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유승
2016/10/10
288 페이지
20,000 원
아카넷
ISBN 978-89-5733-514-7 94380

동국세시기

Author(s)

장유승

Biography

장유승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책임연구원.
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한국학대학원을 거쳐 서울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승정원일기』, 『정조어찰첩』 등 20여 책의 한문 고전을 번역했다.
『쓰레기 고서들의 반란』으로 한국출판문화상 편집상, 『동아시아의 문헌 교류』(공저)로 한국출판학술상 우수상을 수상했다.

Abstract

우리 세시풍속의 통념을 깨는 새로운 『동국세시기』 역해·비평서
『동국세시기』는 조선 후기 벌열가문 출신인 홍석모가 1849년경 완성한 책이다. 필사본으로 전해지다가 1911년 조선광문회에서 홍석모의『동국세시기』, 김매순의 『열양세시기』, 유득공의 『경도잡지』를 합편하여 한 권의 책으로 간행하였다.

일제 강점기인 1930년대에 ‘실학’ 개념이 제기되면서 『동국세시기』는 민족 주체성을 강조하고 근대 지향성을 보여주는 실학적 저술로 평가받게 되었다. 해방 이후 민족주의적 연구 경향이 뚜렷해지면서 이 책은 중국과 차별화된 민족 고유 세시풍속에 대한 긍지의 산물이라는 인식이 굳어졌다.

이 책의 역해자인 장유승 박사는 기존의 민족주의적 관점에서 탈피해 『동국세시기』의 의미를 전혀 새롭게 평가하였다. 역해자가 쓴 ‘해제’를 보면 이런 시각이 잘 드러나 있다.

“『동국세시기』는 ‘중국과 다른 조선’ 또는 ‘중국과 대등한 조선’을 강조하기 위한 저술이 아니다. 『동국세시기』는 중국이라는 세계의 일부로서 조선이 가지고 있는 보편성과 차별성을 세계에 보여주기 위한 저술이다. 따라서 『동국세시기』에 기록된 세시풍속을 ‘우리 고유의 풍속’으로 성급히 단정 짓는 것은 위험하다. 『동국세시기』의 세시풍속 가운데 상당수는 동아시아 제국(諸國)의 보편적인 풍속이다.”

역해자에 따르면, 홍석모가 우리 풍속의 기원을 중국에서 찾은 이유는 당시에 유행한 고증학의 영향을 받은 탓이며, ‘대일통(大一統)’ 정책하에서 문화적 보편성을 추구했기 때문이다. 이런 배경에서『동국세시기』 속 세시풍속의 본질을 포착할 필요가 있다고 역해자는 말한다.

『동국세시기』의 세시풍속은 정말 우리 고유의 풍속일까
『동국세시기』에 따르면 대보름의 귀밝이술, 단오의 그네타기, 삼복의 개장국, 동지의 팥죽 등 우리나라에서 행하는 세시풍속 가운데 절반 이상이 중국에 기원을 두고 있다. 이 때문에 『동국세시기』를 가리켜 ‘모화사상에 의한 견강부회’라는 비난도 있었지만 민족주의적 저술로 바라보는 입장이 워낙 강해 큰 문제로 여겨지지 않았다. 역해자는 이 두 가지 입장을 모두 떠나 ‘동아시아 풍속의 공통성’이라는 측면에서 『동국세시기』를 바라보고자 하였다. 즉 보편성이라는 큰 틀 안에서 차별성이 무엇인가를 세세히 살펴본 것이다.
예컨대 홍석모는 단옷날 창포물에 머리 감기가 중국에서 기원한 풍속이라 썼으나 역해자는 중국 문헌에 창포물에 머리 감기는 보이지 않는다고 하였다. 다만 『대대례기』에 난초로 목욕한다는 내용이 있으니 단오를 맞이해 정갈하게 목욕하고 머리 감는 풍속은 비슷하다고 보았다.

『동국세시기』의 한계와 실상을 밝힌 역저
역해자는 『동국세시기』의 세시풍속을 우리나라의 보편적인 풍속으로 간주하는 것 또한 무리라고 말한다. 『동국세시기』는 어디까지나 이 책이 편찬된 19세기 중반 한양 일대의 풍속을 반영하고 있다는 것이다.
일례로 책 속에 등장하는 떡국, 개장 등의 명절 음식은 대부분 시장에서 파는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대보름에 어린아이들이 가지고 노는 연과 바람개비, 단옷날의 부채, 초파일의 등도 모두 시장에서 파는 것이다. 이는 홍석모가 살았던 한양에서 볼 수 있는 풍경이며 다른 지방에까지 확대할 수 없다는 말이다.
지방의 풍속이라 기록된 것들도 홍석모가 직접 목도한 일부를 제외하면 대부분 1530년 편찬된 『신증동국여지승람』을 인용한 것이다. 300년 전의 문헌을 그대로 인용했다면 과연 그 지방 풍속이 홍석모 당대까지 계승되고 있었는지 확신할 수 없다. 서울 풍속에 대한 서술 역시 50년 전 저술된 『경도잡지』에 의거한 것이 많아 풍속의 전래 여부는 알 수 없다. 즉 문헌에 의지한 저술의 한계를 인지하고 『동국세시기』를 보아야 한다는 말이다.

약 70종의 옛 문헌을 참조해 저자의 진술을 논증한 믿을 만한 비평서
장유승 박사는 우리 세시풍속에 대한 비판적이고 균형 잡힌 시각을 제공하기 위해 이 책을 썼다. 연세대학교에 소장된 필사본을 저본으로, 조선광문회 출간본과 인용 문헌을 확인해 이 전에 발견되지 않았던 원문의 오류를 짚어내고 명칭과 설명 등이 정확한가를 꼼꼼히 검증해 냈다. 나아가 거의 70종에 달하는 옛 문헌을 조사하여 『동국세시기』에 언급된 세시풍속이 과연 얼마나 오랜 전통을 지닌 것이며 얼마나 보편적인 것인가를 해설에 밝혀두었다.
따라서 이 책은 홍석모가 지은 『동국세시기』의 번역서일 뿐 아니라 역사적ㆍ사회적 배경 속에서 이 저서의 의미를 밝혀내고 구체적 내용을 하나하나 분석한 탁월한 비평서라 할 수 있다.

『동국세시기』 속 재미있는 이야기
세뱃돈은 노비에게 주던 돈
정월 풍속은 『동국세시기』 분량의 절반을 차지한다. 대부분 고려시대부터 전해온 것이며, 지금까지도 크게 변하지 않았다. 지금과 다른 풍경은 사돈지간의 부녀자들이 곱게 단장한 어린 계집종을 보내 서로 새해 안부를 물었다는 것이다. 이런 어린 종을 ‘문안비’라 불렀다고 한다. 그렇다면 세뱃돈은 언제부터 있었을까? 역해자는 해설에서 세뱃돈에 대한 언급이 세시기에 잘 보이지 않는다며, “조선시대의 도덕관념상 친지에게 세배를 하고 돈을 받는다는 것은 수긍하기 어렵다. 어디까지나 추측이지만, 문안비에게 주는 수고비에서 유래한 것이 아닌가 한다.”라고 말한다.

신라시대부터 먹었던 약밥
대부분의 세시풍속이 중국에 기원을 두고 있지만 드물게 우리나라에서 시작된 풍속도 언급되었다. 대보름에 먹는 약밥이 그것인데, 『삼국유사』에 실려 있는 ‘사금갑’ 설화에서 유래하였다고 한다. 음력 6월 15일 유두일에 동쪽으로 흐르는 물에 머리를 감고 모여서 술을 마시는 풍속 또한 경주에서 시작되어 고려시대에 풍속으로 자리 잡은 우리 고유의 풍속이었다고 한다.

송편은 추석에만 먹는 떡이 아니다
『동국세시기』에 송편이 가장 먼저 등장하는 부분은 2월 초하루이다. “흰떡을 만드는데 큰 것은 손가락만 하고 작은 것은 계란만 하게 모두 반달 모양으로 만든다. 콩을 삶아 떡소를 만들고, 솔잎을 사이에 깔고 시루에 넣어 찐다. 꺼내서 물로 씻고 향유를 바른다. 송편[松餠]이라고 한다. 노비에게 나이 숫자대로 준다.(본문 103~104쪽)” 그다음 8월 편에 올벼(제철보다 일찍 여무는 벼)로 송편을 만든다는 구절이 나온다.
역해자에 따르면 송편은 문헌에 따라 삼짇날, 초파일, 단옷날, 유두일의 음식으로 등장하는데 조수삼의 「세시기」에 2월 초하루의 음식으로 등장한다고 한다.

그 밖의 재미있는 풍속으로 5월 10일, 태종의 기일마다 내리는 태종우가 있다. 태종이 임종하면서 “가뭄이 한창 심하니, 죽어도 지각이 있다면 반드시 그날 비를 내리겠다.” 하였는데 그 뒤 과연 비가 내렸다고 한다. 7월 칠석에는 민가에서 옷을 널어 말리는 풍속이 있다고 짧게 소개되었는데, 우리에게도 잘 알려진 견우직녀 설화는 실려 있지 않다.

Original Volume

Title : 東國歲時記
Author : 洪錫謨
Published Year : 1849
저자(한글) : 홍석모
원서 언어 : 漢文
저자 약력 : 홍석모
본관은 풍산(豊山), 자는 경부(敬敷), 호는 도애(陶厓). 조선 후기 벌열가문 출신으로, 이계(耳溪) 홍양호(洪良浩)의 손자이며 훈곡(薰谷) 홍희준(洪羲俊)의 아들이다. 1804년(순조4) 생원시에 합격하여 과천 현감, 황간 현감을 지내고, 1826년 부친을 따라 청나라에 다녀왔다. 이후 안산 군수, 남원 부사를 역임하였다. 방대한 독서와 여행 경험을 바탕으로 수천 수의 시를 남겼다. 서울의 세시풍속을 소재로 지은 「도하세시기속시(都下歲時記俗詩)」 126수와 우리나라의 세시풍속을 종합한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의 저자로 유명하다. 이 밖에 『상심록(賞心錄)』, 『유연고(遊燕藁)』, 『도애시집(陶厓詩集)』, 『도애시문선(陶厓詩文選)』 등의 저술이 있다.

Table of Contents

해제 ‘민족 고전’의 허상과 실상
서문
1월 설날 | 입춘 | 인일 | 상해일, 상자일 | 묘일, 사일 | 대보름 | 1월 기타
2월 초하루 | 2월 기타
3월 삼짇날 | 청명 | 한식 | 3월 기타
4월 초파일 | 4월 기타
5월 단오 | 5월 기타
6월 유두 | 삼복 | 6월 기타
7월 칠석 | 중원 | 7월 기타
8월 추석 | 8월 기타
9월 중양절
10월 오일 | 10월 기타
11월 동지 | 11월 기타
12월 납일 | 섣달그믐 | 12월 기타
윤달

Gallery

도서
검색

Daewoo Foundation Library

대우재단 총서 검색

대우재단에서 연구/출판 지원한 모든 도서를 한 곳에서 검색하실 수 있습니다.
바로가기
2016/10/10
아카넷 출판
신국판 A5 152x225mm
288 페이지
20,000원
ISBN 978-89-5733-514-7 94380

관련 총서

대우재단 대우학술총서 제578권 그리스인들의 신화와 사유 written by 박희영 and published by 아카넷 in 2005

그리스인들의 신화와 사유

그리스인들이 신화적, 종교적 표상 및 사유의 틀들을 어떻게 정치적, 사회적 사유 그리고 더 나아가 철학적 사상으로

대우재단 대우고전총서 제31권 윤리형이상학 written by 백종현 and published by 아카넷 in 2012

윤리형이상학

칸트 말년의 대표작. 『윤리형이상학』이란 『법이론의 형이상학적 기초원리』와 『덕이론의 형이상학적 기초원리』, 이 두 책을 묶어 부를 때

대우재단 규장각 제2권 Kyujanggak 2/2 written by 김문식, 신병주, 연갑수, 강문식 지음; 이강한 번역; Milan Hejtmanek 편집 and published by 아카넷 in 2010

Kyujanggak 2/2

규장각의 과거와 현재를 폭넓게 돌아보고 규장각에 소장된 책들의 역사적이고 문화적인 의미를 되짚어보고자 “규장각의 역사와 문화” 시리즈의

대우재단 대우학술총서 제74권 중국희곡 written by 양회석 and published by 민음사 in 1994

중국희곡

이 책은 중국 희곡에 대한 최초의 총체적인 저술이다. 戱曲은 중국 고유의 연극 양식을 가리키는데, 이것은 중국인의

대우재단 대우고전총서 제5권 실천이성비판 written by 백종현 and published by 아카넷 in 2002

실천이성비판

새롭게 나온『실천이성비판』은 최근까지의 칸트철학에 대한 국내외 연구성과와 현재의 우리말 어감을 최대한 반영하여 번역한 것이다. 충실한 원문번역과

대우재단 총서 전체 태그

Dtalk 가무희 가족제도 가축 갑골문자 갑골학 강철웅 개인주의 건축학 견문기 경영학 경제 경제학 계몽주의 고고학 고구려 고대 고려 고분 고전 고전주의 고진하목사시인 공학 과학 과학기술 관료제도 광물학 교육학 구조주의 국가 국방 국제 규장각대우 그리스 근대 금속공예 금융 기독교 기록물관리 기하학 기호 기후학 김백철 김우중의료봉사상 김우중의료인상 김유석교수 꿈과휴 남미 남성 낭만주의 노예제도 노화도 논리학 농업 농학 니체 다문화주의 다산정약용 다산학 대동서 대우고전총서 대우꿈동산 대우재단 대우학술총서 대한제국 데이비드흄 데이터베이스 데카르트 도교 도시 도시공학 독일 동물학 동물행동학 동북아시아 동아시아 동양 동양철학 라틴아메리카 랑케 래모음집 러시아 러시아어 레이저 로마제국 르네상스 리만 마르크스 마리드프랑스 마키아벨리 막스베버 만엽집 맥시멀리즘 메가라학파 메커니즈즈즘 목민심서 몽고 몽고제국 무역 묵자 문광훈 문명 문명의기원 문자 문학 문헌정보 문화 문화유물론 문화인류학 물리주의 물리학 미국 미니멀리즘 미술 미학 민족 민주주의 바나흐 바도모리 박지향 발굴 발해 방언 백제 법인스님 법학 베트남 벽화 병자호란 보수주의 복지국가 봉건제도 분광학 분자물리학 불교 비교문학 비교언어학 비교종교학 비교학 비트겐슈타인 사법품보 사회 사회계급 사회과학 사회인류학 사회주의 사회학 산업혁명 산업화 삼국시대 상문명 상주사 생리학 생명공학 생명과학 생물 생물학 생체에너지 생태학 생화학 샤머니즘 서교 서양 서양미술 서양철학 서장원교수 서재필 서학 서학사 세계화 소설 소재공학 소크라테스 소피스트 수산업 수학 스탕달 스페인 슬라브어 시민인문학강좌 시베리아 시베리아개발 시장 시장경제 시카고학파 식문화 식물학 신경 신경과학 신동흔 신라 신약성서 신화 실용주의 실증주의 실학 심리 심리학 아담스미스 아동심리학 아랍 아리스토텔레스 아시아 아우구스티누스 아트선재센터 안보 알렉산드르게르첸 알타이어 암각화 양명학 양자 양자물리학 양자역학 양자학 어원론 언어 언어학 엔트로피 여성 여속사 역사 역사언어학 역사주의 역사학 역학 열역학 영국 영국혁명 영어 예술 완도 외교 외교학 우주과학 우주의기원 원철스님 유교 유기물 유기물질 유기화학 유라시아 유럽 유럽연합 유재건 유전자 윤리 윤리학 윤주옥 은대 음악 음악학 음운학 음파 음향학 응용과학 응용화학 의복문화 의상 의식주 의학 이론 이론물리학 이성 이슬람 이슬람교 이승종교수 인간주의 인공지능 인도 인류학 인문학 인상주의 인식론 인지심리학 일본 일본어 입자물리 자본주의 자서전 자연과학 자유주의 재료공학 전기 전라북도 전쟁 전통 전파 절대주의 정다산 정보통신 정보통신기술 정책 정치학 제1차세계대전 제3세계 제국 제국주의 제주도 조선 조형미술 존스튜어트밀 종교 종교학 종말론 종족제도 주거문화 죽음의춤 중국 중국어 중동 중미 중상주의 중세 중화사상 지구과학 지능 지도 지리 지리학 지명 지방 지방행정 지식의지평 지역 지역발전 지질학 진화론 진화심리학 진화학 천문학 천체물리학 철학 청나라 체계이론 체육 총론 춘추전국시대 충청남도 카시러 칸트 컴퓨터 컴퓨터공학 케인즈 쿤스트할오르후스 크로스토크 토지 토지소유 토텐탄츠 톰삭스 통계학 통신사 파장 포스트모더니즘 포스트모던 포스트휴먼 폴리스 풍속 풍수사상 풍수설 프랑스 프랑스혁명 프래그머티즘 프로이트 플라톤 하이에크 학술연구지원 학술지원사업 한국 한국도자제작기술사 한국어 한국의정원 한글 한자 합성소재 해석학 해양법 핵물리학 행복나눔섬지역센터 행정 향약 헬레니즘 혁명 현대 현상학 형이상학 호남실학 홍대용 화엄사상 화학 화학공학 환경 환경공학 환경과학 후설 훈민정음 희곡 희극 힉스입자 힐버트
Scroll to Top
Scroll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