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중기, 거자오광, 김광억, 김상준, 김호동, 신정근, 이광호, 이성규, 차태근, 천라이, 김병준, 양일모, 안재호, 이연승
2014/02/17
500 페이지
29,000 원
아카넷
ISBN 978-89-5733-345-7 94150

중국 문명의 다원성과 보편성

Author(s)

강중기, 거자오광, 김광억, 김상준, 김호동, 신정근, 이광호, 이성규, 차태근, 천라이, 김병준, 양일모, 안재호, 이연승

Biography

김광억
서울대학교 졸업(독문학 및 인류학), 영국 옥스퍼드대학 석사 및 박사(사회인류학).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교수, 하버드대학·베이징대학 강좌교수, 연세대학교 용재석좌교수 역임. 현재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및 중국산둥대학 특임일급교수. 한국과 중국의 사회와 문화 전공. 『혁명과 개혁 속의 중국 농민』, 『문화의 정치와 지역사회의 권력구조』, 『문화의 다학문적 접근』 등 많은 저서와 논문이 있다.

양일모
서울대학교 철학과와 동대학원을 수료하고 도쿄대학 대학원 인문사회계연구과 동아시아사상문화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도쿄대학 문학부 조수와 한림대학교 인문대학 철학과 교수, 한림과학원 부원장을 거쳐 현재 서울대학교 자유전공 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 『옌푸: 중국의 근대성과 서양 사상』 등이 있고, 역주서로 『천연론』(공동역주), 『정치학이란 무엇인가: 중국의 근대적 정치학의 탄생』이 있다. 번역서로는 『관념사란 무엇인가』 1, 2(공역), 『중국민족주의의 신화』, 『공통감각론』 등이 있다.

저자
강중기 서울대학교 철학과 외래교수
거자오광(葛兆光) 중국 푸단(復旦)대학교 교수. 문사연구원(文史硏究院) 원장
김광억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연세대학교 용재석좌교수
김상준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 교수
김호동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 교수
신정근 성균관대학교 유학대학 교수
이광호 연세대학교 철학과 교수
이성규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대한민국학술원 회원
차태근 인하대학교 중국언어문화전공 교수
천라이(陳來) 중국 칭화(淸華)대학교 교수. 국학연구원(國學硏究院) 원장

대담자
김병준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 교수
양일모 서울대학교 자유전공학부 교수

역자
안재호 중앙대학교 교양학부대학 교수
이연승 서울대학교 종교학과 교수

Abstract

한국학술협의회, 대우재단과 조선일보가 「중국 문명의 다원성과 보편성」이라는 주제로 주최했던 ‘2012 제14회 석학연속강좌’에서 발제했던 논문과 강연 등을 엮어 단행본으로 발간하였다. 서구 지식계 일각에서는 이미 1980년대부터 서구적 가치와 세계관에 대한 보완 내지 대안을 모색하기 위한 하나의 시도로 아시아, 특히 동아시아에 재성찰의 눈을 돌리기 시작했다. 그중에서도 여러 이질적인 요소를 서로 조화하여 하나의 전체로 묶는다는 ‘중화(中華)’의 사상과 중국적 가치, 크게는 아시아적 가치로 떠오른 유교가 세계질서를 재구성할 핵심으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후진타오 정권이 화해(和諧)를 사회적 통합뿐만 아니라 세계질서 체계를 위한 가치로 역설함으로써 최근 10년간 중국 정부나 인민 할 것 없이 공자와 유교에 대한 관심 속에 금기시 되었던 유교철학이 공공의 가치로 떠오르게 되었다. 하지만 중국의 급격한 경제성장은 계층 간 격차를 크게 벌이고 여러 사회 문제를 생산해 현재 중국사회는 국가적 통합을 걱정해야 할 정도로 심각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런 모순적인 상황에서 중국의 세계관과 가치체계가 과연 세계질서의 실현을 위한 보편적 대안이 될 수 있을까? 천라이[陳來] 중국 칭화대학교 국학연구원 원장과 거자오광[葛兆光] 푸단대학교 문사연구원 원장과의 대담 및 글을 통해 중국 문명의 정체성과 중국적 가치에 대해 논의해본다.

Table of Contents

머리말: 대안적 보편성의 모색을 위한 ‘중국적 가치’의 재검토·김광억 | 7

1. 중국 문명의 철학적 기초
천라이·양일모 대담 : 중화 문명, 또 다른 보편인가 | 31
중국 문명의 철학적 기초·천라이 | 45
중화 문명의 가치관과 세계관·천라이 | 85
유학의 현대적 가치: 위기와 기회·강중기 | 123

2. ‘중국’의 정체성과 문화의 다원성
거자오광-김병준 대담 : 중국 문화의 역사적 다양성 | 157
‘중국’의 역사적 형성과 그 정체성의 문제점·거자오광 | 167
중국 문화의 다원성·거자오광 | 201
China와 Kitai: 서방에서 본 중국의 역사상·김호동 | 243

3. 한국에서 보는 현대 중국과 유교
‘중국’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차태근 | 299
유학의 탈중국화, 인성유학에서 인권유학으로·신정근 | 325
유교 전통 안에서 민주주의를 이야기할 수 있는가·김상준 | 353
수직적 체인(體認)과 수평적 이해(理解)의 교직(交織)으로서의 유학·이광호 | 393

4. 왜 아직도 ‘중국’인가·이성규 | 433

약력 | 493

Gallery

도서
검색

Daewoo Foundation Library

대우재단 총서 검색

대우재단에서 연구/출판 지원한 모든 도서를 한 곳에서 검색하실 수 있습니다.
바로가기
2014/02/17
아카넷 출판
신국판 A5 152x225mm
500 페이지
29,000원
ISBN 978-89-5733-345-7 94150

관련 총서

대우재단 대우학술총서 제116권 코레아 2 written by 김종규, 강경원, 손명철 and published by 민음사 in 1998

코레아 2

답사와 문헌에 기초한 1930년대의 한국지리,지지, 지 형서. 독일의 지리학자인 저자가 1933년 방한하여 8개월에 걸친 답사로 한국의

대우재단 대우휴먼사이언스 제1권 종교의 미래 written by 이태하 and published by 아카넷 in 2015

종교의 미래

우리에게 참된 종교의 모습은 무엇이며, 종교의 미래는 어떻게 펼쳐질 것인가? ‘종교의 시대’라는 역설, 잃어버린 성스러움을 찾아서

대우재단 대우학술총서 제618권 국어문법사 written by 홍종선 and published by 아카넷 in 2017

국어문법사

이 책은 우리말이 갖는 내적 구조의 통시적 발달을 고찰하여 우리말의 역사에 대한 기본적이면서 또한 근본적인 이해에

대우재단 대우학술총서 제511권 인지심리학 written by 이정모 and published by 아카넷 in 2001

인지심리학

마음, 뇌, 정보처리, 지식표상 등에 대해 경험적 연구에 바탕한 이론적 개념과 설명을 제시하는 인지심리학 개론서이다. 인지주의,

대우재단 대우고전총서 제39권 우상의 황혼 written by 박찬국 and published by 아카넷 in 2015

우상의 황혼

대우고전총서 39권. 1888년에 쓰인 『안티크리스트』와 함께 니체가 말년에 도달한 사상을 담고 있다. 이 책의 제목이 시사하듯이

대우재단 총서 전체 태그

Dtalk 가무희 가족제도 가축 갑골문자 갑골학 강철웅 개인주의 건축학 견문기 경영학 경제 경제학 계몽주의 고고학 고구려 고대 고려 고분 고전 고전주의 고진하목사시인 공학 과학 과학기술 관료제도 광물학 교육학 구조주의 국가 국방 국제 규장각대우 그리스 근대 금속공예 금융 기독교 기록물관리 기하학 기호 기후학 김백철 김우중의료봉사상 김우중의료인상 김유석교수 꿈과휴 남미 남성 낭만주의 노예제도 노화도 논리학 농업 농학 니체 다문화주의 다산정약용 다산학 대동서 대우고전총서 대우꿈동산 대우재단 대우학술총서 대한제국 데이비드흄 데이터베이스 데카르트 도교 도시 도시공학 독일 동물학 동물행동학 동북아시아 동아시아 동양 동양철학 라틴아메리카 랑케 래모음집 러시아 러시아어 레이저 로마제국 르네상스 리만 마르크스 마리드프랑스 마키아벨리 막스베버 만엽집 맥시멀리즘 메가라학파 메커니즈즈즘 목민심서 몽고 몽고제국 무역 묵자 문광훈 문명 문명의기원 문자 문학 문헌정보 문화 문화유물론 문화인류학 물리주의 물리학 미국 미니멀리즘 미술 미학 민족 민주주의 바나흐 바도모리 박지향 발굴 발해 방언 백제 법인스님 법학 베트남 벽화 병자호란 보수주의 복지국가 봉건제도 분광학 분자물리학 불교 비교문학 비교언어학 비교종교학 비교학 비트겐슈타인 사법품보 사회 사회계급 사회과학 사회인류학 사회주의 사회학 산업혁명 산업화 삼국시대 상문명 상주사 생리학 생명공학 생명과학 생물 생물학 생체에너지 생태학 생화학 샤머니즘 서교 서양 서양미술 서양철학 서장원교수 서재필 서학 서학사 세계화 소설 소재공학 소크라테스 소피스트 수산업 수학 스탕달 스페인 슬라브어 시민인문학강좌 시베리아 시베리아개발 시장 시장경제 시카고학파 식문화 식물학 신경 신경과학 신동흔 신라 신약성서 신화 실용주의 실증주의 실학 심리 심리학 아담스미스 아동심리학 아랍 아리스토텔레스 아시아 아우구스티누스 아트선재센터 안보 알렉산드르게르첸 알타이어 암각화 양명학 양자 양자물리학 양자역학 양자학 어원론 언어 언어학 엔트로피 여성 여속사 역사 역사언어학 역사주의 역사학 역학 열역학 영국 영국혁명 영어 예술 완도 외교 외교학 우주과학 우주의기원 원철스님 유교 유기물 유기물질 유기화학 유라시아 유럽 유럽연합 유재건 유전자 윤리 윤리학 윤주옥 은대 음악 음악학 음운학 음파 음향학 응용과학 응용화학 의복문화 의상 의식주 의학 이론 이론물리학 이성 이슬람 이슬람교 이승종교수 인간주의 인공지능 인도 인류학 인문학 인상주의 인식론 인지심리학 일본 일본어 입자물리 자본주의 자서전 자연과학 자유주의 재료공학 전기 전라북도 전쟁 전통 전파 절대주의 정다산 정보통신 정보통신기술 정책 정치학 제1차세계대전 제3세계 제국 제국주의 제주도 조선 조형미술 존스튜어트밀 종교 종교학 종말론 종족제도 주거문화 죽음의춤 중국 중국어 중동 중미 중상주의 중세 중화사상 지구과학 지능 지도 지리 지리학 지명 지방 지방행정 지식의지평 지역 지역발전 지질학 진화론 진화심리학 진화학 천문학 천체물리학 철학 청나라 체계이론 체육 총론 춘추전국시대 충청남도 카시러 칸트 컴퓨터 컴퓨터공학 케인즈 쿤스트할오르후스 크로스토크 토지 토지소유 토텐탄츠 톰삭스 통계학 통신사 파장 포스트모더니즘 포스트모던 포스트휴먼 폴리스 풍속 풍수사상 풍수설 프랑스 프랑스혁명 프래그머티즘 프로이트 플라톤 하이에크 학술연구지원 학술지원사업 한국 한국도자제작기술사 한국어 한국의정원 한글 한자 합성소재 해석학 해양법 핵물리학 행복나눔섬지역센터 행정 향약 헬레니즘 혁명 현대 현상학 형이상학 호남실학 홍대용 화엄사상 화학 화학공학 환경 환경공학 환경과학 후설 훈민정음 희곡 희극 힉스입자 힐버트
Scroll to Top
Scroll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