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병훈
연세대학교를 졸업하고 미국 Rice 대학교에서 정치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1989년부터 2020년까지 숭실대학교에서 , , 등을 가르쳤다. 그동안 『민주주의』를 포함해서 여섯 권의 저서를 냈다. 밀과 토크빌의 삶을 다룬 『위대한 정치』(2017), 포퓰리즘 현상을 비판적으로 논구한 『포퓰리즘』(2008), 밀과 플라톤의 자유론을 비교 분석한 『자유의 미학』(2000), 밀의 사회주의 사상을 음미한 『자유의 본질과 유토피아』(1995), ‘칠레식 사회주의’를 따뜻하게 소개한 『다시 시작하는 혁명』(1991)을 잇달아 쓰면서 사회주의, 자유, 민주주의를 두드려보았다. 밀의 「자유론」, 「공리주의」, 「종교론」 등을 담은 『존 스튜어트 밀 선집』(2020)을 비롯해서 토마스 힐 그린의 『윤리학 서설』(2004), 하이에크의 『법, 입법 그리고 자유 III』(1997) 등 자유주의 사상가들의 책도 여러 권 우리 말로 옮겼다.
Abstract
토크빌과 밀은 민주주의의 가능성을 믿었으나 그 민주주의가 ‘오만’에 빠져 자유를 억압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두 사람은 비관론에 매몰되지 않고 ‘새로운 정치학’을 개척하기 위해 분투했다. 토크빌은 참여의 확대를 통해 민주 독재를 예방할 수 있다고 믿었다. 밀도 토크빌과 생각이 같았다. 다만 밀은 참여가 일정한 궤도에 오를 때까지 지적 능력이 뛰어난 지도자들이 정치적으로 더 큰 발언권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주장했다.
두 사람은 ‘열린 생각’의 소유자였다. 밀은 편견을 넘어 진실을 찾기 위해 노력했고, 토크빌은 당파(黨派)에 구애받지 않고 멀리 보기 위해 힘을 쏟았다. 지금껏 서양 학계에서 밀과 토크빌을 개별적으로 연구한 저술은 무수히 많지만 두 사람을 한 지점에 같이 올려놓고 비교하는 글은 거의 없었다. 이 책은 그런 지성사적 공백을 메우게 될 것이다.
Table of Contents
책을 내면서
1부 서론
1장 플라톤의 경고
2장 밀과 토크빌의 해법
3장 생애와 사상
4장 자유주의자의 우정
2부 토크빌: ‘민주독재’를 경계하라
1장 토크빌의 속마음
2장 ‘민주독재’에 대한 두려움
3장 ‘나는 본질적으로 민주주의자’
4장 질서와 도덕이 살아 있는 민주주의
5장 민주주의의 축소
6장 민주주의의 확대
7장 민주주의의 순치
8장 참여와 절제의 오묘한 균형
3부 밀: ‘숙련 민주주의’를 위한 제언
1장 ‘진보적 자유주의자’의 선택
2장 급진주의 개혁운동의 이론과 실천
3장 대의 민주주의에 대한 포부
4장 ‘숙련 민주주의’를 위한 구상
5장 플라톤주의의 민주적 환생
6장 창조적 절충의 과제
4부 자유의 동반자: 밀과 토크빌 비교 분석
1장 민주주의의 친구
2장 밀이 토크빌보다 더 민주적?
3장 ‘고결한 자유’를 위한 행진?
4장 밀은 토크빌의 ‘학생’?
5장 ‘자유를 향해 두 손을 맞잡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