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환
2013/11/29
244 페이지
18,000 원
아카넷
ISBN 978-89-5733-323-5 94100

불씨잡변

Author(s)

김병환

Biography

김병환
서울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이자 사회교육연구소 소장을 맡고 있다. 1964년생.
유불도 삼교의 교섭과 융합 문제에 대해 연구 중이고, 사회문제에 대한 관심으로 시작한 학문탐구 여정이 진화생물학에 이르렀다.
전통사상과 진화윤리학의 간학제적 연구에도 관심을 갖고 있다.
유불도의 교섭과 통합 문제에 대한 연구 결과 중 하나가 『태극도기원논구』이다.
이 논문이 실린 『道家文化硏究(도가문화연구)』(북경, 홍콩: 삼련서점, 2012)는 중국어권의 CSSCI 등재 학술지로 도가철학 분야의 세계적 권위를 가진 전문 학술지이다.
이외 『주희의 사유 세계: 주자학의 패권』(교육과학사, 2010) 등 여러 단행본과 다수의 논문이 있다.

Abstract

삼봉 필생의 ‘척불론’ 사상을 담은 『불씨잡변』
동아시아의 불교 비판서 가운데 가장 정연한 논리와 주장을 갖추고 있다고 평가받는 『불씨잡변』을 완역하고 주요 쟁점에 대해 평설과 주석을 붙였다. ‘규장각 새로 읽는 우리 고전’ 총서 6번째로 나온 『불씨잡변』은 1398년, 삼봉 정도전이 죽기 몇 달 전에 저술한 생애 마지막 작품이다. 불교의 인과설, 윤회설, 화복설, 지옥설 등 불교의 대표적 이론과 인간의 마음[心]과 본성[性]에 대한 불교적 관점을 유학의 입장에서 비판한 내용이 핵심이다.
『불씨잡변』은 정도전의 작품을 수록한 『삼봉집』 9, 10권에 『심기리(心氣理)』, 『심문천답(心問天答)』과 함께 실려 있으며 『조선경국전』과 함께 조선 건국의 사상적 기초를 닦은 작품이다. 삼봉 스스로 후대 사람들로 하여금 불교의 허망함을 깨닫도록 할 수 있다면, 죽어도 마음이 놓인다고 했을 정도로 삼봉 필생의 ‘척불론’ 사상을 담았다.

도교와 불교를 비판하고 유학의 이론적 우위를 강조
정도전은 조선 창건의 정치적 주역이자 조선이라는 새로운 왕조를 반석 위에 올려놓는 데 필요한 여러 제도를 직접 만들고 이를 이론적으로 뒷받침하는 다수의 저서를 편찬한 사상가였다. 경복궁을 비롯한 각 성문의 이름과 한성부의 5부 52방의 이름을 유학적으로 작명하고 유교적 덕목이나 가치로 한양의 새로운 건물에 각종 상징을 부여함으로써 한양을 유교적 이상을 품은 신흥 국가의 수도로 변모시켰다. 그 흔적은 지금도 고스란히 남아 있다. 특히 신흥 국가의 사상과 문화의 밑그림을 그리고자 『심기리』에서 보듯이 불교와 도가 사상을 유가의 이치[理]라는 관점에서 비판하고 통섭을 시도했는데, 『불씨잡변』은 바로 이러한 통섭의 관점이 배어 있다.

『불씨잡변』의 구성
『불씨잡변』은 모두 20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로 불교의 인과설, 윤회설, 화복설, 지옥설 등 불교 교리를 비판하거나, 심성론(心性論)에 대한 불교의 주장을 성리학적 시각에서 논박한 것이다. 그중에서도 불씨윤회지변(佛氏輪廻之辨), 불씨인과지변(佛氏因果之辨), 불씨심성지변(佛氏心性之辨), 불씨작용시성지변(佛氏作用是性之辨), 불씨심적지변(佛氏心跡之辨), 유석동이지변(儒釋同異之辨)의 6편(이 책 1장에서 6장)이 책 전체를 통하여 주목할 만한 핵심 내용을 담고 있다.
한편 후반부의 불씨입중국(佛氏入中國), 사불득화(事佛得禍), 사천도이담불과(舍天道而談佛果), 사불지근연대우촉(事佛至謹年代尤促) 등 4편(이 책 15장에서 18장)은 주로 진덕수(陳德秀)의 『대학연의(大學衍義)』를 인용하는데, 불교 전래 이후 중국 역대 왕조의 역사적 흥망 사실을 예로 들어 불교가 왕조의 번영에 도움이 안 되는 해로운 종교사상이라는 점을 강조한다. 이 4편은 흔히 전대사실(前代事實)로 분류된다. 책 말미의 부설을 빼고 『불씨잡변』 을 잡변(雜辨) 15편, 전대사실 4편이라고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부설은 삼봉이 대화체 형식으로 책 말미에 자신의 생각을 다시 기술한 것이라 책의 성격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된다.

불교 비판의 사상적, 현실적 배경
고려 충렬왕대에 이르러 원나라에서 본격 도입된 성리학이 점차 발전하자 유학자들이 불교의 폐단을 지적하는 일이 빈번해지면서 불교사상 전반을 비판하는 데까지 이르렀다. 삼봉 역시 성균관 박사로 활동하면서 배불사상을 체계적으로 전개해나가기 시작했는데, 정몽주, 이색 등 온건세력이 불교의 사회적 폐단을 단순하게 비판했던 반면 삼봉은 사상적 측면과 정치적, 사회적 측면에서 불교를 공격했다.
사상적 측면에서 정도전은 불교의 윤회설, 인과설, 심성론을 중점적으로 비판한다. 가령 사람은 기를 받아서 태어나고 죽을 때는 기가 흩어져 없어지므로 불교의 교리대로 다시 몸을 받아 태어날 수 없다고 윤회설을 비판하며, 불교에서 마음 자체를 본성으로 파악하여 비움[虛]을 추구하는데, 이는 마음과 본성을 구분하지 못한 잘못이라고 지적한다.
한편 현실적 측면에서 삼봉은 불교의 사회적 폐단, 즉 종교 행사를 위해 재물을 탕진하는 일, 승려의 정치 관여 등을 강하게 비판하며 불교가 출가를 주장하여 오륜 등의 유교적 인륜 질서를 근본부터 파괴한다고 여겼다.

『불씨잡변』의 주요 척불 논리
1) 사상적 측면: 삼봉은 불교의 중심 개념을 심(心)으로, 도가의 중심개념을 기(氣)로 파악하고, 이들의 잘못을 각각 지적한다. 즉 불교에서 논하는 마음[心]을 현상 세계를 부정하는 초월적인 것으로 규정하여 비판하는 한편, 도가에서의 기는 이치[理]를 배제하여 물질 세계만을 강조하였다고 질책한다. 그는 이 양자의 세계를 유학의 이치 개념으로 통섭하여 조화시킬 수 있다고 주장하며, 불교와 도가보다 유학이 철학적으로 우월함을 부각시키려고 한다.
2) 윤리적 측면: 1)에서 보듯이 삼봉은 불교의 심학(心學)과 도가의 기학(氣學)이 모두 이치[理]를 떠나 있어, 이들의 가르침은 결국 금수(禽獸)로 돌아간다고 비난한다. 이치의 작용이 일어나는 것[發]이 곧 옳음[義] 의 시작이며, 옳음이 있음으로써 그 작용이 이치에 근거하게 되는 것이지 작용 그 자체만으로는 이치가 될 수 없기 때문이다.
3) 종교학적 측면: 유교에서는 생사의 문제를 태극(太極)을 근본으로 하여 음양(陰陽)·오행(五行)이 끊임없이 작용하는 생생(生生)의 도리로 이해하고 설명한다. 이런 과정은 이치를 품수한(선천적으로 타고난) 기의 작용인데, 기는 한번 흩어지면 그 동질성(同質性)을 유지하면서 다시 생성될 수 없다. 그러므로 삼봉이 보기에 불교의 윤회설은 근본적으로 잘못되었다. 또한 부처에 귀의하면 누구나 화를 면하고 복을 얻을 수 있다는 불교의 화복설(禍福說)도 비판의 대상이 된다. 유교에서는 마음을 바르게 하고 몸을 닦으면[正心修己] 일상적인 복은 구하지 않아도 찾아온다고 보기 때문이다.
4) 역사적 사실의 측면: 이 책의 15장에서 18장까지 총 4장에 걸쳐 소개되는 ‘전대사실’을 통해서 중국에서 불교를 신봉했던 사실과 관련된 부정적 사례를 소개한다.
5) 유불 사상의 대비라는 측면: 삼봉은 유교와 불교가 공통된 표현을 쓰지만 서로 다른 내용을 말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삼봉은 유교의 근본 개념으로서 마음[心] 과 이치[理]를 불교의 마음[心] 과 법(法)에 대비시키고, 유교에서는 단계적 질서 속에 내면적 마음과 보편적 실재인 이치가 통일되어 있다고 주장한다. 이로써 내면적 마음을 직관적으로 파악하고 객관적 실재를 부정하는 불교의 주관주의적 경향이 가진 한계를 비판하고자 한다.

Original Volume

Title : 佛氏雜辨
Author : 鄭道傳
Published Year : 1398
저자(한글) : 정도전
원서 언어 : 漢文
저자 약력 : 정도전
고려 말 조선 초의 정치가. 호는 삼봉. 과거에 급제한 후 성균관에서 정몽주와 성리학을 연구했다. 권문세족과 외교 문제로 다툰 일을 계기로 유배와 복직을 반복했다. 이성계를 만나 정치에 대해 논하다 혁명을 모의하고 훗날 조선의 개국공신이 된다. 하지만 조선이 개국된 후 왕권을 차지하려던 이성계의 아들 이방원의 칼에 살해당하고 말았다. 향년 56세.

Table of Contents

해제 정도전의 삶과 『불씨잡변』 9
서문 37
발문 44
1 불교의 윤회설을 논변함 47
2 불교의 인과설을 논변함 57
3 마음과 본성에 대한 불교 이론을 논변함 67
4 작용을 본성이라 여기는 불교 이론을 논변함 79
5 불교의 마음과 마음의 흔적에 대해 논변함 86
6 불교가 도(道)와 기(器)를 구분하지 못하는 것에 대해 논변함 92
7 불교가 인륜을 훼손하는 것에 대해 논변함 98
8 불교의 자비설을 논변함 102
9 참된 것과 허망한 것에 대한 불교의 주장을 논변함 108
10 불교의 지옥설을 논변함 115
11 불교의 화복설을 논변함 120
12 불교의 걸식행위를 논변함 124
13 선종에 대해 논변함 131
14 불교와 유학의 같고 다름에 대해 논변함 139
15 불법이 중국에 들어온 시기를 논변함 149
16 부처를 섬기면 재난이 닥침 158
17 천도를 버리고 불교의 인과설을 따르는 일을 논변함 166
18 부처를 믿을수록 왕조의 수명이 단축됨 170
19 이단을 배척함 174
20 불씨잡변 지(識) 179

부록 정도전 연보 189
주석 201
참고문헌 233

Gallery

Search

도서
검색

Daewoo Foundation Library

대우재단 총서 검색

대우재단에서 연구/출판 지원한 모든 도서를 한 곳에서 검색하실 수 있습니다.
바로가기
2013/11/29
아카넷 출판
신국판 A5 152x225mm
244 페이지
18,000원
ISBN 978-89-5733-323-5 94100

관련 총서

대우재단 대우학술총서 제73권 비교문학 written by 윤호병 and published by 민음사 in 1994

비교문학

비교문학에 대한 역사적인 개관과 방법론에 대한 성찰, 현대문학 이론과 비평의 비교, 실천비평 및 뜨거운 논쟁을 야기하고

대우재단 대우학술총서 제44권 스페인문학사 written by 김현창 and published by 민음사 in 1990

스페인문학사

유럽 문화권에 속해 있으면서도 그 소개가 미진했던, 『돈키호테』의 스페인 문학에 대한 개설서로, 우리의 문학적 인식과 지평의

대우재단 대우고전총서 제21권 비극의 탄생 written by 박찬국 and published by 아카넷 in 2007

비극의 탄생

청년 니체의 열정과 고뇌를 강렬하게 느낄 수 있는 책으로, 니체 스스로 ‘청년의 용기와 우수가 가득한 책’이라고

동명왕편

이규보의 장편 서사시 동명왕편은 건국 영웅을 노래하는 구전 서사시의 전통을 잇는, 우리나라에서 문자로 기록된 최초의 서사시이다.

대우재단 대우학술총서 제600권 우리 학문이 가야 할 길 written by 김경현, 김광억, 김균, 김두철, 김성국, 김주한, 노정혜, 도경수, 박형주, 윤경병, 이진우, 이태수, 장경렬, 장영민, 정명희, 정윤희, 최정운, 황익주 and published by 아카넷 in 2010

우리 학문이 가야 할 길

우리나라 기초 학문의 전반적인 균형 성장을 도모하기 위한 대우재단의 연구 지원에 따른 결과물. 이 책은 우리

대우재단 총서 전체 태그

Dtalk 가무희 가족제도 가축 갑골문자 갑골학 강철웅 개인주의 건축학 견문기 경영학 경제 경제학 계몽주의 고고학 고구려 고대 고려 고분 고전 고전주의 고진하목사시인 공학 과학 과학기술 관료제도 광물학 교육학 구조주의 국가 국방 국제 규장각대우 그리스 근대 금속공예 금융 기독교 기록물관리 기하학 기호 기후학 김백철 김우중의료봉사상 김우중의료인상 김유석교수 꿈과휴 남미 남성 낭만주의 노예제도 노화도 논리학 농업 농학 니체 다문화주의 다산정약용 다산학 대동서 대우고전총서 대우꿈동산 대우재단 대우학술총서 대한제국 데이비드흄 데이터베이스 데카르트 도교 도시 도시공학 독일 동물학 동물행동학 동북아시아 동아시아 동양 동양철학 라틴아메리카 랑케 래모음집 러시아 러시아어 레이저 로마제국 르네상스 리만 마르크스 마리드프랑스 마키아벨리 막스베버 만엽집 맥시멀리즘 메가라학파 메커니즈즈즘 목민심서 몽고 몽고제국 무역 묵자 문광훈 문명 문명의기원 문자 문학 문헌정보 문화 문화유물론 문화인류학 물리주의 물리학 미국 미니멀리즘 미술 미학 민족 민주주의 바나흐 바도모리 박지향 발굴 발해 방언 백제 법인스님 법학 베트남 벽화 병자호란 보수주의 복지국가 봉건제도 분광학 분자물리학 불교 비교문학 비교언어학 비교종교학 비교학 비트겐슈타인 사법품보 사회 사회계급 사회과학 사회인류학 사회주의 사회학 산업혁명 산업화 삼국시대 상문명 상주사 생리학 생명공학 생명과학 생물 생물학 생체에너지 생태학 생화학 샤머니즘 서교 서양 서양미술 서양철학 서장원교수 서재필 서학 서학사 세계화 소설 소재공학 소크라테스 소피스트 수산업 수학 스탕달 스페인 슬라브어 시민인문학강좌 시베리아 시베리아개발 시장 시장경제 시카고학파 식문화 식물학 신경 신경과학 신동흔 신라 신약성서 신화 실용주의 실증주의 실학 심리 심리학 아담스미스 아동심리학 아랍 아리스토텔레스 아시아 아우구스티누스 아트선재센터 안보 알렉산드르게르첸 알타이어 암각화 양명학 양자 양자물리학 양자역학 양자학 어원론 언어 언어학 엔트로피 여성 여속사 역사 역사언어학 역사주의 역사학 역학 열역학 영국 영국혁명 영어 예술 완도 외교 외교학 우주과학 우주의기원 원철스님 유교 유기물 유기물질 유기화학 유라시아 유럽 유럽연합 유재건 유전자 윤리 윤리학 윤주옥 은대 음악 음악학 음운학 음파 음향학 응용과학 응용화학 의복문화 의상 의식주 의학 이론 이론물리학 이성 이슬람 이슬람교 이승종교수 인간주의 인공지능 인도 인류학 인문학 인상주의 인식론 인지심리학 일본 일본어 입자물리 자본주의 자서전 자연과학 자유주의 재료공학 전기 전라북도 전쟁 전통 전파 절대주의 정다산 정보통신 정보통신기술 정책 정치학 제1차세계대전 제3세계 제국 제국주의 제주도 조선 조형미술 존스튜어트밀 종교 종교학 종말론 종족제도 주거문화 죽음의춤 중국 중국어 중동 중미 중상주의 중세 중화사상 지구과학 지능 지도 지리 지리학 지명 지방 지방행정 지식의지평 지역 지역발전 지질학 진화론 진화심리학 진화학 천문학 천체물리학 철학 청나라 체계이론 체육 총론 춘추전국시대 충청남도 카시러 칸트 컴퓨터 컴퓨터공학 케인즈 쿤스트할오르후스 크로스토크 토지 토지소유 토텐탄츠 톰삭스 통계학 통신사 파장 포스트모더니즘 포스트모던 포스트휴먼 폴리스 풍속 풍수사상 풍수설 프랑스 프랑스혁명 프래그머티즘 프로이트 플라톤 하이에크 학술연구지원 학술지원사업 한국 한국도자제작기술사 한국어 한국의정원 한글 한자 합성소재 해석학 해양법 핵물리학 행복나눔섬지역센터 행정 향약 헬레니즘 혁명 현대 현상학 형이상학 호남실학 홍대용 화엄사상 화학 화학공학 환경 환경공학 환경과학 후설 훈민정음 희곡 희극 힉스입자 힐버트
Scroll to Top
Scroll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