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숙
2017/01/20
432 페이지
25,000 원
아카넷
ISBN 978-89-5733-530-7 94910

열하기유

Author(s)

이창숙

Biography

이창숙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중문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같은 과의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중국고전희곡을 전공하여 원잡극을 비롯한 청대의 궁중 연극 등 중국 고전극 전반을 연구하고 있다.
『모란정(牡丹亭)』 등 중국 희곡의 명작과 조선시대의 한문 희곡 『북상기(北床記)』(공역)를 번역·해설하여 한국 독자들에게 소개하는 한편, 두보(杜甫) 시의 역주와 해설 작업에도 참여하고 있다.
연행록을 중심으로 전통시대 한국과 중국의 교류에도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병행하고 있다.

Abstract

『열하기유: 조선 학자의 눈에 비친 열하와 북경』 소개

『열하기유(熱河紀遊)』 는 서호수가 1790년(정조 14) 청나라 건륭제의 팔순 만수절 진하사의 부사로서 열하와 북경을 다녀오며 중요한 사건과 견문을 기록한 연행일기다.
이 책에서 서호수는 만주족이 지배하던 청나라의 현실을 있는 그대로 보고 분석하려는 치밀한 시선을 견지한다. 그는 연행 중 거쳐 간 지역의 연혁과 당시 수비 병력 등의 현황을 세밀하게 기록하고 고증하였다. 또한 청조의 인물이나 몽골, 베트남, 티베트 등 외국 사절과의 교류에도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며, 외국의 지리와 풍속에도 관심을 갖고 기록하는 등 조선 외교관으로서의 면모도 드러낸다. 특히 궁중 극장에서 관람한 당시 청나라 궁중 연극을 기록하여 귀중한 자료를 남겼다.
또한 천문학자이자 수학자로서 청에 소개된 서양 과학에도 큰 관심을 보였다. 그는 청에 머물고 있는 서양 선교사를 방문하여 학문적 대화를 나누고, 마테오리치의 무덤을 찾아 상우(尙友)의 감회를 표출하였다.
이처럼 그의 연행기는 당시 동아시아 국제 정세를 보여주는 역사적 기록일 뿐 아니라, 18세기 동서양의 문물이 만나 새로운 싹을 틔우는 모습을 보여주는 교류의 문화지(文化誌)이기도 하다.

『열하기유』 내용

18세기 기행의 시대에 탄생한 서호수의 ‘청나라 문화유산답사기’
제목만 보고서는 ‘박지원의 열하일기?’라고 생각할지 모르겠다. 그 ‘열하’가 맞긴 맞다. 조선의 230여 년 연경행 역사 중 열하를 다녀온 것은 1780년과 1790년 단 두 번뿐이었는데, 박지원은 1780년에 열하를 다녀온 후 『열하일기』를 저술했으며, 서호수는 1790년에 열하를 다녀온 후 『열하기유』를 남겼다.

한자문화권에서는 시(時)와 함께 문(文)으로서는 사실을 말하는 실기류(實記類)의 산문들이 존중되는 전통이 강했다. 기행문이나 일기류는 이런 산문의 전통에 따라 발전했는데, 일찍이 신라 승려 혜초가 727년에 완성한 『왕오천축국전』만으로도 1,300년 가까이 된 우리나라 기행 문학의 역사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삼국과 고려를 거쳐 조선시대에도 유람과 기행을 글로 남기는 전통은 계속돼왔는데, 특히 조선 시대에는 명나라와 청나라, 일본으로 오가는 사행(使行)단이 한 해에도 천여 명씩 있어서, 그 체험을 쓴 사행 일기 문학이 풍부해졌다.

중국 사절단의 체험은 조선시대에만 500편 이상의 연행록으로 남아 전해지고 있고, 일본으로 오간 통신사 일기 또한 수십 편에 이른다. 조선시대에는 해마다 세 차례 이상 사절단이 중국 여행길에 올랐고, 연경에 갔던 선비들 대부분이 기행문을 남겼다. 조선시대의 말엽에 나온 『연원직지』에서 김경선은 수많은 연행록 중에서 김창업의 『노가재 연행일기』, 홍대용의 『담헌연기』, 박지원의 『열하일기』를 ‘북경 기행문의 삼가(三家)’라고 평가했다. 흥미로운 점은 이들이 모두 18세기의 인물이라는 점으로, 18세기에는 이 외에도 수많은 연행기가 탄생했다. 이처럼 연행사와 통신사가 활발했던 동아시아뿐만 아니라 당시 서양도 대항해 시대, 그랜드 투어의 시대가 절정으로 치닫고 있으니, 18세기는 그야말로 만개한 ‘여행의 시대’였다고 할 수 있겠다.

18세기 기행의 시대에 탄생한 서호수의 『열하기유』는 당시 절대권력으로서의 중국, 서양과의 관계 등 동아시아 국제 정세를 보여주는 역사적 기록일 뿐 아니라, 18세기 동서양의 문물이 만나 새로운 싹을 틔우는 모습을 보여주는 교류의 문화지(文化誌)이기도 하다. 방문한 지역의 지세, 연원, 역사적인 사건들을 자세히 기록한 서호수 못지않게 역해자인 서울대 중문과 이창숙 교수가 자세한 평설을 덧붙임으로써 열하기유는 현대판 ‘청나라 문화유산답사기’로 재탄생했다.

『열하일기』와 『열하기유』
박지원의 『열하일기』와 서호수의 『열하기유』는 각각 청나라 건륭제의 칠순(1780년)과 팔순(1790년) 생일의 사절단으로서 다녀온 체험을 기록한 것으로, 10년이라는 세월의 차이를 제외하고는 사행의 목적과 시기가 같고, 방문한 곳 또한 북경과 열하로 같다. 사절단으로서는 처음으로 열하를 방문했다는 것 때문에 당시에 주목을 받았고, 그의 명성과 유려한 필치 덕분에 현재까지도 열하 기행문으로는 박지원의 『열하일기』가 널리 알려져 있다.

형식 면에서 『열하기유』는 일기체 저술로, 주로 그날 있었던 일을 기록하고 관련 문헌을 인용해 자신의 견해를 덧붙였다. 『열하일기』는 그 형식과 내용에 따라 일기체로 쓴 기행문과 그렇지 않은 글로 이루어져 있다. 대체로 주제에 따라 글을 나누고 제목을 붙였는데 북경과 열하로 이동하는 여정은 주로 일기체로 썼다. 나머지 글들은 다양한 형식과 내용으로 기술했는데 물건이나 장소, 인물 등에 대해 백과사전식으로 서술한 글도 있고, 「허생전」과 「호질」 같은 소설도 있다.

내용 면에서는 둘 다 꼼꼼한 기록을 남기고 있으나, 당시 실학에 심취하고 이용후생에 관심을 기울였던 연암의 경우 여행 중 견문한 청나라의 문물과 삶의 모습을 바탕으로 이용후생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다양한 필치로 피력하였다. 반면 서호수가 사행을 나섰던 1790년에는 이미 북학의 논의가 무르익었고 박제가와 유득공을 수행원으로 데려갈 만큼 북학파와도 사이가 가까웠지만 『열하기유』에는 북학 논의는 잘 보이지 않는다. 대신 만주족 청나라의 현실을 있는 그대로 분석하는 치밀한 시선이 돋보인다. 물론 서호수도 전형적인 조선의 성리학자였지만 이미 대명의리론에만 매여 있지는 않았다. 만주족이 중원에 들어가 이룩한 번영과 평화의 실상을 목도하고, 그 가치를 인정하는 데 조금도 주저하지 않았다.

박지원이 청조의 대내외 정치적 상황을 주의 깊게 살피고, 대명의리론을 고집하는 조선 관료들에 대해 일침을 가하는 등 정치적 견해를 강하게 드러내고 있다면, 서호수는 사실 기술에 더 집중한다. 특히 자신의 전공 분야인 천문, 역산, 악률에 대한 내용이 자세하게 기록되어 있다. 또한 열하와 북경에서 매일 관람했던 연극에 대한 기록 또한 큰 가치가 있다.

조선 최고의 과학자 서호수에게 연행은 배움과 물음의 길이었다

서호수(1736~1799)는 조선후기 영·정조 때 육조 판서를 모두, 그것도 여러 번 지낸 엘리트 관료다. 서호수의 가문은 북학파의 시조로 일컬어지는 부친 서명응과 『임원경제지』를 편찬한 아들 서유구 등 3대에 걸쳐 과학·농학 서적 편찬을 비롯한 여러 업적을 쌓은 과학기술자 집안이다. 우리에게는 장영실이나 홍대용만큼 잘 알려지지는 않았지만, 서호수 역시 조선 최고의 과학자 중 한 명이다.

서호수는 세종 이후 또 한 번의 과학기술 부흥기였던 영·정조 시기에 정부의 공식적인 천문역산학을 정리하고, 중국을 통해서 들어온 서양의 수학 및 천문학 이론을 연구 검토함으로써 조선 후기 천문역산의 기반을 탄탄하게 한 인물이다. 구체적으로는 조선 400여 년간의 천문현상 기록을 수집해서 정리해 《국조역상고》를 편찬하고, 밤과 낮의 시각과 절기를 정확하게 계산해냈으며, 두 개의 해시계를 하나의 돌에 새겨놓은 간평일구·혼개일구를 창제했다. 2016년에 한국과학창의재단에서 선정한 ‘대한민국 대표 과학자 31인’에 포함될 정도로 인정받은 과학자였다.

『열하기유』에 드러난 생각들로 미루어 볼 때, 그는 오늘날의 자연과학적 기초를 충분히 갖추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서양 선교사와 천문학을 두고 나눈 대화를 봐도 당시까지 중국에 소개된 서양 천문학 지식을 잘 파악하고 있었음이 나타난다. 서호수는 과학 지식을 배우려는 열정 못지않게 외교관으로서의 임무에도 열의를 다한다. 몽골, 베트남, 티베트, 라오스 등 연회에 참석한 외국 사신들을 부지런히 찾아다니며 대화를 나누고 귀 기울이는가 하면 방문한 지역의 지세, 연원, 역사적인 사건들을 자세히 기록한다. 그의 연행은 학자로서 배움과 물음의 길이기도 했다.

서호수 『역상고성후편』의 일전과 월리, 교식(交食)은 이미 타원의 방법을 썼으니 오성(五星)의 본천도 타원이라고 보아야 합니다. 그러나 금성, 수성 두 별의 본천과 태양의 본천은 같아서 당연히 일전 타원법(?圓法)을 따라야 하고, 토성, 목성 두 별은 지구에서 거리가 매우 멀어 본천이 거의 항성 본천과 같으니 타원법을 쓸 필요가 없습니다. 오직 화성(본천)은 혹은 태양의 본천 밖에 있고 혹은 태양의 본천 안에 있어 변동이 무상한데, 화성이 태양의 본천 안에 있을 때 화성과 지구의 거리와 태양과 지구의 거리는 100대 266이 됩니다. 이는 화성 본천이 태양 본천보다 더 낮을 때가 있어서 태의타원법(?圓法)으로 계산하여 자료 표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미 측량한 것이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탕사선 합하께서는 정심한 경지의 이면까지 보셨습니다. 화성 차륜 반경의 이치는 과연 이해하기 어려우니 그 까닭은 본천이 정원(正圓)이 될 수 없으므로 타원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구해야 하지만 아직 추산한 것이 없습니다. (본문 295-297쪽)

***
서호수 귀국의 강역은 동으로는 바다에 이르고 서로는 노과(老?, 라오스)와 연접하였으며, 남으로 점성(占城)과 통하고 북으로는 광서(廣西), 운남(雲南)과 이어졌으니 국내의 성(省)과 부(府)는 얼마나 됩니까?
반휘익 동서가 1700여 리, 남북이 2800여 리이며 지금 16도(道)로 나뉘어 있습니다.
서호수 귀국은 천정(天頂)이 적도(赤道)에 가까워서 기후는 항상 덥고, 곡식은 1년에 두 번씩 익는다고 하는데 그렇습니까?
반휘익 그렇습니다.
서호수 곽향(藿香), 육계(肉桂)는 귀국에서 생산되는 것이 품질이 좋다고 하는데 그러합니까?
반휘익 곽향은 광서(廣西)에서 나는 것이 품질이 좋고, 육계는 우리나라에서 나는 것이 과연 품질이 좋습니다. 그러나 계피는 반드시 청화(淸化) 지방에서 채취하는데, 근래에는 여러 번 전화(戰禍)를 겪어서 경내의 계림(桂林)이 다 유린돼버렸습니다. 그래서 좋은 산품을 얻기는 매우 어렵습니다.

조선과 안남의 사신은 서로 상대국의 기본적인 정보는 대략 파악하고 있었다. 조선과 안남은 한나라 무제(武帝) 이후 중국을 중심으로 짜인 동아시아의 국제질서 속에서 가장 비슷한 처지의 두 나라였다. 어쩌면 세계사 속에서 이란성 쌍둥이라고 불러도 좋을 만큼 두 나라의 역사는 중국을 상대하면서 거의 같은 궤도를 달려왔다. (본문 174-175쪽)

***
조선과 안남은 관복이 비슷하다. 1790년의 안남사신은 청나라에서 준 만주족의 옷을 입었다. 서호수는 그 점을 지적한다.

안남사신은 머리칼을 묶어 뒤로 드리우고 오사모(烏紗帽)를 쓰며, 소매 넓은 홍포(紅袍)를 입고, 금과 대모로 장식한 띠를 매고 검은 가죽신을 신어서 우리나라의 의관과 비슷한 데가 많다고 들었다. 이제 보니 그 군신(君臣)이 다 만주의 의관을 따르되 머리는 깎지 않았다. 내가 괴이하게 여겨 반휘익에게 물었다.
“귀국의 의관은 본래 만주와 같습니까?”
반휘익이 말하였다.
“황상께서 우리 임금의 친조를 가상히 여겨 특별히 수레와 의관을 하사하고, 또 배신(陪臣)들에게까지 주셨습니다. 그러나 또한 왕의 말씀을 받들어 경사에서 조회와 제사에 참예할 때는 본국 의관을 사용하고, 본국으로 돌아가면 도로 본국 의관을 착용하기로 하였습니다. 이 의관은 한때 입을 뿐입니다.”
말이 자못 또록또록하고, 낯에는 부끄러운 빛이 있었다.

건륭은 안남왕이 직접 입조하여 체면을 세워 주었으므로 만주족의 복식을 주었다. 열하에서 잔치에 참여할 때는 만주옷을 입고, 북경과 본국에서는 다시 본국의 의관을 착용하도록 허락하였다. 이 사실을 하나하나 분명히 밝혀서 조선사신에게 해명하면서도 남의 옷을 입은 부끄러움은 감출 수 없었던 모양이다. (본문 183-184쪽)
***
서호수는 이날 일기에 청나라 신하들이 황제에게 바친 생일선물을 세밀하게 기록하였다.

(중략) 새벽에 근정전 문 앞에서 내무부의 관원이 어느 순무(巡撫)가 바친 물품의 목록을 펼쳐 읽는데, 30여 종이 다 금옥(金玉)과 기완(奇玩)이다. 끝에는 “노재(奴才) 아무개는 공손히 바칩니다.”라고 썼다. 아마 만주의 풍속은 임금과 신하 사이에 ‘신(臣)’이라고 일컫지 않고 ‘노재(奴才)’라고 일컫는 듯하다. 또 보니 서장국(西藏國)에서 금불 12좌를 바쳐 출입현량문(出入賢良門) 밖에 진열하였고, 성경 장군(盛京將軍)이 바친 80수레의 각종 물품은 원명원 문밖에 진열하여 놓았다. (중략)

건륭제의 80세 생일잔치는 인류 역사상 최대의 잔치였음에 분명하다. 전국 각지에서 각층 신민이 바친 선물이 황궁에 산더미처럼 모이고, 자금성 서화문(西華門)에서 원명원에 이르는 20리 연도의 양쪽에는 임시 건축물을 연이어 설치하였다. 서호수는 신민이 바친 선물의 진열과 연도의 임시 건축물을 모두 ‘점철’이라고 표현하였다. 즉 빈틈없이 빼곡히 연결되어 있다는 말이다. 연도의 건축물의 그 상세한 내역은 곧 다시 기록하지만 그 이름을 대기조차 힘든 이런 가설 건축물은 내각(內閣), 육부(六部)와 각 부(府), 원(院)과 각성으로부터 거인(擧人), 상민(商民), 폐원(廢員)에 이르기까지 경쟁적으로 세우고 꾸며서 온갖 사치를 다부렸다. (본문 256-257쪽)

***
이제 종실과 문무백관, 외국의 사절이 하례를 올릴 차례이다. 이때 단폐대악을 연주한다. 24명의 악대가 대고(大鼓), 방향(方響), 운라(雲?)와 관(管) 등 네 가지 악기로 서서 연주하고, 이에 맞추어 종친과 신료, 사절이 하례를 올린다.

단폐대악이 연주되자 종실, 각라와 몽·회의 여러 왕공과 문무백관이 배위(拜位)에 나아간다. 친왕이 한 반이고, 세자와 군왕이 한 반이며, 장자·패륵·패자·안남왕이 한 반이고, 진국공·보국공이 한 반이다. 좌익은 서쪽이 상석이고 우익은 동쪽이 상석인데, 다 북면하였다. 문무 정종품관(正從品官)들은 각자 품급산(品級山)에 맞추어 서열대로 의장 안의 동서에 서니 각각 18반씩이다. 동반은 서쪽이 상석이고, 서반은 동쪽이 상석인데, 다 북면하였다.

품급산은 태화전 뜰에 설치한 관원의 위치 표지이다. 진강기(陳康祺, 1840-1890)의 『낭잠기문초필(?潛紀聞初筆)』 권6에 “태화전 뜰의 품급산은 정일품부터 구품까지 새겨서 문관은 왼쪽, 무관은 오른쪽에 두며, 정과 종을 합치면 4행 36개이다. …… 송나라 사람들의 배반석을 계승한 제도로서 다만 지금은 금속을 산형으로 주조하여서 다르다.”고 하였다. 품급산은 구리로 주조한 산봉우리 형태로 높이는 30센티미터 정도이다. 만주어와 한자로 품급을 새겨 태화전 계단 아래 어도의 양옆에 설치하였다. 동서에 각 2열씩 모두 4열이며, 총수는 36개였다. 지금 태화전 뜰에서는 볼 수 없다. (본문 307-308쪽)

중국 궁중연극사 연구에 큰 기여

『열하기유』는 중국 궁중연극사 연구에 있어서도 매우 가치 있는 기록이다. 청나라 궁중에서는 연극 관람이 일상생활의 일부였다. 각종 행사와 절기, 매월 초와 보름에 정기적으로 연극을 상연하였다. 따라서 현대인들이 매일 저녁 텔레비전에서 일일연속극을 시청하듯 청나라의 황제와 황족들은 거의 매일이라고 해도 좋을 만큼 자주 연극을 관람하였다.

특히 건륭제는 연극 관람을 내치와 외교에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는데 1780년과 1790년의 만수절에는 황족 대신과 외국의 사절들이 함께 연극을 관람하였다. 서호수보다 10년 먼저 1780년에 열하를 방문했던 박지원도 삼층대희대의 연극을 문틈으로 또 담장 너머로 관람하고 자세한 기록을 남겨 놓았다.
서호수가 참석했던 1790년의 생일잔치에서도 대대적으로 연극을 상연하였다. 연극 상연은 주로 매일 새벽에 시작하여 정오를 넘겨 끝났는데 하루에 보통 7-8시간 정도 상연하였다. 서호수도 매일 연극을 관람한 후 연극의 제목과 줄거리, 감상평을 기록하였는데, 배우들의 복장과 무대연출 등 상황을 매우 세밀하게 묘사한 그의 기록은 청나라 궁중연극사를 연구하는 데 매우 가치 있는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진시에 연극을 시작하여 오시에 연극을 그쳤다. 반도승회(蟠桃勝會), 만선집록(萬仙集?), 왕모조천(王母朝天), 희축요년(喜祝堯年), 승평환흡(昇平歡洽), 낙연중추(樂宴中秋), 만국내역(萬國來譯), 회회진보(回回進寶), 오대흥륭(五代興隆), 오곡풍등(五穀?登), 가문청길(家門淸吉), 군선대회(群仙大會) 등 모두 12장(章)이었다. 선찬(宣饌)이 두 차례 있었다. 처음에는 어탁(御卓)에 차린 것을 주었고, 두 번째에는 각각 한 상씩 갖추어 주었다. 음식을 물린 뒤에는 다 낙차(酪茶)를 선사하였다. 연극을 시작할 때 선동 60명이 각각 발발(??)을 받들었는데 선도(仙桃) 형상에 금으로 쓴 수(壽) 자와 채화(彩花)로 꾸몄다. 축사(祝辭)를 노래하고 어좌를 향하니 환관이 섬돌을 내려가서 받아다가 어탁 위에 벌여 놓았다. 잠시 후에 연희에 참석한 여러 신하들에게 나누어 주고, 또 빈과(?果), 포도, 복숭아, 임금(林檎) 등을 나눠 주었다. (본문 313-314쪽)

신선과 부처로 분장한 자가 있고, 신귀(神鬼)로 분장한 자가 있고, 제왕(帝王)으로 분장한 자도 있었다. 절주(節奏)와 소리 가락이 장(작품)에 따라 각각 다르지만 대체로 경사를 맞이하고 축수하는 가사가 많다. 여래(如來)의 장엄한 32상(相)이 연화대(蓮花臺) 위에 가부좌(跏趺坐) 하고, 방편문(方便門)을 열고 항사계(恒沙界)를 열면 수백 나한(羅漢)이 좌우에 모여 선다. 자금원광(紫金圓光)을 이고 금수가사(錦繡袈裟)를 걸치고 나계(螺?)가 서로 붙고, 구슬 눈썹이 서로 비춘다. 구름 사이 묘음과 하늘 끝 법라(法螺)가 범패(梵唄)를 따라 오르내린다. 계부(桂父)와 모군(茅君)이 무지개 치마를 나부끼며 구름수레를 타고 현포(玄圃)에 소요한다. 삼십륙법(三十六法)을 크게 드러내면 황금 정자(頂子)를 달고 옥띠를 맨 선관(仙官)과 갑옷 입고 칼을 짚은 신장(神將)이 벌여 서서 모시고 옹위하니 온화하고도 엄숙하여 우아한 모습에 씩씩한 기상을 겸하였다. 또 선동(仙童) 수백 명이 채색 저고리와 수놓은 치마를 입고 꺾어 돌며 나아가고 물러간다. 단약을 만들자면 양경(陽鏡)을 감싸서 아홉 번 굽고, 비록(秘?)을 빌자면 수선(壽扇)을 받쳐 들고 층층이 뽑는다. 선계의 아름다운 노래를 제창하고, 생황과 소(簫)로 맞추어 소리가 맑고 명랑하다. 하신(河神)과 해귀(海鬼)가 파도 깃발을 들고 빙빙 돌며 쫓으며 흔들흔들 기세가 용솟음치고, 용을 타고 고래를 몰며 뗏목에 오르고 학(鶴)을 부리는 뭇 신선들이 한가롭게 와서 노니니 용은 비등하고 고래는 뛰며 내뿜는 물보라가 비와 같다. 혹은 명엽(蓂葉)이 돋아나는 세 층계 섬돌에서 봉인(封人)이 요 임금에게 복을 빌고, 오색구름 요지(瑤池)에서 서왕모(西王母)가 주목왕(周穆王)에게 선도(仙桃)를 바친다. 면류관과 곤룡포가 은은하고 번쩍인다.
(본문 156-157쪽)

『열하기유』의 구성과 내용

『열하기유』는 4권 2책으로 구성되어 있고, 『연행기』라는 제목의 필사본이 3종 있다. 일본 오사카부립 나카노시마도서관 소장본(오사카본)과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버클리캠퍼스 동아시아도서관 소장본(버클리본),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본(규장각본)이 있다. 오사카본과 버클리본에는 원래의 지면을 오려내고 다른 종이를 기워 넣은 흔적이 있고, 『열하기유』에는 『연행기』의 세 가지 판본에는 실려 있지 않은 문장이 군데군데 더 들어 있는 것으로 보아 『열하기유』가 원본이라고 할 수 있다. 규장각 새로 읽는 우리 고전 시리즈인 『열하기유: 조선 학자의 눈에 비친 열하와 북경』에서는 3권까지의 내용 중에서 중요한 부분들을 발췌 번역했다.

1권은 「진강성에서 열하까지」로 6월 7일 진강성에 도착한 이후, 다음 달 7월 15일 열하에 도착하기까지의 여정을 적었다. 조선과 관련 있는 만주 지역의 주요 지명, 연혁, 지리적 위치를 집중적으로 고증하고 성책의 제도 및 군대배치 상황과 그 지방의 역사적 사건들도 설명하고 있다.
2권은 「열하에서 원명원까지」로 7월 16일 열하에서 머문 이후 같은 달 26일 원명원에 들어간 일을 기록하고 있다. 안남, 대만, 왜와의 관계 및 안남왕조의 역사 등에 대해 상세하게 기록했다.
3권은 「원명원에서 연경까지」로 7월 27일 원명원에서 머문 이후 9월 2일 연경에서 떠나기 전까지의 일들을 적었다. 북경의 풍물 및 관복제도· 진하예단· 회사품·답례품의 품목· 표문, 원명원 연회 상황과 만수절 예식들을 기록하였다. 그리고 서양력 사용 문제· 서적 구입 문제도 보인다. 또 유득공과 함께 당시 청의 대학자인 옹방강과 교류한 내력도 기록되어 있다.

Original Volume

Title : 熱河紀遊
Author : 徐浩修
Published Year : 1790
저자(한글) : 서호수
원서 언어 : 漢文
저자 약력 : 서호수
조선 영정조 시대의 관료이자 학자이다. 1765년 식년시에 장원급제하여 중앙과 지방의 여러 관직을 두루 역임하였다. 정조가 즉위하면서 도승지가 되었으며, 규장각 설치에 기여하였고, 『규장총목(奎章總目)』 을 편찬하였다. 1776년 진하겸사은부사로서 북경에 다녀왔다. 육조 판서를 다 지내고, 1790년 청나라 건륭제의 팔순 생일에 진하겸사은부사로 뽑혀 다시 북경에 다녀왔는데 이 연행의 기록이 『열하기유(熱河紀遊)』, 『연행기(燕行紀)』다. 그는 천문학과 악률에도 정통하였다. 문집은 남기지 않았지만 『해동농서(海東農書)』와 『국조역상고(國朝曆象考)』 등을 저술하였고, 과학자적 사 고와 현실에 기반한 혜안으로 당시 청나라의 현실을 세밀하게 관찰하고 분석하였다.

Table of Contents

해제 9
열하기유서(熱河紀遊序) 23
1권 진강성(鎭江城)에서 열하(熱河)까지 29
2권 열하(熱河)에서 원명원(圓明園)까지 143
3권 원명원(圓明園)에서 연경(燕京)까지 243
주석 399
참고문헌 416
찾아보기 421

Gallery

도서
검색

Daewoo Foundation Library

대우재단 총서 검색

대우재단에서 연구/출판 지원한 모든 도서를 한 곳에서 검색하실 수 있습니다.
바로가기
2017/01/20
아카넷 출판
신국판 A5 152x225mm
432 페이지
25,000원
ISBN 978-89-5733-530-7 94910

관련 총서

대우재단 대우학술총서 제109권 중국수학사 written by 김용운, 김용국 and published by 민음사 in 1996

중국수학사

우리는 지금 유럽 수학을 세계 공통의 학문으로 다루는 한편에서 이것을 우리와는 다른 문화로 이해하고 그 밑을

대우재단 대우학술총서 제34권 언어에 대한 지식 written by 이선우 and published by 민음사 in 1990

언어에 대한 지식

언어 능력의 본질을 탐구하는 책. 저자는 언어 구조에 대한 연구가 인간 정신에 통찰을 제공한다는 생각을 설득력

대우재단 대우고전총서 제43권 아메리카의 민주주의 1 written by 이용재 and published by 아카넷 in 2018

아메리카의 민주주의 1

시대를 뛰어넘어 민주주의의 본질을 예리하게 포착한 정치사상사의 고전이자 미지의 신세계를 뜻했던 아메리카 합중국에 대한 직접적인 관찰을

대우재단 총서 전체 태그

Dtalk 가무희 가족제도 가축 갑골문자 갑골학 강철웅 개인주의 건축학 견문기 경영학 경제 경제학 계몽주의 고고학 고구려 고대 고려 고분 고전 고전주의 고진하목사시인 공학 과학 과학기술 관료제도 광물학 교육학 구조주의 국가 국방 국제 규장각대우 그리스 근대 금속공예 금융 기독교 기록물관리 기하학 기호 기후학 김백철 김우중의료봉사상 김우중의료인상 김유석교수 꿈과휴 남미 남성 낭만주의 노예제도 노화도 논리학 농업 농학 니체 다문화주의 다산정약용 다산학 대동서 대우고전총서 대우꿈동산 대우재단 대우학술총서 대한제국 데이비드흄 데이터베이스 데카르트 도교 도시 도시공학 독일 동물학 동물행동학 동북아시아 동아시아 동양 동양철학 라틴아메리카 랑케 래모음집 러시아 러시아어 레이저 로마제국 르네상스 리만 마르크스 마리드프랑스 마키아벨리 막스베버 만엽집 맥시멀리즘 메가라학파 메커니즈즈즘 목민심서 몽고 몽고제국 무역 묵자 문광훈 문명 문명의기원 문자 문학 문헌정보 문화 문화유물론 문화인류학 물리주의 물리학 미국 미니멀리즘 미술 미학 민족 민주주의 바나흐 바도모리 박지향 발굴 발해 방언 백제 법인스님 법학 베트남 벽화 병자호란 보수주의 복지국가 봉건제도 분광학 분자물리학 불교 비교문학 비교언어학 비교종교학 비교학 비트겐슈타인 사법품보 사회 사회계급 사회과학 사회인류학 사회주의 사회학 산업혁명 산업화 삼국시대 상문명 상주사 생리학 생명공학 생명과학 생물 생물학 생체에너지 생태학 생화학 샤머니즘 서교 서양 서양미술 서양철학 서장원교수 서재필 서학 서학사 세계화 소설 소재공학 소크라테스 소피스트 수산업 수학 스탕달 스페인 슬라브어 시민인문학강좌 시베리아 시베리아개발 시장 시장경제 시카고학파 식문화 식물학 신경 신경과학 신동흔 신라 신약성서 신화 실용주의 실증주의 실학 심리 심리학 아담스미스 아동심리학 아랍 아리스토텔레스 아시아 아우구스티누스 아트선재센터 안보 알렉산드르게르첸 알타이어 암각화 양명학 양자 양자물리학 양자역학 양자학 어원론 언어 언어학 엔트로피 여성 여속사 역사 역사언어학 역사주의 역사학 역학 열역학 영국 영국혁명 영어 예술 완도 외교 외교학 우주과학 우주의기원 원철스님 유교 유기물 유기물질 유기화학 유라시아 유럽 유럽연합 유재건 유전자 윤리 윤리학 윤주옥 은대 음악 음악학 음운학 음파 음향학 응용과학 응용화학 의복문화 의상 의식주 의학 이론 이론물리학 이성 이슬람 이슬람교 이승종교수 인간주의 인공지능 인도 인류학 인문학 인상주의 인식론 인지심리학 일본 일본어 입자물리 자본주의 자서전 자연과학 자유주의 재료공학 전기 전라북도 전쟁 전통 전파 절대주의 정다산 정보통신 정보통신기술 정책 정치학 제1차세계대전 제3세계 제국 제국주의 제주도 조선 조형미술 존스튜어트밀 종교 종교학 종말론 종족제도 주거문화 죽음의춤 중국 중국어 중동 중미 중상주의 중세 중화사상 지구과학 지능 지도 지리 지리학 지명 지방 지방행정 지식의지평 지역 지역발전 지질학 진화론 진화심리학 진화학 천문학 천체물리학 철학 청나라 체계이론 체육 총론 춘추전국시대 충청남도 카시러 칸트 컴퓨터 컴퓨터공학 케인즈 쿤스트할오르후스 크로스토크 토지 토지소유 토텐탄츠 톰삭스 통계학 통신사 파장 포스트모더니즘 포스트모던 포스트휴먼 폴리스 풍속 풍수사상 풍수설 프랑스 프랑스혁명 프래그머티즘 프로이트 플라톤 하이에크 학술연구지원 학술지원사업 한국 한국도자제작기술사 한국어 한국의정원 한글 한자 합성소재 해석학 해양법 핵물리학 행복나눔섬지역센터 행정 향약 헬레니즘 혁명 현대 현상학 형이상학 호남실학 홍대용 화엄사상 화학 화학공학 환경 환경공학 환경과학 후설 훈민정음 희곡 희극 힉스입자 힐버트
Scroll to Top
Scroll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