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백인
서울대학교 언어학과를 졸업하고 명지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석사학위를, 서울대학교 언어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알타이학회 회장, 한국언어학회 회장, 진단학회 회장을 역임하였으며 현재 서울대학교 명예교수로 있다.
저서로는 『만주어 음운론 연구』, 『만주어와 알타이어학 연구』, 『滿文 니샨 巫人傳』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는 「초기 만주어 사전들에 대하여」, 「한국어 계통 연구의 현상과 과제」 등이 있다.
김주원
서울대학교 언어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언어학과에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언어학과 교수로 있다. 훈민정음학회 회장을 지냈다.
저서로는 『몽골어와 퉁구스어』, 『조선왕조실록의 여진족 족명과 인명』등이 있으며 논문으로는 「모음조화와 설축」, 「한국의 알타이언어 음성 영상 자료」 등이 있다.
고동호
서울대학교 언어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언어학과에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알타이학회 편집위원장, 한글학회 편집위원이고, 전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있다.
저서로는 “Materials of Spoken Manchu”가 있고, 논문으로는 「시버어의 음운구조 연구」 등이 있다.
권재일
서울대학교 언어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언어학과에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학교 언어학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주요 저서로는 『한국어 통사론』, 『한국어 문법사』, 『남북언어의 문법 표준화』, 『사라져 가는 알타이언어를 찾아서』 등이 있다.
Abstract
알타이 언어에 대한 일반 언어학적 접근의 필요성’, ‘절멸 위기에 처한 언어에 대한 연구와 문서화’라는 관점에 입각하여 현지조사를 통해 얻은 자료를 기술하고 분석한 자료를 제시한 책. 중국의 다구르어와 어웡키어의 문법과 어휘를 연구하고 있다. 기초 회화에도 도움을 제공한다.
Table of Contents
1장 들어가기
2장 개황 및 개설
1. 언어 사용자의 인구와 지리적 분포
2. 현지조사 상황
3. 현지조사 과정
3장 문법
1. 다고르어
2. 어웡키어
4장 기초 회화
1. 다고르어
2. 어웡키어
5장 맺음말
부록 다구르어 기초 어휘 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