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재훈
2014/09/25
2015년 세종도서 학술부문 우수도서
192 페이지
18,000 원
아카넷
ISBN 978-89-5733-387-7 94910

동호문답

Author(s)

정재훈

Biography

정재훈
서울대학교 국사학과에서 학사, 석사, 박사과정을 마쳤다.
조선 전기에 『대학』 을 중심으로 유교 정치사상이 어떻게 이해, 수용되고 자기화하였는지를 검토하여 〈조선 전기 유교 정치사상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조선의 사상과 문화의 정체성과 특성, 동아시아에서의 위상 등에 관심이 많다.
현재는 경북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활동하면서 조선의 국왕(國王), 연행(燕行) 등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조선 전기 유교 정치사상 연구』 , 『조선시대의 학파와 사상』 , 『조선의 국왕과 의례』 와 다수의 공저, 『용헌집』 , 『동사』 등의 번역서, 『18세기 연행과 정조(正祖)』 등 다수의 논문이 있다.

Abstract

“먼저 잘못된 법을 개혁하여 민생을 구해야 합니다.
잘못된 법을 개혁하고자 하면 마땅히 언로(言路)를 넓혀서 좋은 방책을 모아야 합니다.
위로는 고관으로부터 아래로는 노비에 이르기까지 모두 당면한 문제점을 각자 말하도록 하여
그 말이 과연 쓸 만한 것이라면, 신분의 높고 낮음에 상관없이 취해야 합니다.
그런 후에야 나라에 희망이 있을 것입니다.” -『동호문답』,「백성을 편안하게 하는 방법」중에서

조선의 군주론은 이처럼 우아하다
마키아벨리가 쓴 서양의 군주론은 국가와 군주에 관한 역사적 고찰이다. 중세의 도덕률이나 종교관에서 벗어나 있는 강력한 군주만이 분열된 이탈리아를 구원할 수 있다고 역설했다. 한걸음 더 나아가 군주는 신하와 백성들의 사랑을 받기보다 오히려 두려움의 대상이 되는 편이 더 낫다고 이야기한다. 사랑이란 신하와 백성들이 군주에게 주는 것이므로, 그것을 거두어들이는 것 역시 그들에게 주도권이 있다. 인간의 변덕을 감안할 때, 신민의 사랑에 기대는 군주는 언제 자신의 기반을 잃을지 모른다. 반면 두려움이나 경외감은 자신에게서 나오는 것이므로 스스로의 통제권 아래에 있다. 군주가 신민으로부터 사랑도 받고 경외심도 불러일으킨다면 더 말할 나위가 없겠지만, 그것은 현실적으로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차라리 두려움의 대상이 되는 편이 더 안전하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조선의 군주론, 즉 『동호문답』에서는 ‘임금의 도’를 어떻게 이야기하고 있는가. 임금와 신하가 함께 다스린다[君臣共治]는 의미에서 서양의 그것과는 그 맥이 다르다 할 수도 있다. 하지만 임금에게 있던 정치의 주도권을 신하와 함께 나눈다는 것 자체가 보다 세련된 정치사상이지 않을까. 임금은 어진 신하를 구하여 귀히 쓰고, 어진 신하는 백성의 어려움을 두루 살펴 바른 정치를 펴는 것을 으뜸으로 적고 있다. 그리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임금의 역할, 신하의 역할, 이것이 이루어지기 어려움 등을 나열하며 그 현실적 가능성을 모색한다.

위기에 처한 조선, 율곡 이이의 고민
‘규장각 새로 읽는 우리 고전’ 시리즈의 여덟 번째 책, 『동호문답』은 홍문관 교리였던 이이가 ‘사가독서제’의 혜택을 받아 동호독서당에 머물면서 왕에게 월과(月課)로 지어올린 일종의 보고서다. 사가독서제는 세종 대에 처음 도입된 제도로, 촉망받는 젊은 학자관료가 자택이나 사찰 등에 머물면서 독서와 연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였다. 그러나 자택에 머물면서는 독서에 매진하기 힘들었고, 유학자들이 사찰에 머무는 것도 마뜩치 않아 했다. 그래서 성종과 중종 대에 풍광 좋은 곳에 독서당을 짓고 젊고 능력이 출중한 문신, 학자, 관료들을 이곳에 보내 재충전의 기회를 갖도록 했다. 궁중 음식을 전담하는 기관인 태관(太官)에서 만든 음식이 끊이지 않고, 옥으로 장식한 수레와 말을 내린 것만 보아도 독서당에 대한 왕의 관심이 얼마나 높았는지를 알 수 있다.
과거시험에 아홉 번이나 장원을 차지한 이이가 독서당에 든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이었다. 그러나 이이는 영예로운 독서당에 와서도 쉽게 잠들지 못했다. 당시 조선 사회는 심하게 요동치고 있었다. 개국한 지 150년, 조선 초기의 질서는 뿌리부터 흔들리고 있었고 사회적 갈등은 커져만 갔다. 당대 최고의 엘리트였던 이이는 이 같은 조선의 위기를 타개하기 위한 자신의 생각을 왕에게 지어 올린다. 이것이 바로 『동호문답』이다.

새로운 조선의 설계자, 이이가 꿈꾸었던 나라
16세기는 조선 초기에 만든 질서가 와해되면서 기존 질서를 대체할 새로운 질서, 새로운 설계를 시도하려는 노력이 줄기차게 이어졌다. 정치권력의 교체뿐만 아니라 이전까지의 경제 질서, 사회 구성, 신분의 변화가 이 시기에 급속도로 이루어진다. 이런 중요한 시기에 사림은 훈구와의 정치 대결이었던 사화(士禍)에서 번번이 패했다. 가혹한 현실을 경험한 사림 세력은 당장 정치를 바꾸기보다는 새로운 사회를 건설할 이념을 찾는 일에 매달렸다. 새로운 이념을 제시하여 새로운 조선을 건설하고자 시도한다. 대표적인 인물이 이황이다.
이황은 주자성리학을 조선의 현실에 맞게 읽어내 주희의 사상을 그대로 따르기보다 주체적으로 해석하고 이해했다. 이이 역시 이황의 뒤를 이어 당대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합적인 개혁안을 제시했다. 이황이 주자성리학으로 조선을 이끌어 갈 새로운 이념의 방향을 잡았다면, 이이는 현실정치에 보다 적극적인 목소리를 냈다. 이이는 『성학집요(聖學輯要)』에서 왕의 역할과 경세론을 펼쳐 새로운 조선의 청사진을 제시하였다.
이이의 정치사상에 따르면, 정치는 임금의 자의(自意)로 하는 것이 아니라 임금과 신하가 함께하는 것이다. 특히 신하의 정치 참여가 중요하다. 왕은 어진 신하를 알아보고, 그가 바른 정치를 할 수 있도록 힘을 실어주는 것이라 생각한 것이다. 이는 같은 시기의 중국을 포함하여 동아시아에서 유래를 찾기 힘든 매우 특이한 정치형태였다. 이와 같은 이이의 주장은 조선 후기에 현실화됨으로써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조선 중기와 후기에 붕당정치가 실현되는 토대가 되었다. 또 성리학에 입각한 왕도정치와 군사론(君師論)은 조선 후기 군주들에게 하나의 전범이 되었다. 뿐만 아니라 조선 사회에도 실질적인 영향이 컸다. 구체적인 개혁책의 하나로 제시된 공납의 개혁은 ‘대동법’으로, 군정(軍政)의 개혁 역시 균역법(均役法)으로 실현되었다. 400여 년 전 위기에 처한 조선을 새로이 하기 위한 이이의 고민은 오늘날을 살아가는 우리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크다 하겠다.

Original Volume

Title : 東湖問答
Author : 李珥
Published Year : 1569
저자(한글) : 이이
원서 언어 : 漢文
저자 약력 : 이이
조선시대 최고의 성리학자이자 정치가로 꼽히는 율곡 이이는 1536년(중종 31) 아버지 이원수李元秀와 어머니 신사임당申師任堂 사이에서 태어났다. 태어난 곳은 외가가 있던 강릉이고, 고향은 파주 율곡으로, 그는 율곡을 자신의 호로 삼았다. 어린 시절부터 영특하여 13세에 진사 초시에 합격한 이래 모두 아홉 번의 과거에 합격하고 그중 일곱 번 장원하였다.
선조 2년, 홍문관 교리였던 율곡은 일종의 연구 휴가인 사가독서를 얻는다. 그 기간에 열정적인 정책 제안서인 [동호문답東湖問答]을 지어 제출하지만 그 개혁안은 받아들여지지 않고, 실망한 그는 관직을 떠난다. 이후 은거와 출사, 사직을 반복하다 38세에 홍문관 직제학으로 다시 중앙 정치에 복귀한다. 이듬해 정3품 우부승지가 된 율곡은 기상 이변으로 인해 당황한 선조가 신하들에게 제언을 구하자, 사회문제에 대한 대책을 제시한 [만언봉사萬言封事]라는 상소문을 올린다. 그 밖에도 평생 학문과 저술에 힘써 제왕의 지침서인 《성학집요聖學輯要》, 선비들의 기본 교육서인 《격몽요결擊蒙要訣》 등 많은 저술을 남긴다.
선조의 신임을 받아 고위직을 두루 거친 율곡은 병조판서로 있던 1583년(선조 16), 군정을 마음대로 하고 임금을 업신여긴다는 이유로 동인의 탄핵을 받아 사직하고 고향으로 내려간다. 그리고 이듬해 정월 49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난다. 그의 개혁안들은 당시 거의 채용되지 못했으나 그의 학문과 경세 사상은 조선 후기의 학자와 정치인들에게 계승되었다.

Table of Contents

해제 조선적인 왕도정치를 위한 지침서 9

1 임금의 도리 27
2 신하의 도리 39
3 군신이 서로 만나기 어려움을 논하다 48
4 우리나라에서 도학이 행해지지 않음을 논하다 60
5 조선이 옛 도를 회복하지 못함에 관하여 66
6 지금의 시세(時勢)를 논하다 78
7 무실(務實)이 수기(修己)의 핵심 88
8 간사한 자를 분별함이 용현(用賢)의 요체 98
9 백성을 편안하게 하는 방법 108
10 백성을 교화하는 방법 135
11 정명(正名)이 정치의 근본 150

주석 159
참고문헌 189

Gallery

Search

도서
검색

Daewoo Foundation Library

대우재단 총서 검색

대우재단에서 연구/출판 지원한 모든 도서를 한 곳에서 검색하실 수 있습니다.
바로가기
2015년 세종도서 학술부문 우수도서
2014/09/25
아카넷 출판
신국판 A5 152x225mm
192 페이지
18,000원
ISBN 978-89-5733-387-7 94910

관련 총서

대우재단 대우학술총서 제550권 동양철학과 한의학 written by 김교빈, 박석준, 안규석, 조남호, 최종덕, 황희경 and published by 아카넷 in 2003

동양철학과 한의학

철학(동양철학, 과학철학)과 한의학 양자의 공동 연구를 통해 동양철학이라는 큰 틀 속에서 한의학 이론을 올바로 이해하고 한의학과

대우재단 대우학술총서 제44권 스페인문학사 written by 김현창 and published by 민음사 in 1990

스페인문학사

유럽 문화권에 속해 있으면서도 그 소개가 미진했던, 『돈키호테』의 스페인 문학에 대한 개설서로, 우리의 문학적 인식과 지평의

대우재단 대우학술총서 제62권 고려시대의 후비 written by 정용숙 and published by 민음사 in 1992

고려시대의 후비

고려시대 초기, 중기, 후기의 왕실혼인과 여러 양상 및 역사를 총망라 분석, 연구한 현직 교수의 저서.

대우재단 규장각 제2권 Kyujanggak 2/2 written by 김문식, 신병주, 연갑수, 강문식 지음; 이강한 번역; Milan Hejtmanek 편집 and published by 아카넷 in 2010

Kyujanggak 2/2

규장각의 과거와 현재를 폭넓게 돌아보고 규장각에 소장된 책들의 역사적이고 문화적인 의미를 되짚어보고자 “규장각의 역사와 문화” 시리즈의

대우재단 총서 전체 태그

Dtalk 가무희 가족제도 가축 갑골문자 갑골학 강철웅 개인주의 건축학 견문기 경영학 경제 경제학 계몽주의 고고학 고구려 고대 고려 고분 고전 고전주의 고진하목사시인 공학 과학 과학기술 관료제도 광물학 교육학 구조주의 국가 국방 국제 규장각대우 그리스 근대 금속공예 금융 기독교 기록물관리 기하학 기호 기후학 김백철 김우중의료봉사상 김우중의료인상 김유석교수 꿈과휴 남미 남성 낭만주의 노예제도 노화도 논리학 농업 농학 니체 다문화주의 다산정약용 다산학 대동서 대우고전총서 대우꿈동산 대우재단 대우학술총서 대한제국 데이비드흄 데이터베이스 데카르트 도교 도시 도시공학 독일 동물학 동물행동학 동북아시아 동아시아 동양 동양철학 라틴아메리카 랑케 래모음집 러시아 러시아어 레이저 로마제국 르네상스 리만 마르크스 마리드프랑스 마키아벨리 막스베버 만엽집 맥시멀리즘 메가라학파 메커니즈즈즘 목민심서 몽고 몽고제국 무역 묵자 문광훈 문명 문명의기원 문자 문학 문헌정보 문화 문화유물론 문화인류학 물리주의 물리학 미국 미니멀리즘 미술 미학 민족 민주주의 바나흐 바도모리 박지향 발굴 발해 방언 백제 법인스님 법학 베트남 벽화 병자호란 보수주의 복지국가 봉건제도 분광학 분자물리학 불교 비교문학 비교언어학 비교종교학 비교학 비트겐슈타인 사법품보 사회 사회계급 사회과학 사회인류학 사회주의 사회학 산업혁명 산업화 삼국시대 상문명 상주사 생리학 생명공학 생명과학 생물 생물학 생체에너지 생태학 생화학 샤머니즘 서교 서양 서양미술 서양철학 서장원교수 서재필 서학 서학사 세계화 소설 소재공학 소크라테스 소피스트 수산업 수학 스탕달 스페인 슬라브어 시민인문학강좌 시베리아 시베리아개발 시장 시장경제 시카고학파 식문화 식물학 신경 신경과학 신동흔 신라 신약성서 신화 실용주의 실증주의 실학 심리 심리학 아담스미스 아동심리학 아랍 아리스토텔레스 아시아 아우구스티누스 아트선재센터 안보 알렉산드르게르첸 알타이어 암각화 양명학 양자 양자물리학 양자역학 양자학 어원론 언어 언어학 엔트로피 여성 여속사 역사 역사언어학 역사주의 역사학 역학 열역학 영국 영국혁명 영어 예술 완도 외교 외교학 우주과학 우주의기원 원철스님 유교 유기물 유기물질 유기화학 유라시아 유럽 유럽연합 유재건 유전자 윤리 윤리학 윤주옥 은대 음악 음악학 음운학 음파 음향학 응용과학 응용화학 의복문화 의상 의식주 의학 이론 이론물리학 이성 이슬람 이슬람교 이승종교수 인간주의 인공지능 인도 인류학 인문학 인상주의 인식론 인지심리학 일본 일본어 입자물리 자본주의 자서전 자연과학 자유주의 재료공학 전기 전라북도 전쟁 전통 전파 절대주의 정다산 정보통신 정보통신기술 정책 정치학 제1차세계대전 제3세계 제국 제국주의 제주도 조선 조형미술 존스튜어트밀 종교 종교학 종말론 종족제도 주거문화 죽음의춤 중국 중국어 중동 중미 중상주의 중세 중화사상 지구과학 지능 지도 지리 지리학 지명 지방 지방행정 지식의지평 지역 지역발전 지질학 진화론 진화심리학 진화학 천문학 천체물리학 철학 청나라 체계이론 체육 총론 춘추전국시대 충청남도 카시러 칸트 컴퓨터 컴퓨터공학 케인즈 쿤스트할오르후스 크로스토크 토지 토지소유 토텐탄츠 톰삭스 통계학 통신사 파장 포스트모더니즘 포스트모던 포스트휴먼 폴리스 풍속 풍수사상 풍수설 프랑스 프랑스혁명 프래그머티즘 프로이트 플라톤 하이에크 학술연구지원 학술지원사업 한국 한국도자제작기술사 한국어 한국의정원 한글 한자 합성소재 해석학 해양법 핵물리학 행복나눔섬지역센터 행정 향약 헬레니즘 혁명 현대 현상학 형이상학 호남실학 홍대용 화엄사상 화학 화학공학 환경 환경공학 환경과학 후설 훈민정음 희곡 희극 힉스입자 힐버트
Scroll to Top
Scroll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