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일모, 이원석, 정원섭
2020/08/28
288 페이지
22,000 원
아카넷
ISBN 978-89-5733-690-8 94190

성리와 윤리

Author(s)

양일모, 이원석, 정원섭

Biography

양일모
서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대학원에서 동양철학 전공으로 석사학위, 도쿄대학 대학원 인문사회계연구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학교 자유전공학부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저서로 『근현대한국총서 1~7』(책임편집, 2019), 『옌푸(嚴復): 중국의 근대성과 서양사상』(2008), 『민본과 민주의 개념적 통섭』(공저, 2017) 등이 있고, 번역으로 『천연론』(공역), 『관념사란 무엇인가』 (공역) 등이 있다. 「한학에서 철학으로―20세기 전환기 일본의 유교 연구」, 「유교적 윤리 개념의 근대적 의미 전환―20세기 전후 한국의 언론잡지 기사를 중심으로」,  「중국철학사의 탄생―20세기 초 중국철학사 텍스트 성립을 중심으로」, “Translating Darwin’s Metaphors in East Asia” 등의 논문이 있다.

이원석
서울대학교에서 「북송대(北宋代) 인성론 연구」(2011)로 철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전남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공저로 근현대한국총서 시리즈 여섯 권(『서학의 충격과 접변』, 『동도서기의 의미지평』, 『서양 정치사상과 유교 지평의 확장』, 『사회사상과 동서접변』, 『동서사상의 회통』, 『동서접변 연구의 평가와 전망』)이 있고(2020), 역서로 『주희의 역사세계』(2015), 『이 중국에 거하라』(2012), 『주자와 양명의 철학』(2012)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 「정조와 윤행임의 「대학장구 서문」 해석과 인물성동이 논쟁」(2020), 「청년기 김굉필의 사상 전환과 그 지성사적 배경」(2020) 등이 있다.

정원섭
서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 대학원에서 존 로크에 관한 연구로 석사학위(1989)와 존 롤즈에 대한 연구로 박사학위(2004)를 받았다. 지금 경남대학교 자유전공학부 교수로 일한다. 논문으로는 「영미윤리학계의 최근 동향과 도덕교육」, 「자유주의 정치철학과 복지」, 「인권의 현대적 역설」 등이 있고, 저서로는 『롤즈의 공적 이성과 입헌 민주주의』(2008), 『처음 읽는 윤리학』(2013), 『인공지능과 새로운 규범』(2018) 등이 있으며, 번역서로는 『다원적 평등과 정의』(M. 왈처, 1999), 『기업윤리』(N. 바우위, 1995), 『아시아의 인권교육』(유네스코한국위원회, 2000) 등이 있다. “A Property-Owning Democracy or Democratic Socialism?”(1998)으로 미국철학회로부터 ‘Foreign Young Philosopher’ 최우수상을 받았다.

Abstract

한국은 19세기 말 서양과의 만남 이후로 개화기, 대한제국 시기, 식민지 시기, 남북분단의 상황을 거치면서 근대적 국민국가를 형성해 왔다. 지난 150여 년은 한국의 역사상 가장 급격하고 복잡한 형식으로 전개된 시기라고 할 수 있다. 성리학을 중심으로 형성된 예교(禮敎), 유교적 규범이 일상화된 전통 질서는 근대 국가를 형성하는 사이에 비판의 대상으로 간주되면서 표면적으로는 서양으로부터 도입된 새로운 가치체계가 이를 대신하였다. 삼강오륜 혹은 수신제가 등의 유교적 가르침은 진부한 이념으로 간주되었으며, 개인의 자유와 정치의 민주 등 새로운 가치관이 형성되었다. 그렇지만 한국의 근대를 내면적으로 분석해 보면, 비판의 대상이 되었던 유교적 규범이 개인의 행위나 정치적 질서 속에 내면화되어 있다는 점을 부정하기는 어렵다. 즉 한국의 근대화 과정을 단순한 서양 사상 혹은 서양 윤리의 도입으로 간주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이 책에서는 인륜의 보편성과 특수성이라는 점에 주목하면서 몇 가지 문제를 설정하고 이에 답하고자 하였다. 첫 번째로, ‘한국에서는 어떤 문제를 윤리적 문제로 간주하며, 어떤 문제는 윤리와 무관하다고 생각하는가’ 하는 윤리의 영역 문제, 두 번째로, ‘21세기 한국 사회 윤리는 어떤 특색을 지니고 있는가’ 하는 윤리의 내용 문제, 세 번째로, ‘우리의 전통 윤리로 간주되는 유학의 기본적 가르침은 서양의 윤리 사상이 도입되면서 어떻게 재구축되어 있는가’ 하는 윤리의 수용 문제, 네 번째로, ‘우리나라에 도입되어 중요한 영향을 미친 윤리 사상은 무엇이며, 이러한 윤리 사상은 어떤 방식으로 수용되어 터 잡게 되는가’ 하는 윤리의 정초 문제이다.

이러한 문제를 연구하기 위해 이 책에서는 현재 한국의 ‘윤리’의 문제를 거시적·미시적 방면에서 분석한다. 즉 한국에서 서양 윤리 사상이 도입되는 과정을 통시적으로 고찰하면서 유사한 사상적 토대를 지닌 중국과 일본의 모습과 비교하여 근대 한국 윤리 형성 과정의 특징을 추출하고, 아울러 윤리 문제의 수용과 분석에서 비교철학적 분석과 사상사적 접근을 시도하고 있다. 특히 현재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윤리’ 개념은 일본의 번역어로부터 수용된 것이므로, 일본과 중국에서 윤리 개념의 형성 과정을 분석하면서 근현대 한국에서 윤리 개념이 형성되고 사회적으로 확장되어 언어적 권위를 형성하는 과정을 개념사 연구 방법론을 통해 분석한다.

이 책은 윤리 교육 및 인성 교육의 구체적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는 바, 우리 사회의 도처에서 나타나고 있는 적절한 윤리에 대한 사회적 요청에 하나의 대답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 책에서는 첫째, 개념사라는 방법을 통해 윤리 개념이 한국 사회에서 정초되는 과정을 통시적으로 고찰함으로써 윤리에 대한 이해가 우리 사회에서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를 주목했고, 둘째, 비교철학의 방법을 통해 우리와 유사한 유교 문화권 국가인 일본과 중국에서 윤리 개념이 어떻게 수용되고 변화되었는지를 주목함으로써 윤리 및 그 동반 개념에 대한 우리 사회의 이해를 객관화해 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이 책은 윤리 개념의 지형도를 구축함으로써 우리 자신에 대한 이해를 역사적 지평 위에서 증진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Table of Contents

머리말

제1부 ‘성리’의 정립을 향하여
1. 유교 윤리에 대한 기존 연구 검토
2. 초기 유교 윤리의 특성
3. 초기 유교 윤리의 문제점과 해결의 시도
4. 근세에서 성선설의 성립과 보편성의 추구
5. 베버 명제의 재검토와 유교 윤리의 전근대성

제2부 동아시아에서 윤리 개념의 정초
1. 윤리학을 찾아서
2. 동아시아 고전에서의 윤리
3. 근대 일본과 ‘윤리’의 탄생
4. 근대 중국어와 ‘윤리’의 전생
5. 근대 한국의 윤리 개념

제3부 서양 윤리 수용과 윤리 개념 정초
1. 해방 후 윤리 의식
2. 한국 사회 윤리의 구성 요소
3. 독일 철학의 수용과 윤리의 변화
4. 영미 철학의 수용과 윤리의 변화
5. 과학 기술의 발전과 응용 윤리학

결론 – 새로운 공공 윤리의 모색
1. 우리 사회 윤리의 연원
2. “윤리” 그리고 “윤리와 무관한 것”
3. 구조적 정의와 시민 의식
4. 공적 이성과 새로운 공공 윤리
5. 한국 윤리, 과거에서 미래로

참고문헌
찾아보기

Gallery

도서
검색

Daewoo Foundation Library

대우재단 총서 검색

대우재단에서 연구/출판 지원한 모든 도서를 한 곳에서 검색하실 수 있습니다.
바로가기
2020/08/28
아카넷 출판
신국판 A5 152x225mm
288 페이지
22,000원
ISBN 978-89-5733-690-8 94190

관련 총서

대우재단 대우학술총서 제487권 법상징학이란 무엇인가 written by 최종고 and published by 아카넷 in 2000

법상징학이란 무엇인가

법상징학이라는 새로운 장르를 처음으로 소개하는 연구서이다. 법사상사를 전공한 저자는 한국인의 심성에 맞는 법이론과 법사상을 모색하기 위한

대우재단 대우학술총서 제57권 일반언어학의 제문제 1 written by 황경자 and published by 민음사 in 1992

일반언어학의 제문제 1

금세기 최고의 인도어 학자 중의 한 사람으로 평가받는 에밀 벤베니스트는 일반 언어학 연구에도 깊은 관심을 보였는데

대우재단 규장각 새로읽는우리고전 제15권 관서악부 written by 이은주 and published by 아카넷 in 2018

관서악부

『관서악부』는 조선 후기 시인으로 이름을 떨쳤던 석북 신광수가 절친한 친구 번암 채제공이 평양감사로 부임하게 되자 7언4구

대우재단 대우학술총서 제465권 한반도의 고분 written by 강인구 and published by 아르케 in 2000

한반도의 고분

한반도에 분포한 고분들은 그것의 입지조건과 분구(墳丘),내부 매장 주체시설의 구조,부장유물 등을 통해 이 땅에 살았던 옛사람들의 정치,사회,사상,문화를

대우재단 대우학술총서 제106권 이향견문록 written by 이우성, 김시업, 권진호, 김명균, 김진균, 나종면, 신익철, 윤세순, 이성호, 이지양, 이철희, 이현우, 정환국, 하정승, 한영규 and published by 민음사 in 1997

이향견문록

1862년 겸산 유재건이 펴낸 일종의 전기집. 중인, 서 리, 서민 출신으로 인물과 행적이 돋보이는 308명에 관한

대우재단 총서 전체 태그

Dtalk 가무희 가족제도 가축 갈릴레오 갑골문자 갑골학 개인주의 건축학 견문기 경영학 경제 경제학 계량경제학 계몽주의 고고학 고구려 고대 고려 고분 고전 고전주의 고진하목사시인 공학 과거제도 과학 과학기술 과학혁명 관료제도 광물학 교육 교육학 구조주의 국가 국경 국방 국제 그리스 근대 금속공예 금융 기독교 기록물관리 기하학 기호 기후변화 기후학 김우중의료봉사상 김우중의료인상 김유석교수 꿈과휴 남미 남성 낭만주의 노예제도 논리학 농업 농학 뉴튼 니체 다문화주의 다산정약용 다산학 대기 대동서 대우고전총서 대우꿈동산 대우재단 대우학술총서 대학 대한제국 데이비드흄 데이터베이스 데카르트 도교 도시 도시공학 독일 동력 동물학 동물행동학 동북아시아 동아시아 동양 동양철학 라틴아메리카 랑케 러시아 러시아어 레이저 로마제국 르네상스 리만 마르크스 마키아벨리 막스베버 만엽집 맥시멀리즘 메가라학파 메커니즈즈즘 목민심서 몽고 몽고제국 무역 묵자 문명 문명의기원 문자 문학 문헌정보 문화 문화유물론 문화인류학 물리주의 물리학 미국 미니멀리즘 미술 미학 민족 민주주의 바나흐 바도모리 발굴 발해 방언 백제 법인스님 법학 베이컨 베트남 벽화 보수주의 복지국가 봉건제도 분광학 분자물리학 불교 비교문학 비교언어학 비교종교학 비교학 비트겐슈타인 사회 사회계급 사회과학 사회인류학 사회주의 사회학 산업혁명 산업화 삼국시대 상문명 상주사 생리학 생명공학 생명과학 생물 생물학 생체에너지 생체화학 생태학 생화학 샤머니즘 서교 서양 서양미술 서양철학 서장원교수 서재필 서학 서학사 세계화 소설 소재공학 소크라테스 수산업 수학 스탕달 스페인 슬라브어 시베리아 시베리아개발 시장 시장경제 시카고학파 식문화 식물학 신경 신경과학 신동흔 신라 신약성서 신화 실용주의 실증주의 실학 심리 심리학 아담스미스 아동심리학 아랍 아시아 아우구스티누스 아트선재센터 안보 알타이어 암각화 양명학 양자 양자물리학 양자역학 양자학 어원론 언어 언어학 엔트로피 여성 여속사 역사 역사언어학 역사주의 역사학 역학 열역학 영국 영국혁명 영양학 영어 예술 온난화 외교 외교학 우주과학 우주의기원 운동 원철스님 유교 유기물 유기물질 유기화학 유라시아 유럽 유럽연합 유재건 유전자 윤리 윤리학 은대 음악 음악학 음운학 음파 음향학 응용과학 응용화학 의복문화 의상 의식주 의학 이론 이론물리학 이성 이슬람 이슬람교 이승종교수 인간주의 인공지능 인도 인류학 인문학 인상주의 인식론 인지심리학 일본 일본어 입자물리 자기공명 자본주의 자연과학 자유주의 재료공학 전기 전라북도 전쟁 전통 전파 절대주의 정다산 정보통신 정보통신기술 정책 정치학 제1차세계대전 제3세계 제국 제국주의 제주도 조선 조형미술 존스튜어트밀 종교 종교학 종말론 종족제도 주거문화 죽음의춤 중국 중국어 중동 중미 중상주의 중세 중화사상 지구과학 지능 지도 지리 지리학 지명 지방 지방행정 지식의지평 지역 지역발전 지질학 진화론 진화심리학 진화학 천문학 천체물리학 철학 청나라 체계이론 체육 총론 춘추전국시대 충청남도 카시러 칸트 컴퓨터 컴퓨터공학 케인즈 쿤스트할오르후스 토지 토지소유 토텐탄츠 톰삭스 통계학 통신사 파장 포스트모더니즘 포스트모던 포스트휴먼 폴리스 풍속 풍수사상 풍수설 프랑스 프랑스혁명 프래그머티즘 프로이트 플라즈마 플라톤 피카레스크 하이에크 학술연구지원 한국 한국도자제작기술사 한국어 한국의정원 한글 한자 합성소재 해석학 해양법 핵물리학 핵융합 행정 향약 헬레니즘 혁명 현대 현상학 형이상학 호남실학 홍대용 화엄사상 화학 화학공학 환경 환경공학 환경과학 후설 훈민정음 희곡 희극 힉스입자 힐버트
Scroll to Top
Scroll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