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찬국
2013/12/30
216 페이지
13,000 원
아카넷
ISBN 89-5733-344-0 94160

안티크리스트

Author(s)

박찬국

Biography

박찬국
서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독일 뷔르츠부르크 대학교에서 철학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니체와 하이데거의 철학을 비롯한 실존철학이 주요 연구 분야이며 최근에는 불교와 서양철학을 비교하는 것을 중요한 연구과제 중의 하나로 삼고 있다.
『원효와 하이데거의 비교연구』로 2011년 제5회 청송학술상을 받았으며, 『니체와 불교』로 2014년 제5회 원효학술상을 받았다.
저서로는 『들길의 사상가, 하이데거』, 『하이데거는 나치였는가』, 『내재적 목적론』, 『들뢰즈의 《니체와 철학》 읽기』, 『에리히 프롬의 《소유냐 존재냐》 읽기』, 『에리히 프롬 읽기』 등이 있고, 역서로는 『니체 I, II』, 『니체전집 16: 유고(1882년 7월-1883/84년 겨울)』, 『아침놀』, 『비극의 탄생』, 『안티크리스트』, 『상징형식의 철학 I』 등 다수가 있다.

Abstract

니체의 최종적인 사상을 담은 결정체. 니체는 이 책을 2년 내에 유럽의 주요 언어로 번역하고 대규모로 발간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누이동생에 의해 네 군데가 삭제된 상태로 출간되었다. 삭제된 부분은 1955년 니체전집에서 복원되었고, 1969년 고증본에서는 ‘그리스도교 탄압법’이 덧붙여져 출간되었다. 본 한국어판 번역은 이 고증본을 텍스트로 삼았다.
니체는 이 책에서 그리스도교 비판을 넘어서 플라톤에서 칸트와 독일관념론을 거쳐 민주주의와 사회주의 그리고 무정부주의에 이르는, 이른바 그리스도교적 사고방식 전체를 비판한다. 저명한 가톨릭 신학자인 한스 큉에 따르면 이러한 니체의 비판은 포이어바흐나 마르크스의 그리스도교 비판보다도 훨씬 더 광범위하고 철저한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옮긴이는 니체의 비판과 분석이 얼마나 섬세한 논리에 근거하고 있는지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한다. 특히 불교와 그리스도교의 차이, 예수의 진정한 이념과 제도화된 그리스도교 교설의 차이, 불교와 예수의 이념 그리고 그리스도교의 교설 각각이 비롯되는 궁극적인 기반이라고 할 수 있는, 생리학적 심리학적 기반의 차이에 대한 니체의 후각은 예민하기 그지없다는 것이다.
옮긴이는 해제를 통해서 ‘안티크리스트’의 성격과 의의, 출간 배경과 구성, 그리고 니체가 보는 불교와 그리스도교의 차이를 비롯해 유대교와 그리스도교의 비교 등 독자들의 이해를 돕고 있다.

Original Volume

Title : Der Antichrist
Author : Friedrich Nietzsche
Published Year : 1888
저자(한글) : 프리드리히 니체
원서 언어 : Deutsch
저자 약력 : 프리드리히 니체(Friedrich Wilhelm Nietzsche)
독일의 사상가이자 철학자이자 시인.
1844년 독일 작센 주에서 태어나 1900년에 사망했다. 루터파의 유복한 목사의 아들로 태어났으나 5세 때 아버지를 여의고 어머니, 누이 동생과 함께 할머니 집에서 성장하게 된다. 독일 굴지의 명문학교인 프포르타 공립학교에 특대생으로 입학해 그후 본 대학과 라이프치히 대학을 거쳐 고전문학의 권위자인 프리드리히 리츨과 만나게 된다. 이 시기에 니체는 쇼펜하우어의 형이상학적인 측면과 당시 유명한 작곡가로 알려졌던 바그너의 음악에 심취하게 된다. 1869년 스승 리츨의 추천을 받아 스위스 바젤 대학의 고전문헌학 교수로 임명되었으나 건강이 악화되어 1879년 바젤 대학의 교수직을 그만 두게 된다. 저서로는 『비극의 탄생』, 『반시대적 고찰』, 『인간적인 너무나 인간적인』,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도덕의 계보』, 『니체 대 바그너』 등이 있다.
1889년 1월 정신착란 증세에 빠져 바이마르에서 세상을 떠날 때까지 여동생의 간호 아래 여생을 보냈다. 그의 사상은 원숙한 문장과 함께 주로 문학자들에 의해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시대 변천과 함께 사상적 영향을 끼쳤다. 실존주의의 선구자이자 ‘생의 철학자’로서 니힐리즘의 도래를 설파한 그의 철학은 20세기의 문학과 철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의 영향을 받은 철학자로는 하이데거, 융, 바타이유, 푸코, 들뢰즈, 데리다 등이 있다.

Table of Contents

옮긴이 서문 | 5
서문 | 9
안티크리스트 | 15
그리스도교 탄압법 | 165
옮긴이 해제 | 169
찾아보기 | 211

Gallery

도서
검색

Daewoo Foundation Library

대우재단 총서 검색

대우재단에서 연구/출판 지원한 모든 도서를 한 곳에서 검색하실 수 있습니다.
바로가기
2013/12/30
아카넷 출판
46판 B6 128x188mm
216 페이지
13,000원
ISBN 89-5733-344-0 94160

관련 총서

대우재단 대우학술총서 제617권 조선 지식인의 악(樂)사상 written by 한지훈 and published by 아카넷 in 2017

조선 지식인의 악(樂)사상

조선시대 지식인의 사상성을 어떤 선입관에 사로잡혀 성리학적 각도로만 규정하거나 해석하고 유도하는 것은 자칫 그 인물이나 문집의

대우재단 대우학술총서 제104권 현대인식론 written by 김기현 and published by 민음사 in 1998

현대인식론

지식을 다루는 철학 분과인 인식론을 설명한 책. 영미철학의 전통에 서있는 인식론을 소개하고 각 이론들이다루는 논쟁점이 무엇이며

대우재단 대우고전총서 제31권 윤리형이상학 written by 백종현 and published by 아카넷 in 2012

윤리형이상학

칸트 말년의 대표작. 『윤리형이상학』이란 『법이론의 형이상학적 기초원리』와 『덕이론의 형이상학적 기초원리』, 이 두 책을 묶어 부를 때

대우재단 대우학술총서 제54권 베르그송의 철학 written by 김형효 and published by 민음사 in 1991

베르그송의 철학

베르그송의 철학은 흐르는 철학이다. 이 책은 그의 “흐름의 철학”에 대한 종합적인 해설서이다.

대우재단 대우학술총서 제53권 중국신화전설 1 written by 전인초, 김선자 and published by 민음사 in 1992

중국신화전설 1

아득한 역사의 저편, 하늘과 땅과 강과 바다가 세계의 전부였던 시절, 인류는 그 세계에 대 한 강렬한

대우재단 총서 전체 태그

Dtalk 가무희 가족제도 가축 갈릴레오 갑골문자 갑골학 개인주의 건축학 견문기 경영학 경제 경제학 계량경제학 계몽주의 고고학 고구려 고대 고려 고분 고전 고전주의 고진하목사시인 공학 과거제도 과학 과학기술 과학혁명 관료제도 광물학 교육 교육학 구조주의 국가 국경 국방 국제 그리스 근대 금속공예 금융 기독교 기록물관리 기하학 기호 기후변화 기후학 김우중의료봉사상 김우중의료인상 김유석교수 꿈과휴 남미 남성 낭만주의 노예제도 논리학 농업 농학 뉴튼 니체 다문화주의 다산정약용 다산학 대기 대동서 대우고전총서 대우꿈동산 대우재단 대우학술총서 대학 대한제국 데이비드흄 데이터베이스 데카르트 도교 도시 도시공학 독일 동력 동물학 동물행동학 동북아시아 동아시아 동양 동양철학 라틴아메리카 랑케 러시아 러시아어 레이저 로마제국 르네상스 리만 마르크스 마키아벨리 막스베버 만엽집 맥시멀리즘 메가라학파 메커니즈즈즘 목민심서 몽고 몽고제국 무역 묵자 문명 문명의기원 문자 문학 문헌정보 문화 문화유물론 문화인류학 물리주의 물리학 미국 미니멀리즘 미술 미학 민족 민주주의 바나흐 바도모리 발굴 발해 방언 백제 법인스님 법학 베이컨 베트남 벽화 보수주의 복지국가 봉건제도 분광학 분자물리학 불교 비교문학 비교언어학 비교종교학 비교학 비트겐슈타인 사회 사회계급 사회과학 사회인류학 사회주의 사회학 산업혁명 산업화 삼국시대 상문명 상주사 생리학 생명공학 생명과학 생물 생물학 생체에너지 생체화학 생태학 생화학 샤머니즘 서교 서양 서양미술 서양철학 서장원교수 서재필 서학 서학사 세계화 소설 소재공학 소크라테스 수산업 수학 스탕달 스페인 슬라브어 시베리아 시베리아개발 시장 시장경제 시카고학파 식문화 식물학 신경 신경과학 신동흔 신라 신약성서 신화 실용주의 실증주의 실학 심리 심리학 아담스미스 아동심리학 아랍 아시아 아우구스티누스 아트선재센터 안보 알타이어 암각화 양명학 양자 양자물리학 양자역학 양자학 어원론 언어 언어학 엔트로피 여성 여속사 역사 역사언어학 역사주의 역사학 역학 열역학 영국 영국혁명 영양학 영어 예술 온난화 외교 외교학 우주과학 우주의기원 운동 원철스님 유교 유기물 유기물질 유기화학 유라시아 유럽 유럽연합 유재건 유전자 윤리 윤리학 은대 음악 음악학 음운학 음파 음향학 응용과학 응용화학 의복문화 의상 의식주 의학 이론 이론물리학 이성 이슬람 이슬람교 이승종교수 인간주의 인공지능 인도 인류학 인문학 인상주의 인식론 인지심리학 일본 일본어 입자물리 자기공명 자본주의 자연과학 자유주의 재료공학 전기 전라북도 전쟁 전통 전파 절대주의 정다산 정보통신 정보통신기술 정책 정치학 제1차세계대전 제3세계 제국 제국주의 제주도 조선 조형미술 존스튜어트밀 종교 종교학 종말론 종족제도 주거문화 죽음의춤 중국 중국어 중동 중미 중상주의 중세 중화사상 지구과학 지능 지도 지리 지리학 지명 지방 지방행정 지식의지평 지역 지역발전 지질학 진화론 진화심리학 진화학 천문학 천체물리학 철학 청나라 체계이론 체육 총론 춘추전국시대 충청남도 카시러 칸트 컴퓨터 컴퓨터공학 케인즈 쿤스트할오르후스 토지 토지소유 토텐탄츠 톰삭스 통계학 통신사 파장 포스트모더니즘 포스트모던 포스트휴먼 폴리스 풍속 풍수사상 풍수설 프랑스 프랑스혁명 프래그머티즘 프로이트 플라즈마 플라톤 피카레스크 하이에크 학술연구지원 한국 한국도자제작기술사 한국어 한국의정원 한글 한자 합성소재 해석학 해양법 핵물리학 핵융합 행정 향약 헬레니즘 혁명 현대 현상학 형이상학 호남실학 홍대용 화엄사상 화학 화학공학 환경 환경공학 환경과학 후설 훈민정음 희곡 희극 힉스입자 힐버트
Scroll to Top
Scroll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