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정인
현재 서강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주요 연구 분야는 비교 정치사상, 한국 현대 정치사상, 문화와 정치 등이다. 주요 저서로는 『넘나듦(通渉)의 정치사상』(2013), 『한국 현대 정치사상과 박정희』(2014), “Western-Centrism and Contemporary Korean Political Thought”(서구중심주의와 현대 한국 정치사상, 2015) 등이 있다.
고희탁
도쿄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는 서강대학교 현대정치연구소 SSK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연구주제는 동아시아 근대화 사상동력에 대한 탐구, 계몽기 유럽에서의 동아시아 위상과 역할 등이다. 주요 논저로는 『일본 근세의 공공적 삶과 윤리』(2009), 『에도시대 ‘민’의 정치적 각성과 그 역설』(2012), 『마루야마 마사오의 일본근세정치사상사연구와 서구중심주의의 굴레』(2015), 『근현대 일본에서의 서양문명 수용의 이중주와 그 유산』(2016) 등이 있다.
김광수
남아프리카공화국 노스-웨스트 대학교(North-West University) 역사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한국외국어대학교 아프리카연구소 HK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논저로는 『남아프리카사』(공저)(2013), 『1950-1960년 콩고민주공화국 바콩고동맹(ABAKO)의 정체성의 변화에 대한 고찰』(2014), 『1990년대 이전 중국의 대남부아프리카 외교정책 고찰』(2015),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지명 변경과 역사의 재맥락화: 새로운 정체성과 역사의식 만들기』(2015) 등이 있다.
김은실
러시아 모스크바 국립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성신여자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연구 관심 분야는 정치사상, 문화와 정치, 인간주의, 페미니즘, 한국여성사 등이며, 주요 논문으로는 「근대 러시아의 문화정체성에 관한 고찰: 논쟁과 담론을 중심으로」(2015), 「중심-탈중심주의의 문화정치학: 조선중화주의와 모스크바 -제3로마사상을 중심으로」(2013), 「인간주의에 대한 러시아의 근대적 성찰」(2011), 저서로는 『서양 고대·중세 정치사상사(공저)』(2011), 『한국 근현대 여성사(공저)』(2011) 등이 있다.
김은중
현재 서울대학교 라틴아메리카연구소 HK교수로 재직 중이다. 라틴아메리카 문학을 전공했으며 최근에는 라틴아메리카 탈식민성과 사회운동을 중심으로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는 『라틴아메리카의 전환: 변화와 갈등(상), (하)』(공저), 『포스트- 신자유주의 시대의 라틴아메리카 사회적 시민권』(공저), 『세계·지방화 시대의 인문학과 지역적 실천』(공저)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라틴아메리카, 만들어진 대륙: 식민적 상처와 탈식민적 전환』 등이 있다.
류칭(刘擎/劉擎)
현재 화동사범대학 정치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미네소타 대학University of Minnesota)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주요 연구 분야는 서양사상사, 정치철학과 국제정치, 중국현대사상이다. 주요 연구로는 「중국은 얼마나 특수한가」, 「중국에서의 자유주의: 잠재성과 딜레마」, 「학술과 사상의 분열」, 「유가부흥과 현대정치」, 「성동격서(聲東擊西)」 등 다수가 있다.
박은홍
성공회대 사회과학부 및 동대학원 아시아비정부기구학 전공과정(MAINS) 교수로 재직 중이며, 《민주누리》 편집위원을 맡고 있다. 저서로는 『동아시아의 민주화와 과거청산』(공저, 2004), 『동아시아의 전환: 발전국가를 넘어』(2008), 『아시아의 정치변동과 사회운동의 변화』(공저, 2010) 외, 주요 논문으로는 「제3세계 ‘자유의 왕국’을 향한 영구혁명」(2011), 「민족혁명과 시민혁명: 타이와 미얀마」(2014), 「탈식민체제로서의 ‘우리식 사회주의’의 식민성」(2015), 「미얀마, ‘질서있는 이행’ 모델」(2016) 등이 있다.
엄한진
현재 한림대 사회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주요 연구 분야는 아랍사회연구, 이민연구, 종교사회학이다. 주요 저서로는 『이슬람주의』(한국문화사, 2014), 『다문화사회론』(소화, 2011)이 있으며, 논문으로는 「동질화에 대한 반발로서의 극단주의 현상」(2015), 「강원지역 농축산업 분야 외국인 노동자의 노동과 일상생활」(2014), 「새로운 전쟁으로서의 중동전쟁」(2013) 등이 있다.
이지은
인도 자와할랄 네루 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연구소 초빙연구원으로 인도 하층카스트 운동, 식민지 시대와 탈식민 시대의 사회적 담론 등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는 『사료로 보는 아시아사』(2014, 공저), 논문으로는 「반(反)서구중심주의에서 원리주의까지―아리아 사마즈의 힌두 민족주의적 문화운동을 중심으로 본 인도 종교 커뮤널리즘의 기원」(2016), 「힌두 전통에 대한 남인도 비(非)브라만적 인식론: 뻬리야르의 “라마야나” 읽기」(2014) 등이 있다.
전제국
국가공무원 출신으로 현재 국방대학교 외래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미국 오하이오주립대학교(OSU)에서 동아시아 정치경제 비교연구로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30년간 국방부 공무원으로 근무하면서 군비통제기획과장, 국방중기계획과장, 국제정책관(국장), 국방정책실장 등을 역임하였다. 주요 저서로는 『싱가포르: 도시국가에서 글로벌 국가로』(2002), 『동남아의 정치경제(공저)』(1995), 『전략환경과 국방비』(2005), 『글로벌평화활동』(2011) 등이 있고, 주요 논문이 『국가전략』, 『정책연구』, 『한국과 국제정치』, 『국방정책연구』, 『외교안보연구』, Pacific Affairs, Asian Perspective , World Affairs, Third World Quarterly 등 국내외 학술지에 게재되었다.
조경란
현재 연세대 국학연구원 HK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연구 분야는 중국의 현대 사상과 지식인 문제이며, 최근에는 ‘좌파-오리엔탈리즘’과 ‘제국 담론’이라는 개념을 매개로 중국연구방법론에 대해 쓰고 있다. 저서로 『20세기 중국 지식의 탄생』, 『현대 중국 지식인 지도』, 『보수주의와 보수의 정치철학』(공저), 『理解中国的视野: 汪暉學術思想評論集』(공저) 등이 있으며, 주요 논문으로는 「중국 탈서구중심주의 담론의 아포리아―20세기 국민국가와 중화민족 이데올로기의 이중성」, 「냉전시기 일본 지식인의 중국 인식―다케우치 요시미의 중국관: 사상적 아포리아와 ‘좌파-오리엔탈리즘’」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