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재식
2004/05/15
2006년 대한민국학술원 선정 우수학술도서
319 페이지
12,000 원
아카넷
ISBN 978-89-5733-039-9 94200

전통의 연속과 변화

Author(s)

정재식

Biography

정재식
종교사회학 및 비교 종교윤리 분야의 세계적 석학. 감리교신학교 졸업 및 연희대학교 신학석사. 미국 하버드 대학 신학대학원 석사. 미국 보스턴 대학 박사(사회윤리 및 종교사회학 전공), 미국 캘리포니아 주립대학(버클리) 사회학과 코렛(Koret)재단 방문교수 역임. 2004년 현재 연세대학교 용재 석좌교수 및 미국 보스턴 대학 신학대학원 월터 뮐더 사회윤리 석좌 교수.

Abstract

종교는 한 문화의 본질을 이루고, 문화는 다만 그의 표현일 따름이다. 종교는 사회통합과 질서유지라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종교는 유한한 인간실존과 관계된 궁극적 의미에 대한 물음에 응답하고 인간의 기억과 꿈과 희망을 상징적으로 표현한다. 종교는 인간에게 소속감과 앞으로의 삶의 목표와 살아갈 힘을 제공해 준다. 사회가 급격하게 변하고 삶의 방향이 헷갈릴 때 사람은 삶의 뜻과 방향을 찾기 위해 문화 전통, 특히 그 핵심을 이루는 종교를 찾는다.
그렇다면 지금 우리에게 종교는 어떤 의미인가? 과연 종교가 이러한 시대적인 요구에 대응할 만한 제 구실을 제대로 담당하고 있기는 한 것인가? 실망스럽게도 한국의 종교 전통은 우리 사회를 이끌어갈 힘이나 이념, 방향을 상실한 채 심각한 ‘의미의 위기’를 맞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뿐만 아니라 한국 사회는 아직도 끈질기게 남아 있는 전통에 대한 집착 때문에 이를 변화시키거나 청산하지 못하고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전지구적 변화의 흐름 앞에서 분열된 의식상태를 보이고 있다. 이렇듯 어려운 선택의 기로에서 우리 사회가 모색해야 할 길은 무엇인가? 이제 우리는 타당성을 잃어버린 종교 문화적인 전통을 넘어 현대에 맞는 새로운 가치체계를 적극적으로 모색해야 할 것인가, 아니면 옛 기억의 그늘에서 헤어나지 못한 채 옛 것과 새로운 가치 사이의 중간적인 입장을 그저 집요하게 찾아야 할 것인가? 바로 이러한 문제제기들이 한국의 종교 전통 자체를 변혁하고 쇄신할 수 있는 가능성과 한계를 타진하기 위한 질문들이며, 이 책에서 구체적으로 다루고 있는 테마들이다.

Table of Contents

목차
서문 = 5
제1장 기억과 기대 사이에서
현대 세계의 지평에서 본 한국 종교의 전통 = 11
제2장 인간의 얼굴을 한 세계화
지구촌 시대의 종교 전통 = 49
제3장 오래된 집합 의식
한국 종교 전통의 원형 = 89
제4장 원칙과 상황
한국과 일본의 도의(道義) 문화 전통 = 129
제5장 문명의 갈등을 넘어서
전통적 정신 구조의 초월 = 177
제6장 새 술을 헌 부대에?
기독교와 한국의 문화 변동의 문제 = 231
주 = 279
저자약력·출판목록 = 301

Gallery

도서
검색

Daewoo Foundation Library

대우재단 총서 검색

대우재단에서 연구/출판 지원한 모든 도서를 한 곳에서 검색하실 수 있습니다.
바로가기
2006년 대한민국학술원 선정 우수학술도서
2004/05/15
아카넷 출판
신국판 A5 152x225mm
319 페이지
12,000원
ISBN 978-89-5733-039-9 94200

관련 총서

대우재단 대우학술총서 제611권 민족주의와 역사 written by 김인중 and published by 아카넷 in 2014

민족주의와 역사

이 책은 민족/민족주의에 대한 오늘날의 분석과 토론의 방향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친 이 분야의 선구자 E.

대우재단 대우학술총서 제14권 비교종교학 written by 김종서 and published by 민음사 in 1988

비교종교학

바하의 일생 동안의 연구가 총집약된 종교학 이론과 방법론의 결정판. 바하가 1952년에 세상을 떠나기 전까지 여러 곳에서

대우재단 대우고전총서 제44권 아메리카의 민주주의 2 written by 이용재 and published by 아카넷 in 2018

아메리카의 민주주의 2

시대를 뛰어넘어 민주주의의 본질을 예리하게 포착한 정치사상사의 고전이자 미지의 신세계를 뜻했던 아메리카 합중국에 대한 직접적인 관찰을

대우재단 대우휴먼사이언스 제23권 민주주의의 탄생 written by 이황직 and published by 아카넷 in 2018

민주주의의 탄생

이 책은 좌우 극단주의의 도전 앞에서 전 세계적으로 위기에 처한 민주주의를 지켜내기 위해 19세기 프랑스의 귀족

대우재단 총서 전체 태그

Dtalk 가무희 가족제도 가축 갈릴레오 갑골문자 갑골학 개인주의 건축학 견문기 경영학 경제 경제학 계량경제학 계몽주의 고고학 고구려 고대 고려 고분 고전 고전주의 고진하목사시인 공학 과거제도 과학 과학기술 과학혁명 관료제도 광물학 교육 교육학 구조주의 국가 국경 국방 국제 그리스 근대 금속공예 금융 기독교 기록물관리 기하학 기호 기후변화 기후학 김우중의료봉사상 김우중의료인상 김유석교수 꿈과휴 남미 남성 낭만주의 노예제도 논리학 농업 농학 뉴튼 니체 다문화주의 다산정약용 다산학 대기 대동서 대우고전총서 대우꿈동산 대우재단 대우학술총서 대학 대한제국 데이비드흄 데이터베이스 데카르트 도교 도시 도시공학 독일 동력 동물학 동물행동학 동북아시아 동아시아 동양 동양철학 라틴아메리카 랑케 러시아 러시아어 레이저 로마제국 르네상스 리만 마르크스 마키아벨리 막스베버 만엽집 맥시멀리즘 메가라학파 메커니즈즈즘 목민심서 몽고 몽고제국 무역 묵자 문명 문명의기원 문자 문학 문헌정보 문화 문화유물론 문화인류학 물리주의 물리학 미국 미니멀리즘 미술 미학 민족 민주주의 바나흐 바도모리 발굴 발해 방언 백제 법인스님 법학 베이컨 베트남 벽화 보수주의 복지국가 봉건제도 분광학 분자물리학 불교 비교문학 비교언어학 비교종교학 비교학 비트겐슈타인 사회 사회계급 사회과학 사회인류학 사회주의 사회학 산업혁명 산업화 삼국시대 상문명 상주사 생리학 생명공학 생명과학 생물 생물학 생체에너지 생체화학 생태학 생화학 샤머니즘 서교 서양 서양미술 서양철학 서장원교수 서재필 서학 서학사 세계화 소설 소재공학 소크라테스 수산업 수학 스탕달 스페인 슬라브어 시베리아 시베리아개발 시장 시장경제 시카고학파 식문화 식물학 신경 신경과학 신동흔 신라 신약성서 신화 실용주의 실증주의 실학 심리 심리학 아담스미스 아동심리학 아랍 아시아 아우구스티누스 아트선재센터 안보 알타이어 암각화 양명학 양자 양자물리학 양자역학 양자학 어원론 언어 언어학 엔트로피 여성 여속사 역사 역사언어학 역사주의 역사학 역학 열역학 영국 영국혁명 영양학 영어 예술 온난화 외교 외교학 우주과학 우주의기원 운동 원철스님 유교 유기물 유기물질 유기화학 유라시아 유럽 유럽연합 유재건 유전자 윤리 윤리학 은대 음악 음악학 음운학 음파 음향학 응용과학 응용화학 의복문화 의상 의식주 의학 이론 이론물리학 이성 이슬람 이슬람교 이승종교수 인간주의 인공지능 인도 인류학 인문학 인상주의 인식론 인지심리학 일본 일본어 입자물리 자기공명 자본주의 자연과학 자유주의 재료공학 전기 전라북도 전쟁 전통 전파 절대주의 정다산 정보통신 정보통신기술 정책 정치학 제1차세계대전 제3세계 제국 제국주의 제주도 조선 조형미술 존스튜어트밀 종교 종교학 종말론 종족제도 주거문화 죽음의춤 중국 중국어 중동 중미 중상주의 중세 중화사상 지구과학 지능 지도 지리 지리학 지명 지방 지방행정 지식의지평 지역 지역발전 지질학 진화론 진화심리학 진화학 천문학 천체물리학 철학 청나라 체계이론 체육 총론 춘추전국시대 충청남도 카시러 칸트 컴퓨터 컴퓨터공학 케인즈 쿤스트할오르후스 토지 토지소유 토텐탄츠 톰삭스 통계학 통신사 파장 포스트모더니즘 포스트모던 포스트휴먼 폴리스 풍속 풍수사상 풍수설 프랑스 프랑스혁명 프래그머티즘 프로이트 플라즈마 플라톤 피카레스크 하이에크 학술연구지원 한국 한국도자제작기술사 한국어 한국의정원 한글 한자 합성소재 해석학 해양법 핵물리학 핵융합 행정 향약 헬레니즘 혁명 현대 현상학 형이상학 호남실학 홍대용 화엄사상 화학 화학공학 환경 환경공학 환경과학 후설 훈민정음 희곡 희극 힉스입자 힐버트
Scroll to Top
Scroll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