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종현
서울대 철학과에서 학사·석사과정 후 독일 프라이부르크 대학에서 철학박사학위
인하대 철학과 교수, 한국칸트학회 회장, 서울대 철학사상연구소 소장 역임
서울대학교 철학과 교수
Abstract
칸트의 제3비판서인 “판단력비판”은 “순수이성비판”, “실천이성비판”과 함께 칸트 철학을 대표하는 3비판서 중 하나이다. 이 책은 칸트가 작품 활동을 왕성하게 벌이던 1780년대에 다른 두 비판서와 함께 출간되었다.
1781년 출간된 “순수이성비판”이 형이상학과 인식 이론에 관한 문제를 논하고, 1788년 출간된 “실천이성비판”이 실천철학의 근본 문제를 다룸으로써 진(眞)과 선(善)의 문제를 각각 논의한 것이라면, “판단력비판”은 미(美)의 문제를 천착한 것이다. 또한 “판단력비판”은 앞선 두 비판서를 매개함으로써 칸트 전체 비판철학의 기획을 완성하는 저작으로 알려져 있으며, 미학 연구에 필수적인 책이다.
Original Volume
Title : Kritik der Urteilskraft
Author : Immanuel Kant
Publisher : Akademie der Wissenschaften zu Berlin
Published Year : 1793
저자(한글) : 임마누엘 칸트
원서 언어 : Deutsch
저자 약력 : 임마누엘 칸트(Immanuel Kant, 1724-1804)
서양근대철학의 새로운 전기를 마련한 것으로 평가받는 철학자. 동(東)프로이센의 항구 도시 쾨니히스베르크의 대학에서 철학, 수학, 자연과학을 폭넓게 공부하였다. 이후 대학에서 강사, 정교수로 있으면서 철학, 자연과학, 자연지리학, 신학, 인간학 등을 강의하였다. 저서로는 『순수이성비판』(1781), 『형이상학 서설』(1783), 『윤리형이상학 정초』(1785), 『실천이성비판』(1788), 『판단력비판』(1790), 『이성의 한계 내에서 종교』(1793), 『윤리형이상학』(1797)이 있다.
Table of Contents
책을 내면서
제1부 “판단력비판”해제
“판단력비판”해제
Ⅰ. “판단력비판”의 저술 및 출판
Ⅱ. “판단력비판”의 구성
Ⅲ. “판단력비판”의 주요 내용
1. 서론
2. 미감적 판단력 비판
1) 미감적 판단력의 분석학
2) 미감적 판단력의 변증학
3) 취미의 방법론
3. 목적론적 판단력 비판
1) 목적론적 판단력의 분석학
2) 목적론적 판단력의 변증학
3) 목적론적 판단력의 방법론
“판단력비판”관련 주요 문헌
Ⅰ. 원전 krittik der Urteilskraft의 주요 판본
Ⅱ. 사전류
Ⅲ. 학술지
Ⅳ. 서지
Ⅴ. 주석서
Ⅵ. 국외 연구논저 Ⅶ. 국내 연구논저(역서 포함)
제2부 “판단력비판”역주
역주의 원칙
유사어 및 상관어 대응 번역어
“판단력비판”번역 및 주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