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두희
서강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였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전북대학교 사학과 교수, 미국 하버드 옌칭 연구소 교환교수를 지냈고 현재 서강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있다.
저서로는 『조선 초기 정치지배세력 연구』, 『조선시대 대간 연구』, 『미국에서의 한국사 연구』, 논문으로는 「조선 초기 지리지의 편찬」, 「조선 건국초기 통치체제의 성립과 그 역사적 의미」 등이 있다.
Abstract
조선 왕조의 유교적 이념과 정체성을 확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 조광조의 생애와 사상을 깊이있게 살펴본 책이다. 저자는 사림파와 훈구파의 대립 속에서 무리하게 개혁정책을 추구하다 실패한 정치가, 혹은 조선 유교 사상사에 길이 남을 사상가라는 극단적인 평가에서 벗어나 객관적인 시각에서 그를 바라보고자 한다.
Table of Contents
제1장 서론
제2장 중종 초 반역과 모반의 정치사: 조광조 등장의 역사적 배경
제3장 조광조의 등장
제4장 조광조의 알성시 대책문
제5장 폐비 신씨의 복위문제에 대한 논쟁과 조광조
제6장 단종의 어머니 권씨 왕후 소릉의 복권
제7장 정몽주와 김굉필의 문묘배향
제8장 소격서 폐지 논쟁에 나타난 조광조와 중종의 대립
제9장 돌아올 수 없는 길
제10장 중종 13년 5월의 지진과 군자․소인 논쟁
제11장 현량과: 이념과 현실의 갈등
제12장 기묘사화와 조광조
제13장 요약과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