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환묵
전남대학교 영문학과 졸업.
서울대학교에서 문학 박사학위(언어학 전공)를 받았다.
현재 전남대학교 영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 『영어문법론』(공저), 『훈민정음의 이해』(편), 『현대언어학-지금 어디로』(공저) 등이 있다.
Abstract
전통문법의 전통이라는 용어는 우리보다 먼저 살고 간 사람들로부터 물려받은 지적 유산을 의미한다. 전통영문법을 대표하는 스위트, 크라이싱어, 파우츠머, 예스퍼슨, 컴, 쿼크 등의 문법은 희랍문법, 라틴문법, 중세사변문법, 초기영문법의 문법전통을 이어받고 있다. 이 책은 이러한 문법전통을 물려받은 전통영문법의 성립과정과 특성을 밝히고, 현대영어의 주요한 문법현상을 전통문법적으로 기술하며 설명하고 있다.
전통문법은 기술문법이면서도 단순히 문법현상을 기술하는 기술문법의 범주에만 머무르지 않고, 언어의 변화에 관심을 갖기도 하고, 서로 다른 두 언어를 비교하기도 하고, 여러 언어간의 공통점을 찾으려는 등 문법현상을 설명하기 위하여 부단한 시도와 노력을 멈추지 않았다. 이렇게 보면, 전통문법은 기술문법이면서 동시에 설명문법에 속한다. 이 책을 통하여 우리는 기술문법을 대표하는 전통문법이 문법현상을 폭넓게 관찰하고 객관적으로 기술할 뿐만 아니라 우리의 언어직관을 충실히 반영하고 있다는 것을 이해하게 될 것이다. 이런 점에서 전통문법은 영어를 배우고 가르치는 데에 필수적이며 문법이론을 논의하고 수립하는 데에 기초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