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수창 한림대학교 사학과 교수
구덕회 미성중학교 교사
오종록 성신여자대학교 사학과 교수
김세봉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한한대사전 편찬실
한명기 명지대학교 사학과 교수
배우성 서울시립대학교 국사학과 교수
Abstract
17세기 중반의 조선왕조 정치사에 대한 연구서. 16세기의 임진왜란과 반정으로 인해 왕위에 오른 인조. 그리고 두 번의 호란을 겪으면서 그 어느 때보다 격동의 시대를 겪었던 17세기의 정치 구조와 사회 변화를 살폈다. 외교, 이념, 사상과 이념 등을 돌아보면서 당시의 정치, 사회상을 규명한다.
Table of Contents
총론: 17세기 중반 정치세력과 정치운영
제1장 국왕(國王)과 신료(臣僚)의 역학관계
제2장 주요 정치기구의 성격과 위상
제3장 조선 군사력의 실태
제4장 예론(禮論)의 전개와 그 양상
제5장 조청관계(朝淸關係)의 추이
제6장 사회경제정책 논의의 정치적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