을 확보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기존

대우재단 규장각 새로읽는우리고전 제12권 연병지남 written by 노영구 and published by 아카넷 in 2017

연병지남

『연병지남』은 1612년(광해군 4)에 한교(韓嶠)가 지은 군사훈련용 병서이다. 책이 출간된 광해군 초반은 누르하치가 여진 부족 대부분을 통합하면서

대우재단 대우학술총서 제595권 동서양의 신뢰 written by 김재한 and published by 아카넷 in 2009

동서양의 신뢰

동서양 여러 국가들을 대상으로 사회적 신뢰의 발현 양태와 변동 양상을 실증적,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이를 동서양을 아우르는

대우재단 총서 전체 태그

Dtalk 가무희 가족제도 가축 갈릴레오 갑골문자 갑골학 개인주의 건축학 견문기 경영학 경제 경제학 계량경제학 계몽주의 고고학 고구려 고대 고려 고분 고전 고전주의 고진하목사시인 공학 과거제도 과학 과학기술 과학혁명 관료제도 광물학 교육 교육학 구조주의 국가 국경 국방 국제 그리스 근대 금속공예 금융 기독교 기록물관리 기하학 기호 기후변화 기후학 김우중의료봉사상 김우중의료인상 김유석교수 꿈과휴 남미 남성 낭만주의 노예제도 논리학 농업 농학 뉴튼 니체 다문화주의 다산정약용 다산학 대기 대동서 대우고전총서 대우꿈동산 대우재단 대우학술총서 대학 대한제국 데이비드흄 데이터베이스 데카르트 도교 도시 도시공학 독일 동력 동물학 동물행동학 동북아시아 동아시아 동양 동양철학 라틴아메리카 랑케 러시아 러시아어 레이저 로마제국 르네상스 리만 마르크스 마키아벨리 막스베버 만엽집 맥시멀리즘 메가라학파 메커니즈즈즘 목민심서 몽고 몽고제국 무역 묵자 문명 문명의기원 문자 문학 문헌정보 문화 문화유물론 문화인류학 물리주의 물리학 미국 미니멀리즘 미술 미학 민족 민주주의 바나흐 바도모리 발굴 발해 방언 백제 법인스님 법학 베이컨 베트남 벽화 보수주의 복지국가 봉건제도 분광학 분자물리학 불교 비교문학 비교언어학 비교종교학 비교학 비트겐슈타인 사회 사회계급 사회과학 사회인류학 사회주의 사회학 산업혁명 산업화 삼국시대 상문명 상주사 생리학 생명공학 생명과학 생물 생물학 생체에너지 생체화학 생태학 생화학 샤머니즘 서교 서양 서양미술 서양철학 서장원교수 서재필 서학 서학사 세계화 소설 소재공학 소크라테스 수산업 수학 스탕달 스페인 슬라브어 시베리아 시베리아개발 시장 시장경제 시카고학파 식문화 식물학 신경 신경과학 신동흔 신라 신약성서 신화 실용주의 실증주의 실학 심리 심리학 아담스미스 아동심리학 아랍 아시아 아우구스티누스 아트선재센터 안보 알타이어 암각화 양명학 양자 양자물리학 양자역학 양자학 어원론 언어 언어학 엔트로피 여성 여속사 역사 역사언어학 역사주의 역사학 역학 열역학 영국 영국혁명 영양학 영어 예술 온난화 외교 외교학 우주과학 우주의기원 운동 원철스님 유교 유기물 유기물질 유기화학 유라시아 유럽 유럽연합 유재건 유전자 윤리 윤리학 은대 음악 음악학 음운학 음파 음향학 응용과학 응용화학 의복문화 의상 의식주 의학 이론 이론물리학 이성 이슬람 이슬람교 이승종교수 인간주의 인공지능 인도 인류학 인문학 인상주의 인식론 인지심리학 일본 일본어 입자물리 자기공명 자본주의 자연과학 자유주의 재료공학 전기 전라북도 전쟁 전통 전파 절대주의 정다산 정보통신 정보통신기술 정책 정치학 제1차세계대전 제3세계 제국 제국주의 제주도 조선 조형미술 존스튜어트밀 종교 종교학 종말론 종족제도 주거문화 죽음의춤 중국 중국어 중동 중미 중상주의 중세 중화사상 지구과학 지능 지도 지리 지리학 지명 지방 지방행정 지식의지평 지역 지역발전 지질학 진화론 진화심리학 진화학 천문학 천체물리학 철학 청나라 체계이론 체육 총론 춘추전국시대 충청남도 카시러 칸트 컴퓨터 컴퓨터공학 케인즈 쿤스트할오르후스 토지 토지소유 토텐탄츠 톰삭스 통계학 통신사 파장 포스트모더니즘 포스트모던 포스트휴먼 폴리스 풍속 풍수사상 풍수설 프랑스 프랑스혁명 프래그머티즘 프로이트 플라즈마 플라톤 피카레스크 하이에크 학술연구지원 한국 한국도자제작기술사 한국어 한국의정원 한글 한자 합성소재 해석학 해양법 핵물리학 핵융합 행정 향약 헬레니즘 혁명 현대 현상학 형이상학 호남실학 홍대용 화엄사상 화학 화학공학 환경 환경공학 환경과학 후설 훈민정음 희곡 희극 힉스입자 힐버트
Scroll to Top
Scroll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