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춘권, 김영순, 김인춘, 김학노, 서명호, 진영재, 최진우
2011/09/09
2012년 문화체육관광부 선정 우수학술도서
416 페이지
25,000 원
아카넷
ISBN 978-89-5733-211-5 94340

서유럽의 변화와 탈근대화

Author(s)

구춘권, 김영순, 김인춘, 김학노, 서명호, 진영재, 최진우

Biography

구춘권
영남대학교 정치외교학과 부교수. 서강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독일 마르부르크 필립스 대학교에서 정치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저서로 Asiatischer Kapitalismus(1998), 『지구화, 현실인가 또 하나의 신화인가』(2000), 『메카테러리즘과 미국의 세계질서전쟁』(2005) 등이 있다.

김영순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기초교육학부 부교수. 서울대학교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복지국가 재편의 두 가지 길: 1980년대 영국과 스웨덴의 경험』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논문으로 『사회투자국가가 우리의 대안인가?』(2007), “Institutions of interest representation and the welfare state in post-democratization Korea”(2010), 『한국의 복지정치는 변화하고 있는가』(2011), 저서로 『복지국가의 위기와 재편』(1996), 『한국의 복지정책 결정과정: 역사와 자료』(공저, 2008) 등이 있다.

김인춘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연구교수. 연세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미시간대학교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논문으로 『자본주의 다양성과 한국의 새로운 발전모델: 민주적 코포라티즘의 조건』(2007), 『2차대전 후 덴마크와 네덜란드의 복지국가와 생산체제: 노사관계의 관점』(2007), 『유럽통합과 ‘유럽화’: 북유럽과 남유럽의 비교』(2010년) 등이 있고, 저서로 『독점자본과 복지국가의 스웨덴 모델』(2007), 『세계화와 노동개혁: 동아시아와 유럽의 비교』(공저, 2005)가 있다.

김학노
영남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위스콘신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논문으로 『정치, 아(我)와 비아(非我)의 헤게모니 투쟁』(2010) 등이 있다.

서명호
현대엠엔소프트㈜ HRD담당자(대리). 연세대학교 대학원 정치학과에서 정치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석사논문은 『유럽 신사회운동에 따른 정치균열과 유럽통합: 좌파-자유주의(Left-Libertarian)와 우파-권위주의(Right-Authoritarian) 정당을 중심으로』(2009)이다.

진영재 (Jin Youngjae)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졸업하고 미국 University of California, Irvine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연세대학교 국가관리연구원장을 맡고 있다.
저서로는 『정치학 총론』(2010), 『사회과학 연구조사 방법론』(2011)이 있다.

최진우
한양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학부 및 석사과정을 졸업하고 미국 University of Washington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정치학회 총무이사, 한국국제정치학회 연구이사, 한국유럽학회 회장 등을 역임하였으며, 현재 한양대학교 유럽-아프리카 연구소를 설립 중에 있다. 관심 분야는 유럽정치, 지역통합, 문화와 정치, 국제개발협력의 정치경제 등이다.
저서로는 『MT 정치외교학』(2008)이 있으며 유럽통합과 관련한 다수의 논문이 있다. 현재 한국연구재단이 지원하는 한국사회과학기반연구의 일환으로 ‘경계짓기와 경계넘기의 문화 거버넌스: 유럽의 경험과 동아시아의 미래’를 제목으로 하는 다년도 연구과제 수행의 책임을 맡고 있다.

Abstract

이 책은 오늘날 유럽의 정치와 경제 및 사회가 어떻게 변하고 있는가, 어디로 가고 있는가를 탐색한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유럽은 하나의 안정된 사회질서를 만들고 유지해왔다. ‘전후 합의체제(postwar settlement)’라고 불리는 2차 대전 이후의 유럽질서는 그러나 1970년대의 경제위기와 1980년대 이후의 신자유주의적 세계화 속에서 심각한 도전을 받아왔다.
지난 30여 년 동안 유럽은 과연 질적으로 근본적인 변화를 거치고 있는가? 그렇다면 그 변화의 본질은 무엇인가? 변화하지 않는다면, 혹은 변화 속에서도 지속되고 있는 것들이 있다면, 그것은 무엇이며,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가? 과연 오늘날 유럽은 어디로 가고 있는가? 유럽의 현재 변화를 탈근대화(postmodernization)로 이해할 수 있는 것인가? 그렇다면 탈근대 사회는 어떤 모습인가? 이러한 여러 질문에 대하여 필자들은 국민국가와 유럽통합, 생산방식, 사회적 합의체제, 복지국가, 정당체계, 사회민주주의 등의 다양한 측면에서 검토한다.

Table of Contents

머리말
제1장 서론: 변화하는 유럽의 정치와 사회 (김학노ㆍ김인춘)
제2장 세계화, 지역통합, 그리고 유럽의 국민국가 (최진우)
제3장 유럽통합의 변화와 역동성: 전후 서유럽 지역협력 발전의 대내적․대외적 조건과 특수성 (구춘권)
제4장 서유럽 자본주의 축적체제의 변화: 포드주의의 위기와 포스트포드주의의 관철 (구춘권)
제5장 서유럽 사회적 협의체제의 변천: 민주적 코포라티즘의 쇠퇴와 부활 (김학노)
제6장 탈근대화와 유럽 복지국가의 변화: 복지정치에 미친 영향을 중심으로(김영순)
제7장 유럽국가들의 ‘정당체계’와 ‘정당’의 지속과 변화 양태에 관한 비교 분석 (진영재ㆍ서명호)
제8장 계급정치와 서유럽 사회민주주의: 신자유주의적 세계화 이후 위기와 전망 (김인춘)

Gallery

도서
검색

Daewoo Foundation Library

대우재단 총서 검색

대우재단에서 연구/출판 지원한 모든 도서를 한 곳에서 검색하실 수 있습니다.
바로가기
2012년 문화체육관광부 선정 우수학술도서
2011/09/09
아카넷 출판
신국판 A5 152x225mm
416 페이지
25,000원
ISBN 978-89-5733-211-5 94340

관련 총서

대우재단 대우학술총서 제84권 아우구스티누스 written by 이석우 and published by 민음사 in 1995

아우구스티누스

라틴 기독교를 체계화하고 중세 천년의 사상적 기틀을 마련했을 뿐 아니라 종교개혁의 정신적 원류로도 평가되는 아우구스티누스의 삶과

대우재단 대우학술총서 제472권 금융공황과 외환위기, 1870-2000 written by 차명수 and published by 아카넷 in 2000

금융공황과 외환위기, 1870-2000

1870년도부터 2000년도까지의 금융 공황과 외환위기에 대한 전문서. 이 책은 1870년 이후 오늘에 이르는 동안의 ‘세계 경제의

대우재단 대우학술총서 제92권 문화기호학 written by 송효섭 and published by 민음사 in 1997

문화기호학

기호학의 기본개념과 문화기호학의 이론적 흐름을 개괄한 이론서. 문화기호학의 배경과 범주, 소쉬르 기호학의 기본 개념, 로만 야콥슨

대우재단 대우학술총서 제93권 미국대외정책사 written by 권용립 and published by 민음사 in 1997

미국대외정책사

미국의 역사적 특징과 미국 정치의 이데올로기, 정 치제도를 바탕으로 독립전쟁부터 걸프전에 이르는 미국 외교정책의 행로를 정리한

대우재단 총서 전체 태그

Dtalk 가무희 가족제도 가축 갈릴레오 갑골문자 갑골학 개인주의 건축학 견문기 경영학 경제 경제학 계량경제학 계몽주의 고고학 고구려 고대 고려 고분 고전 고전주의 고진하목사시인 공학 과거제도 과학 과학기술 과학혁명 관료제도 광물학 교육 교육학 구조주의 국가 국경 국방 국제 그리스 근대 금속공예 금융 기독교 기록물관리 기하학 기호 기후변화 기후학 김우중의료봉사상 김우중의료인상 김유석교수 꿈과휴 남미 남성 낭만주의 노예제도 논리학 농업 농학 니체 다문화주의 다산정약용 다산학 대기 대동서 대우고전총서 대우꿈동산 대우재단 대우학술총서 대학 대한제국 데이비드흄 데이터베이스 데카르트 도교 도시 도시공학 독일 동력 동물학 동물행동학 동북아시아 동아시아 동양 동양철학 라틴아메리카 랑케 래모음집 러시아 러시아어 레이저 로마제국 르네상스 리만 마르크스 마리드프랑스 마키아벨리 막스베버 만엽집 맥시멀리즘 메가라학파 메커니즈즈즘 목민심서 몽고 몽고제국 무역 묵자 문명 문명의기원 문자 문학 문헌정보 문화 문화유물론 문화인류학 물리주의 물리학 미국 미니멀리즘 미술 미학 민족 민주주의 바나흐 바도모리 발굴 발해 방언 백제 법인스님 법학 베이컨 베트남 벽화 보수주의 복지국가 봉건제도 분광학 분자물리학 불교 비교문학 비교언어학 비교종교학 비교학 비트겐슈타인 사회 사회계급 사회과학 사회인류학 사회주의 사회학 산업혁명 산업화 삼국시대 상문명 상주사 생리학 생명공학 생명과학 생물 생물학 생체에너지 생체화학 생태학 생화학 샤머니즘 서교 서양 서양미술 서양철학 서장원교수 서재필 서학 서학사 세계화 소설 소재공학 소크라테스 수산업 수학 스탕달 스페인 슬라브어 시민인문학강좌 시베리아 시베리아개발 시장 시장경제 시카고학파 식문화 식물학 신경 신경과학 신동흔 신라 신약성서 신화 실용주의 실증주의 실학 심리 심리학 아담스미스 아동심리학 아랍 아시아 아우구스티누스 아트선재센터 안보 알타이어 암각화 양명학 양자 양자물리학 양자역학 양자학 어원론 언어 언어학 엔트로피 여성 여속사 역사 역사언어학 역사주의 역사학 역학 열역학 영국 영국혁명 영양학 영어 예술 온난화 외교 외교학 우주과학 우주의기원 운동 원철스님 유교 유기물 유기물질 유기화학 유라시아 유럽 유럽연합 유재건 유전자 윤리 윤리학 윤주옥 은대 음악 음악학 음운학 음파 음향학 응용과학 응용화학 의복문화 의상 의식주 의학 이론 이론물리학 이성 이슬람 이슬람교 이승종교수 인간주의 인공지능 인도 인류학 인문학 인상주의 인식론 인지심리학 일본 일본어 입자물리 자본주의 자연과학 자유주의 재료공학 전기 전라북도 전쟁 전통 전파 절대주의 정다산 정보통신 정보통신기술 정책 정치학 제1차세계대전 제3세계 제국 제국주의 제주도 조선 조형미술 존스튜어트밀 종교 종교학 종말론 종족제도 주거문화 죽음의춤 중국 중국어 중동 중미 중상주의 중세 중화사상 지구과학 지능 지도 지리 지리학 지명 지방 지방행정 지식의지평 지역 지역발전 지질학 진화론 진화심리학 진화학 천문학 천체물리학 철학 청나라 체계이론 체육 총론 춘추전국시대 충청남도 카시러 칸트 컴퓨터 컴퓨터공학 케인즈 쿤스트할오르후스 토지 토지소유 토텐탄츠 톰삭스 통계학 통신사 파장 포스트모더니즘 포스트모던 포스트휴먼 폴리스 풍속 풍수사상 풍수설 프랑스 프랑스혁명 프래그머티즘 프로이트 플라톤 피카레스크 하이에크 학술연구지원 한국 한국도자제작기술사 한국어 한국의정원 한글 한자 합성소재 해석학 해양법 핵물리학 행정 향약 헬레니즘 혁명 현대 현상학 형이상학 호남실학 홍대용 화엄사상 화학 화학공학 환경 환경공학 환경과학 후설 훈민정음 희곡 희극 힉스입자 힐버트
Scroll to Top
Scroll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