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지향
2023/04/03
452 페이지
27,000 원
아카넷
ISBN 978-89-5733-846-9

윈스턴 처칠, 운명과 함께 걷다

Author(s)

박지향

Biography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서양사학과에서 학사와 석사를 마치고 뉴욕주립대학교(스토니브룩 소재)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뉴욕 프랫대학교와 인하대학교를 거쳐 1992년부터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서양사학과 교수를 역임했으며, 현재 서울대학교 명예교수이다. 도쿄대학교와 케임브리지대학교 연구원으로 활동했고,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장(2011~2015), 한국영국사학회 회장, 국사편찬위원회 위원, 대통령 소속 인문정신특별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했다.
영국사와 서양근현대사 전공으로 민족주의와 제국주의를 집중 연구했으며 지난 10여 년간 영국, 아일랜드, 일본, 한국을 아우르는 비교사적 시각에서 역사를 바라보는 노력을 진행해왔다. 저서로 Profit-Sharing and Industrial Co-partnership in British Industry 1880-1920: Class Conflict or Class Collaboration?(London & New York), 『평등을 넘어 공정으로』, 『제국의 품격』, 『정당의 생명력: 영국 보수당』, 『클래식 영국사』, 『대처 스타일』, 『슬픈 아일랜드』, 『영국적인, 너무나 영국적인』, 『제국주의: 신화와 현실』 등의 저서가 있고, Past and Present, Journal of Social History, Journal of Contemporary History, 《서양사론》, 《역사학보》 등 국내외 저널에 60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Abstract

국제질서를 읽고 시대의 요구에 부응하는 힘,
역사적 통찰력은 지도자의 필수 조건이다

“커다란 러시아 곰과 미국 코끼리 사이에서 오로지 사자만이 가야 할 길을 알고 있었다.” 1945년 스탈린, 루스벨트와 만난 처칠이 훗날 포츠담 회담을 회고하며 한 말이다. 사실 처칠은 자신이 “볼품없는 영국 당나귀”라고 회고했지만, 나중에 당나귀를 사자라고 수정했다. 세계 패권은 영국에서 미국과 소련으로 넘어갔고, 그 역사의 변곡점에서 처칠은 영국이 ‘당나귀’가 된 현실을 인정하면서도, ‘사자’인 것을 포기할 수 없었다. 이때 그가 발휘한 것은 역사적 통찰력이었다.
‘역사적 통찰력’이란 시대를 보는 눈이다. 『윈스턴 처칠, 운명과 함께 걷다』는 격동의 시대 한복판에 있던 처칠의 선택을 통해 리더에게 필요한 역사적 통찰력을 고찰한다. 제1차 세계대전을 겪은 유럽이 전쟁이 두려워 나치에 유화적인 태도를 보일 때, 처칠은 전쟁으로 치닫는 당시 분위기를 정확히 간파하고 히틀러에게 속지 말라면서 전쟁에 대비했다. 물론 국제정세를 읽는 것이 쉽지는 않다. 처칠조차 제국주의가 그 수명을 다하면서 식민지들이 독립하는 상황에서 인도의 독립을 반대했다. 그러나 그는 사상에 경도되지 않았다. 훗날 인도 독립 반대는 자신의 실수임을 인정하고, 제국주의 이후의 세계에 대처한다. 역사적 통찰력을 발휘해 냉전의 도래를 “철의 장막”이라는 말로 예견하고, ‘러시아 곰’과 ‘미국 코끼리’ 사이에서 나토 창설을 지지하는 등 미국과의 연대를 강조한다.
전쟁이냐 유화냐, 제국이냐 독립이냐, 러시아냐 미국이냐 등 처칠에게는 국운이 걸린 질문이 끊임없이 주어졌다. 선택의 순간, 그는 사상보다 통찰의 눈으로 세계의 요구를 정확히 읽으려 하였고, 영국의 국력을 보존할 수 있었다. 신냉전의 한복판에서 미국과 중국이 충돌하는 경계선에 있는 한국의 상황은 처칠이 처했던 영국의 상황과 다르지 않다. 특히 처칠이 미국과의 연대를 강조하게 된 계기 중 하나가 ‘한국전쟁’이었음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리더들에게 역사적 통찰력이 요구되는 순간이다.

설득의 리더십,
지도자는 국민이 1순위여야 한다

“사자의 심장을 가진 것은 우리 국민이었고, 나는 포효하라는 명령을 받은 행운을 누렸을 뿐이다.” 80세 생일 때 제2차 세계대전을 회상하면서 처칠이 한 말이다. 처칠은 국민을 설득하는 것을 과업이 아니라 리더에게 주어진 행운이라 생각했다. “고귀한 인간 가치를 방어하는 데 뛰어난 웅변술을 사용했다”라는 처칠의 노벨문학상 선정 이유처럼, 그가 연설에 적극적이었던 이유 또한 국민을 설득하기 위해서였다.
설득의 리더십은 독단적인 선택보다 강하다. 프랑스가 항복하면서 영국 홀로 나치에 맞서야 할 때, 처칠은 “우리는 대의를 지키는 유일한 챔피언이 되었습니다”라며 국민들을 독려했고, 영국을 승리로 이끌었다. 사회주의자에 대해 “우선은 영국인, 다음이 사회주의자”라며 사상보다 국민을 강조했듯이, 처칠에게 국민은 언제나 1순위였고, 리더십의 원동력이었으며, 역사적 통찰력이 빛을 발한 결정적인 이유였다. 처칠은 포츠담 회담에서의 자신을 당나귀에 비유했지만, 영국인들은 처칠의 설득의 리더십을 통해 사자의 심장을 가지는 행운을 누렸다. 국민이 리더에게 시급히 요구해야 하는 것은 바로 이 ‘설득의 힘’이다.

Table of Contents

머리말

1장 왜 처칠인가

신이 주신 소명
제국과 자유
자유 vs 전체주의
그 어떤 희생을 치르고라도
처칠의 양면성
살아 있는 신화

2장 운명과 함께 걷다: 정치인 처칠

나의 청춘
여명
패배해본 적 없는 나라의 지도자
죄악과 비애의 세상에서
지금 싸우기를 멈출 수는 없다

3장 자비로운 토리 신사: 처칠의 사회개혁

하수구는 관리하지 못하는 제국
첫 번째 발자국
실업보험
그물치기
‘요람에서 무덤까지’의 시작
베버리지와 토리 신사

4장 분열된 섬: 아일랜드 문제

인도보다 더 중요한 땅
피의 희생
그들의 입장에서
마이클 콜린스
아일랜드 자유국 수립의 조건
보리밭을 흔드는 바람

5장 늑대와 소년: 나치의 부상

속지 마라
폭발적이고 재앙적인 분위기
평화의 거점, 국제연맹
뮌헨

6장 지적 광대들: 영국 지식인과 소련

자유주의적 사회주의자, H. G. 웰스
뛰어난 지적 광대, 버나드 쇼
미몽에 빠지지 않았던 문인, 조지 오웰

7장 가장 멋진 순간: 1940년의 처칠

우리는 지도자를 찾았다
성냥이 필요 없는 무기
고통스러운 단호함
브리튼 전투
영어를 동원하여 전투에 내보냈다

8장 문명화의 사명: 인도 지배와 독립

인도에는 주인이 있어야 한다
수도자 모습을 한 미치광이
야만과 광기의 세력으로부터
평생의 아킬레스건

9장 코끼리와 곰 사이: 루스벨트, 스탈린

기나긴 편지
제국의 수상과 공화국의 대통령
프롤레타리아와 보수당을 위해
당나귀가 된 사자

10장 철의 장막과 38선: 영국과 한국전쟁

철의 장막 너머에는
한국은 자유롭고 독립되어야 한다
처칠의 두 번째 정부와 한국전쟁

11장 정치인의 덕목: 처칠의 리더십

영감을 불러일으킨 지도자
과거를 돌아보아야 미래를 내다볼 수 있다
조국과 국민을 위한 정치

윈스턴 처칠 연보
참고문헌
찾아보기

Gallery

도서
검색

Daewoo Foundation Library

대우재단 총서 검색

대우재단에서 연구/출판 지원한 모든 도서를 한 곳에서 검색하실 수 있습니다.
바로가기
2023/04/03
아카넷 출판
신국판 A5 152x225mm
452 페이지
27,000원
ISBN 978-89-5733-846-9

관련 총서

대우재단 대우학술총서 제84권 아우구스티누스 written by 이석우 and published by 민음사 in 1995

아우구스티누스

라틴 기독교를 체계화하고 중세 천년의 사상적 기틀을 마련했을 뿐 아니라 종교개혁의 정신적 원류로도 평가되는 아우구스티누스의 삶과

대우재단 대우학술총서 제34권 프로이트의 문학예술이론 written by 허창운, 민형원, 이유선, 고원 and published by 민음사 in 1997

프로이트의 문학예술이론

정신분석학과 문예학, 정신분석학과 사회이론, 프로이트의 재담이론, 프로이트의 문학이론과 작품 분석 등을 탐구한 연구서.

대우재단 규장각 새로읽는우리고전 제8권 동호문답 written by 정재훈 and published by 아카넷 in 2014

동호문답

이 책은 홍문관의 교리였던 이이가 ‘사가독서제’의 혜택을 받고 동호독서당에 머물며 왕에게 월과로 지어 올린 보고서로, 당대

대우재단 총서 전체 태그

Dtalk 가무희 가족제도 가축 갑골문자 갑골학 강철웅 개인주의 건축학 견문기 경영학 경제 경제학 계몽주의 고고학 고구려 고대 고려 고분 고전 고전주의 고진하목사시인 공학 과거제도 과학 과학기술 관료제도 광물학 교육 교육학 구조주의 국가 국경 국방 국제 그리스 근대 금속공예 금융 기독교 기록물관리 기하학 기호 기후학 김우중의료봉사상 김우중의료인상 김유석교수 꿈과휴 남미 남성 낭만주의 노예제도 노화도 논리학 농업 농학 니체 다문화주의 다산정약용 다산학 대동서 대우고전총서 대우꿈동산 대우재단 대우학술총서 대학 대한제국 데이비드흄 데이터베이스 데카르트 도교 도시 도시공학 독일 동물학 동물행동학 동북아시아 동아시아 동양 동양철학 라틴아메리카 랑케 래모음집 러시아 러시아어 레이저 로마제국 르네상스 리만 마르크스 마리드프랑스 마키아벨리 막스베버 만엽집 맥시멀리즘 메가라학파 메커니즈즈즘 목민심서 몽고 몽고제국 무역 묵자 문광훈 문명 문명의기원 문자 문학 문헌정보 문화 문화유물론 문화인류학 물리주의 물리학 미국 미니멀리즘 미술 미학 민족 민주주의 바나흐 바도모리 박지향 발굴 발해 방언 백제 법인스님 법학 베트남 벽화 보수주의 복지국가 봉건제도 분광학 분자물리학 불교 비교문학 비교언어학 비교종교학 비교학 비트겐슈타인 사회 사회계급 사회과학 사회인류학 사회주의 사회학 산업혁명 산업화 삼국시대 상문명 상주사 생리학 생명공학 생명과학 생물 생물학 생체에너지 생태학 생화학 샤머니즘 서교 서양 서양미술 서양철학 서장원교수 서재필 서학 서학사 세계화 소설 소재공학 소크라테스 소피스트 수산업 수학 스탕달 스페인 슬라브어 시민인문학강좌 시베리아 시베리아개발 시장 시장경제 시카고학파 식문화 식물학 신경 신경과학 신동흔 신라 신약성서 신화 실용주의 실증주의 실학 심리 심리학 아담스미스 아동심리학 아랍 아시아 아우구스티누스 아트선재센터 안보 알렉산드르게르첸 알타이어 암각화 양명학 양자 양자물리학 양자역학 양자학 어원론 언어 언어학 엔트로피 여성 여속사 역사 역사언어학 역사주의 역사학 역학 열역학 영국 영국혁명 영어 예술 완도 외교 외교학 우주과학 우주의기원 원철스님 유교 유기물 유기물질 유기화학 유라시아 유럽 유럽연합 유재건 유전자 윤리 윤리학 윤주옥 은대 음악 음악학 음운학 음파 음향학 응용과학 응용화학 의복문화 의상 의식주 의학 이론 이론물리학 이성 이슬람 이슬람교 이승종교수 인간주의 인공지능 인도 인류학 인문학 인상주의 인식론 인지심리학 일본 일본어 입자물리 자본주의 자서전 자연과학 자유주의 재료공학 전기 전라북도 전쟁 전통 전파 절대주의 정다산 정보통신 정보통신기술 정책 정치학 제1차세계대전 제3세계 제국 제국주의 제주도 조선 조형미술 존스튜어트밀 종교 종교학 종말론 종족제도 주거문화 죽음의춤 중국 중국어 중동 중미 중상주의 중세 중화사상 지구과학 지능 지도 지리 지리학 지명 지방 지방행정 지식의지평 지역 지역발전 지질학 진화론 진화심리학 진화학 천문학 천체물리학 철학 청나라 체계이론 체육 총론 춘추전국시대 충청남도 카시러 칸트 컴퓨터 컴퓨터공학 케인즈 쿤스트할오르후스 크로스토크 토지 토지소유 토텐탄츠 톰삭스 통계학 통신사 파장 포스트모더니즘 포스트모던 포스트휴먼 폴리스 풍속 풍수사상 풍수설 프랑스 프랑스혁명 프래그머티즘 프로이트 플라톤 피카레스크 하이에크 학술연구지원 학술지원사업 한국 한국도자제작기술사 한국어 한국의정원 한글 한자 합성소재 해석학 해양법 핵물리학 행복나눔섬지역센터 행정 향약 헬레니즘 혁명 현대 현상학 형이상학 호남실학 홍대용 화엄사상 화학 화학공학 환경 환경공학 환경과학 후설 훈민정음 희곡 희극 힉스입자 힐버트
Scroll to Top
Scroll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