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하
서강대 철학과 졸업, 동대학원 석사 미국 세인트루이스 대학 박사 학위
서경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연구전임교수
Abstract
『자연종교에 관한 대화』와 더불어 서구 최초의 종교 철학에 관한 근대적 저작으로 볼 수 있는 책이다. 저자인 흄은 신의 존재를 이넝하지만, 일체의 신화적 요소를 부인하고 오직 도덕적인 실천을 유일한 종교적 실천으로 삼았던 18세기 영국이신론자들의 자연종교와 계시와 신화적인 토대 위에서 인간 본성에 반하는 온갖 광신적인 종교적 실천을 강요해 온 타락한 기성종교와의 두 극단 가운데서 종교를 인간의 자연적 나약성에서 기인되는 삶의 양식으로 수용하고자 했던 종교계몽론자였다. 이 책 『종교의 자연사』는 종교에 대한 인류학적이며, 심리학적이고, 역사학적인 뿌리를 살펴봄으로써 인간 본성 안에서 종교의 기원을 밝혀나가고 있다.
Original Volume
Title : The Natural History of Religion
Author : David Hume
Publisher : Stanford University Press
Published Year : 1956
저자(한글) : 데이비드 흄
원서 언어 : English
저자 약력 : 데이비드 흄(David Hume, 1711-1776)
에든버러 대학에서 수학하였고, 프랑스 라 플레슈(La Flèche)의 예수회 대학에서 연구하였다. 에든버러의 변호사 도서관 관장, 프랑스 주재 영국대사 비서, 런던 동부지역의 내무차관 등을 지냈다. 『종교의 자연사』(1757), 『인성론(A Treatise of Human Nature)』(1739-1740), 『영국사(History of England)』(1762), 『자연종교에 관한 대화』(1779) 등의 저서를 남겼다.
Table of Contents
I 다신교는 인류 최초의 종교였다
II 다신교의 기원
III 계속되는 동일한 주제
IV 세계의 창조주나 형성자가 아닌 신들
V 다신교의 다양한 유형들 : 우화, 영웅숭배
VI 다신교로부터 유일신교의 출현
VII 이 이론에 대한 확증
VIII 다신교와 유일신교의 부침(浮沈)
IX 박해와 관용의 측면에서 다신교와 유일신교의 비교
X 용기 또는 굴욕의 측면에서
XI 이성 또는 불합리의 측면에서
XII 의심 또는 확신의 측면에서
XIII 두 가지 유형의 대중종교에서 드러난 신의 본성에 관한 불경한 개념들
XIV 도덕에 미치는 대중종교의 악영향
XV 맺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