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성재
고려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Eastern Washington University 대학원에서 이학석사,
미국 University of Rhode Island 해양 대학원에서 이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영국 University of Liverpool 지구과학과 방문연구 교수로 지냈고, 현재 고려대학교 지구관경과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김광호
서울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를 졸업하였고 서울대학교 지질과학과 대학원에서 이학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전북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교수를 역임했으며 1998년 6월 별세하였다.
Abstract
고지자기학은 지층에 기록되어 남아 있는 과거 지질시대의 지구자기장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대륙과 해양지각의 과거의 위치에 관한 정량적인 자료를 제공하여 판구조론이라는 지구과학의 혁명적 이론을 확립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오늘날 고지자기학은 해양지각과 대륙의 이동, 충돌, 봉합 과정과 이로 인한 대륙의 성장과 산맥형성의 역사를 규명하고, 대륙 내부에서 일어난 지괴의 상대적 운동을 밝히는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고지자기학은 지구자기장의 기원 연구, 지층의 대비 및 연대측정, 지질구조 연구 등과 같은 지질학적,지구물리학적 연구에 이용될 뿐만 아니라 고고학적 물질의 연대측정, 근원지 규명 등과 같은 고고학적 연구에도 응용되고 있다. 이와같이 지질학, 지구물리학 및 고고학에서 다방면으로 응용되고 있는 고지자기학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이 책은 암석자기학과 고지자기학의 기초이론과 더불어 여러 분야에의 응용에 대하여 기술되었다. 또한 한반도와 동북아시아의 지금까지 발표된 고지자기 자료들을 종합하여 소개하였다.
Table of Contents
제1장 자기장의 기본 기념
제2장 지구의 자기장
제3장 자성광물의 자화이론
제4장 암석 내의 자성광물
제5장 암석의 자화
제6장 암석 채취와 고지자기 측정
제7장 자료의 통계처리와 고지자기 안정도에 대한 야외 조사
제8장 고지자극
제9장 고지자기의 응용
제10장 한반도 및 인접 지역의 고지자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