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영환
연세대학교 철학과 졸업, 동 대학원 수료. 네덜란드 Leyden대학교 철학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연세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Abstract
“20세기의 데카르트” 화이트헤드의 대표작근대 철학의 기본 구조를 비판하면서 ‘유기체 철학’을 주도면밀하게 펼쳐 보인다. 특히 근대 사상의 기초를 이룬 17-18세기 철학자들(데카르트, 뉴턴, 로크, 흄, 칸트 등)을 비판하면서, 기계론적 자연관을 극복하고 인간 중심주의의 틀을 벗어나 환경 세계와 인간 사이의 조화를 꾀하는 새로운 우주론을 정립한다.
Original Volume
Title : Process and Reality: An Essay in Cosmology (edited by David Ray Griffin and Donald W. Sherburne)
Author : Alfred North Whitehead
Publisher : The Free Press
Published Year : 1978
저자(한글) : 알프레드 노스 화이트헤드
원서 언어 : English
저자 약력 : A. N. 화이트헤드(1861-1947)
20세기의 철학을 대표하는 철학자의 한 사람이다.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 트리니티 college에서 수학을 연구하고 동대학의 특별연구원 및 수석강사를 거쳐 런던대학 임페리얼 college 응용수학 및 이론물리학 교수직을 역임한 다음, 63세에 미국으로 건너가 하버드 대학의 명예교수로 은퇴하기까지 철학을 강의하였다.
화이트헤드는 본래 수학자였지만 고전에도 정통했으며 새로운 물리학의 의미를 정확히 인식하고 있었을 뿐만 아니라 전통적인 철학을 오랫동안 깊이 연구해 왔다. 러셀과의 공저 『수학원리』와 같은, 현대 논리학의 성립에 획기적 업적을 남긴, 수학자, 논리학자로서도 높이 평가된다. 특히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원리 등 현대 자연과학의 발전을 계기로 현대 과학설을 철학에 도입시켜 철학사상사에 새로운 국면을 전개한 과학철학자 그리고 유기체의 철학자로서도 높이 평가된다. 화이트헤드는 신중한 사람이었다. 하는 작업을 평생 멈추지 않았던 사상가였으며, 오랫동안 수학의 전문가이기도 하였다. 그의 최초의 철학적 저작인 『과학과 근대세계』는 그가 63세 때, 대표작 『과정과 실재』는 68세에, 그로부터 4년 후에는 『관념의 모험』이 출간되었다. 그 당시 사람들은 사멸된 것으로만 알았던 형이상학이 우주에 관한 상상적 사유라는 형태로 당당하게 불활하고 있는 데 놀랐다. 그의 형이상학 체계는 사물의 유동을 둘러싸고 전개되는 체계라는 형태의 우주론으로서, 어디까지나 개방된 체계였다. 존 듀이도 화이트헤드의 에 대하여 이라는 찬사를 보냈으며, 허버트 리드는 화이트헤드를 라 평하기도 하였다.
Table of Contents
제1부 사변적 구도
1장 사변철학/ 2장 범주의 도식/ 3장 몇 개의 파생적 개념들
제2부 논의와 적용
1장 사실과 형상/ 2장 연장적 연속체/ 3장 자연의 질서/4장 유기체와 환경
5장 로크와 흄/ 6장 데카르트로부터 칸트에게로/ 7장 주관주의적 원리/ 8장 상징적 연관
9장 명제/ 10장 과정
제3부 파악의 이론
1장 느낌의 이론/ 2장 최초의 느낌/ 3장 느낌의 전달/ 4장 명제와 느낌
5장 경험의 보다 고차적인 위상
제4부 연장의 이론
1장 등위적 분할/ 2장 연장적 결합/ 3장 평탄한 장소/ 4장 변형/ 5장 측정
제5부 최종적 해석
1장 이념적으로 대립하는 것들/ 2장 신과 세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