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삼옥
서울대학교 지리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문학 석사를, 미국 Georgia 대학교에서 경제지리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학교 지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 『경제구조조정과 산업공간의 변화』,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지역산업정책』 등이 있다.
Abstract
“인간이 삶을 영위하기 위하여 행하는 다양한 경제활동은 지표공간상에서 전개된다. 그러나 지구상의 장소에 따라 삶의 형식과 경제활동의 유형은 다르게 나타난다. 어떤 장소에서는 자연에서 직접 농산물을 재배하는것이 경제활동의 주된 모습인가 하면 다른 곳에서는 공장에서 갋비싼 공산품을 생산하는 것이 주된 활동이고 또 다른 곳에서는 소비자를 상대로 물건을 팔거나 서비스를 제공하는것이 주요 경제활동이 되는 곳도 있다. 인간에 의해서 전개되는 생산과 소비 및 유통은 이와 같이 지표상의 특정장소에서 이루어지며 공간을 이용하게 된다. 지표상의 경제활동은 각 지역의 특성을 반영하면서 다양한 형태로 조직되고 전개되기 때문에 지표공간에 조직된 경제활동은 독특한 유형을 나타나게 된다.”
– pp. 21
Table of Contents
제1부 현대경제지리학의 이해
제1장 경제지리학의관점과 성격
제2장 경제공관 변화의 요인과 현대경제지리학
제2부 세계의 자원과 환경
제3장 자원과 환경
제4장 세계자원의 개발과 이용
제3부 경제활동의 입지결정 원리
제5장 전통적 입지이론과 공간조직
제6장 기업조직과 기술변화 및 경제활동입지
제7장 첨단기술산업 입지와 지역
제4부 경제구조재편과 경제공간조직
제8장 산업구조 재평과 경제공간 변화
제9장 생산사서비스의 성장과 공간구조 변화
제5부 신산업지구의 형성과 발달
제10장 산업지구의 형성과 유형 및 역동성
제11장 비서구지역의 신산업지구 : 한국의 사례
제6부 경제의 세계화·지방화와 세계경제공간 조직
제12장 경제의 세계화·지방화와 공간조직의 변화
제13장 한국기업의 해외투자
제14장 지방의 국제화
제7부 지역경제개발정책
제15장 지역산업발전과 지역개발
제16장 친환경적 산업정책과 지속가능한 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