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트겐슈타인 새로 읽기
/ 대우재단총서 / 비트겐슈타인 새로 읽기
Author(s)
이승종
Biography
연세대 철학과와 같은 과 대학원을 졸업했고, 뉴욕주립대(버팔로) 철학과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캘리포니아 어바인대 철학과 풀브라이트 방문교수와 카니시우스대 철학과 겸임교수를 역임하였다. 현재 연세대 철학과 교수로 있으며 같은 대학의 언더우드 국제대 비교문학과 문화 트랙에서도 강의해왔다. 저서로 『비트겐슈타인이 살아 있다면: 논리철학적 탐구』(문학과지성사, 2002, 문화관광부 선정 우수학술도서), 『크로스오버 하이데거: 분석적 해석학을 향하여』(생각의나무, 2010; 수정증보판 동연, 2021, 연세학술상 수상작), 『동아시아 사유로부터: 시공을 관통하는 철학자들의 대화』(동녘, 2018), 『우리와의 철학적 대화』(김영사, 2020), 『우리 역사의 철학적 쟁점』(소명출판, 2021), 뉴턴 가버 교수와 같이 쓴 Derrida and Wittgenstein (Temple University Press, 1994)과 이를 우리말로 옮긴 『데리다와 비트겐슈타인』(민음사, 1998; 수정증보판 동연, 2010)이 있으며, 연구번역서로 비트겐슈타인의 『철학적 탐구』(아카넷, 2016)가 있다. 페리 논문상, 우수업적 교수상, 우수강의 교수상, 공헌 교수상, 우수연구실적 표창, 최우수논문상(2022 대한국제학술문화제)을 수상하였다.
Abstract
사람이 언어를 사용한다는 자연사(自然史)적 사실에 주목하라!
이승종 교수는 비트겐슈타인이 사람의 자연사를 철학의 문제를 해소하는 데 중요한 참조사항으로 활용하고 있음에, 그중에서도 특히 언어사용에 초점을 맞춘다는 점에 주목한다. 사람이 언어를 사용한다는 자연사적 사실이 비트겐슈타인에게는 철학적 문제의 해소에 가장 중요한 참조사항인 셈이다. 주지하다시피 비트겐슈타인은 언어의 의미를 쓰임의 관점에서 해명했다. 이승종 교수에 의하면 언어의 쓰임은 소통과 이해의 행위를 동반하며 객관적 3인칭이던 자연과 타자는 이 과정에서 2인칭으로 다가와 1인칭인 나와 엮이게 된다. 사람의 자연적 현상을 통찰(通察)하고 기술(記述)함과 함께 언어사용을 매개로 한 2인칭적 소통 행위의 문맥 속에서 파악하는 것이 그가 이 책에서 표방하는 ‘사람의 얼굴을 한 자연주의’가 새로이 부각시키고자 하는 비트겐슈타인 철학의 핵심이다. 즉 사람의 삶의 형식과 자연사가 각각 형식과 내용 면에서 사람의 언어사용의 최종적 의미 지평을 이룬다는 것이다. 사용을 통해 드러나는 언어의 의미를 사람의 자연사의 원초적 사실로 이해하는 이승종 교수의 자연주의적 해석은 비트겐슈타인을 분석철학, 특히 일상 언어 철학의 관점에서 독해해온 기존의 통념을 넘어선다.
사람의 삶의 형식과 자연사에 대한 통찰(通察)과 기술(記述)을 중심으로 재구성
응용, 논쟁과 토론의 다양한 방식으로 담금질해낸 ‘사람의 얼굴을 한 자연주의’
전통적 의미의 논문이나 책을 서술의 형식으로 선택하지 않았을뿐더러 자신의 사유를 그러한 틀에 얽매어놓는 것을 거부했던 비트겐슈타인의 스타일을 감안해, 이승종 교수는 그에 대한 해석이라는 일률적 방식을 고집하기보다 이를 다른 학자들과의 지상 논쟁(2장 5절, 3장 4절, 5장, 11장)과 토론(IV부)에 부쳐보기도 하고, 재구성(4장)이나 응용(7, 8장)을 시도하는 등 다양한 방식을 취하고 있다.
이 책의 I부는 비트겐슈타인의 철학에 대한 자연주의적 해석의 기틀을 잡아보는 것으로 시작한다.
1장 “자연주의와 해체주의”에서는 비트겐슈타인의 철학에 얽혀 있는 자연주의와 해체주의라는 두 갈래 흐름을 찾아낸다. 2장 “사람의 얼굴을 한 자연주의”에서는 사람의 삶의 형식에서 보았을 때 자연의 일반적 사실들에 얽혀 있는 사람의 행위가 비트겐슈타인이 추구하는 확실성의 최종 지평이 됨을 골자로 하는 사람의 얼굴을 한 자연주의를 제시한다. 3장 “삶의 형식”에서는 비트겐슈타인의 삶의 형식 개념에 관한 기존의 해석들을 다섯 개의 유형으로 정리하여 고찰한 다음, 이 해석들의 문제점과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적 해석으로 자연주의적 해석을 모색한다. 4장 “종교철학”에서는 비트겐슈타인의 종교관을 자연주의적 관점에서 해석한다. 5장 “토대와 자연사”에서는 비트겐슈타인의 토대와 자연사 개념을 주제로 샤인(Ralph Shain), 하상필, 김영건 교수와의 학술논쟁을 벌인다.
II부에서는 자연주의적 해석을 비트겐슈타인의 세부 주제에 적용시켜봄으로써 저 해석을 확장하고 검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6장 “수학의 인류학”에서는 비트겐슈타인의 수학철학에 대한 더밋과 스트라우드(Barry Stroud)의 해석을 비판하고, 수학을 인류학적 현상이라고 본 비트겐슈타인의 언명에 주목해 수학의 인류학이라는 새로운 시각을 모색한다. 7장 “수학철학의 주제들”에서는 비트겐슈타인의 수학철학을 증명, 집합, 논리주의, 괴델 정리 등 개별 주제에 독립적으로 적용시켜보는 작업을 수행한다. 8장 “해석과 언어게임”에서는 언어게임에 기반한 비트겐슈타인의 언어철학을 해석에 기반한 콰인(Willard van Orman Quine), 퍼트남(Hilary Putnam), 데이빗슨(Donald Davidson), 굿만(Nelson Goodman), 크립키(Saul Kripke) 등 미국의 분석철학자들의 시각과 비판적으로 대비시켜본다.
III부에서는 『비트겐슈타인이 살아 있다면』에서 개진한 모순론에 대한 요약과 후속 논의를 선보인다.
9장 “모순론”에서 『비트겐슈타인이 살아 있다면』의 주요 쟁점들을 후속 논의를 위해 한 편의 논문 형태로 새로이 정리한다. 10장 “모순과 타당성”에서는 모순에 대한 비트겐슈타인의 언명에서 논증에 대한 그 나름의 타당성 기준이 될 만한 것을 찾아내어 이를 널리 알려진 타르스키(Alfred Tarski)의 기준과 비교해본다. 11장 “모순 논쟁”에서는 『비트겐슈타인이 살아 있다면』에 대한 박정일, 이희열 교수의 비판과 이에 대한 답론을 선보인다.
끝으로 IV부에서는 이 책의 몇몇 장에 대한 초고를 학술 모임에서 발표해 주고받은 논평, 답론, 토론을 주제별로 범주화해서 실었다. 그 내용은 칸트와 비트겐슈타인, 의미와 진리, 삶과 자연 등 이 책의 중심주제들을 망라하고 있는데, 독자들은 논평과 답론, 토론을 통해 동시대 학자들과의 학술 교류 현황을 직접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이승종 교수는 비트겐슈타인이 사람의 자연사를 철학의 문제를 해소하는 데 중요한 참조사항으로 활용하고 있음에, 그중에서도 특히 언어사용에 초점을 맞춘다는 점에 주목한다. 사람이 언어를 사용한다는 자연사적 사실이 비트겐슈타인에게는 철학적 문제의 해소에 가장 중요한 참조사항인 셈이다. 주지하다시피 비트겐슈타인은 언어의 의미를 쓰임의 관점에서 해명했다. 이승종 교수에 의하면 언어의 쓰임은 소통과 이해의 행위를 동반하며 객관적 3인칭이던 자연과 타자는 이 과정에서 2인칭으로 다가와 1인칭인 나와 엮이게 된다. 사람의 자연적 현상을 통찰(通察)하고 기술(記述)함과 함께 언어사용을 매개로 한 2인칭적 소통 행위의 문맥 속에서 파악하는 것이 그가 이 책에서 표방하는 ‘사람의 얼굴을 한 자연주의’가 새로이 부각시키고자 하는 비트겐슈타인 철학의 핵심이다. 즉 사람의 삶의 형식과 자연사가 각각 형식과 내용 면에서 사람의 언어사용의 최종적 의미 지평을 이룬다는 것이다. 사용을 통해 드러나는 언어의 의미를 사람의 자연사의 원초적 사실로 이해하는 이승종 교수의 자연주의적 해석은 비트겐슈타인을 분석철학, 특히 일상 언어 철학의 관점에서 독해해온 기존의 통념을 넘어선다.
사람의 삶의 형식과 자연사에 대한 통찰(通察)과 기술(記述)을 중심으로 재구성
응용, 논쟁과 토론의 다양한 방식으로 담금질해낸 ‘사람의 얼굴을 한 자연주의’
전통적 의미의 논문이나 책을 서술의 형식으로 선택하지 않았을뿐더러 자신의 사유를 그러한 틀에 얽매어놓는 것을 거부했던 비트겐슈타인의 스타일을 감안해, 이승종 교수는 그에 대한 해석이라는 일률적 방식을 고집하기보다 이를 다른 학자들과의 지상 논쟁(2장 5절, 3장 4절, 5장, 11장)과 토론(IV부)에 부쳐보기도 하고, 재구성(4장)이나 응용(7, 8장)을 시도하는 등 다양한 방식을 취하고 있다.
이 책의 I부는 비트겐슈타인의 철학에 대한 자연주의적 해석의 기틀을 잡아보는 것으로 시작한다.
1장 “자연주의와 해체주의”에서는 비트겐슈타인의 철학에 얽혀 있는 자연주의와 해체주의라는 두 갈래 흐름을 찾아낸다. 2장 “사람의 얼굴을 한 자연주의”에서는 사람의 삶의 형식에서 보았을 때 자연의 일반적 사실들에 얽혀 있는 사람의 행위가 비트겐슈타인이 추구하는 확실성의 최종 지평이 됨을 골자로 하는 사람의 얼굴을 한 자연주의를 제시한다. 3장 “삶의 형식”에서는 비트겐슈타인의 삶의 형식 개념에 관한 기존의 해석들을 다섯 개의 유형으로 정리하여 고찰한 다음, 이 해석들의 문제점과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적 해석으로 자연주의적 해석을 모색한다. 4장 “종교철학”에서는 비트겐슈타인의 종교관을 자연주의적 관점에서 해석한다. 5장 “토대와 자연사”에서는 비트겐슈타인의 토대와 자연사 개념을 주제로 샤인(Ralph Shain), 하상필, 김영건 교수와의 학술논쟁을 벌인다.
II부에서는 자연주의적 해석을 비트겐슈타인의 세부 주제에 적용시켜봄으로써 저 해석을 확장하고 검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6장 “수학의 인류학”에서는 비트겐슈타인의 수학철학에 대한 더밋과 스트라우드(Barry Stroud)의 해석을 비판하고, 수학을 인류학적 현상이라고 본 비트겐슈타인의 언명에 주목해 수학의 인류학이라는 새로운 시각을 모색한다. 7장 “수학철학의 주제들”에서는 비트겐슈타인의 수학철학을 증명, 집합, 논리주의, 괴델 정리 등 개별 주제에 독립적으로 적용시켜보는 작업을 수행한다. 8장 “해석과 언어게임”에서는 언어게임에 기반한 비트겐슈타인의 언어철학을 해석에 기반한 콰인(Willard van Orman Quine), 퍼트남(Hilary Putnam), 데이빗슨(Donald Davidson), 굿만(Nelson Goodman), 크립키(Saul Kripke) 등 미국의 분석철학자들의 시각과 비판적으로 대비시켜본다.
III부에서는 『비트겐슈타인이 살아 있다면』에서 개진한 모순론에 대한 요약과 후속 논의를 선보인다.
9장 “모순론”에서 『비트겐슈타인이 살아 있다면』의 주요 쟁점들을 후속 논의를 위해 한 편의 논문 형태로 새로이 정리한다. 10장 “모순과 타당성”에서는 모순에 대한 비트겐슈타인의 언명에서 논증에 대한 그 나름의 타당성 기준이 될 만한 것을 찾아내어 이를 널리 알려진 타르스키(Alfred Tarski)의 기준과 비교해본다. 11장 “모순 논쟁”에서는 『비트겐슈타인이 살아 있다면』에 대한 박정일, 이희열 교수의 비판과 이에 대한 답론을 선보인다.
끝으로 IV부에서는 이 책의 몇몇 장에 대한 초고를 학술 모임에서 발표해 주고받은 논평, 답론, 토론을 주제별로 범주화해서 실었다. 그 내용은 칸트와 비트겐슈타인, 의미와 진리, 삶과 자연 등 이 책의 중심주제들을 망라하고 있는데, 독자들은 논평과 답론, 토론을 통해 동시대 학자들과의 학술 교류 현황을 직접 느낄 수 있을 것이다.
Table of Contents
책머리에
책의 얼개
I부 자연주의
1장 자연주의와 해체주의
1. 자연주의와 해체주의 | 2. 자연주의와 해체주의는 어떤 전통에 반대하는가? | 3. 자연주의와 해체주의는 어떤 문제를 제기하는가? | 4. 자연사와 자연수 | 5. 일치와 불일치 | 6. 칸트로부터
2장 사람의 얼굴을 한 자연주의
1. 철학에서의 비판적 전통 | 2. 의미의 문제와 진리의 문제 | 3. 지식론의 이율배반 | 4. 비판철학의 전통 | 5. 보론 I: 김영건 교수의 비판에 대한 답론 | 6. 보론 II: 콰인의 자연주의와 비트겐슈타인의 자연주의 | 7. 보론 III: 비트겐슈타인의 현상학
3장 삶의 형식
1. 문맥 속의 삶의 형식 | 2. 기존 해석들에 대한 고찰 | 3. 자연주의적 해석 | 4. 보론: 정대현 교수의 비트겐슈타인 해석
4장 종교철학
1. 유신론과 무신론 | 2. 실재론과 반실재론 | 3. 외재론과 내재론 | 4. 상대주의와 절대주의 | 5. 개인주의와 공동체주의 | 6. 이율배반의 변증법 | 7. 자연주의적 종교관 | 8. 종교의 자연화
5장 토대와 자연사 논쟁
1. 데리다와 비트겐슈타인 (랄프 샤인) | 2. 후기 비트겐슈타인의 치료 철학 (하상필) | 3. 답론: 토대와 자연사 | 4. 보론: 베이커와 해커의 비트겐슈타인 해석
II부 수학과 언어
6장 수학의 인류학
1. 문제의 제기 | 2. 플라톤주의 | 3. 더밋의 규약주의적 해석 | 4. 스트라우드와 수학의 인류학 | 5. 수학적 필연성과 강제력 | 6. 수학의 동적 인류학
7장 수학철학의 주제들
1. 증명 | 2. 집합 | 3. 논리주의 | 4. 수학은 문법인가? | 5. 괴델/비트겐슈타인 논쟁
8장 해석과 언어게임
1. 언어를 보는 두 관점 | 2. 해석의 불확정성 | 3. 극단적 일반화 | 4. 경험주의 비판 | 5. 언어게임 | 6. 문법 | 7. 이해의 양식 | 8. 보론: 홉킨스의 데이빗슨적 모델
III부 모순
9장 모순론
1. 모순의 물음 | 2. 전기의 모순론 | 3. 중기의 모순론 | 4. 후기의 모순론 | 5. 보론: 다시 찾은 케임브리지 1939
10장 모순과 타당성
1. 1913년 6월 15일 | 2. 비트겐슈타인 vs. 타르스키 | 3. 논리학의 방법 | 4. 타당성 증명 | 5. 상호독립성 증명 | 6. 비트겐슈타인과 타당성 | 7. The Summing Up
11장 모순 논쟁
1. 박정일 교수의 서평 논문 「비트겐슈타인이 살아 있다면?」 요약 | 2. 답론 | 3. 비트겐슈타인의 색깔 배타성 문제에 관한 연구 (이희열) | 4. 답론 I | 5. 답론 II
IV부 토론
12장 칸트와 비트겐슈타인
1. 칸트학회에서의 토론 | 2. 비트겐슈타인은 자연주의자인가? (김영건)
13장 의미와 진리
1. 이영철 교수의 논평 「의미와 진리, 그리고 비트겐슈타인과 데이빗슨」 요약 | 2. 답론 | 3. 분석철학회에서의 토론
14장 삶과 자연
15장 자연주의적 수학철학
참고문헌
찾아보기
인명
주제
책의 얼개
I부 자연주의
1장 자연주의와 해체주의
1. 자연주의와 해체주의 | 2. 자연주의와 해체주의는 어떤 전통에 반대하는가? | 3. 자연주의와 해체주의는 어떤 문제를 제기하는가? | 4. 자연사와 자연수 | 5. 일치와 불일치 | 6. 칸트로부터
2장 사람의 얼굴을 한 자연주의
1. 철학에서의 비판적 전통 | 2. 의미의 문제와 진리의 문제 | 3. 지식론의 이율배반 | 4. 비판철학의 전통 | 5. 보론 I: 김영건 교수의 비판에 대한 답론 | 6. 보론 II: 콰인의 자연주의와 비트겐슈타인의 자연주의 | 7. 보론 III: 비트겐슈타인의 현상학
3장 삶의 형식
1. 문맥 속의 삶의 형식 | 2. 기존 해석들에 대한 고찰 | 3. 자연주의적 해석 | 4. 보론: 정대현 교수의 비트겐슈타인 해석
4장 종교철학
1. 유신론과 무신론 | 2. 실재론과 반실재론 | 3. 외재론과 내재론 | 4. 상대주의와 절대주의 | 5. 개인주의와 공동체주의 | 6. 이율배반의 변증법 | 7. 자연주의적 종교관 | 8. 종교의 자연화
5장 토대와 자연사 논쟁
1. 데리다와 비트겐슈타인 (랄프 샤인) | 2. 후기 비트겐슈타인의 치료 철학 (하상필) | 3. 답론: 토대와 자연사 | 4. 보론: 베이커와 해커의 비트겐슈타인 해석
II부 수학과 언어
6장 수학의 인류학
1. 문제의 제기 | 2. 플라톤주의 | 3. 더밋의 규약주의적 해석 | 4. 스트라우드와 수학의 인류학 | 5. 수학적 필연성과 강제력 | 6. 수학의 동적 인류학
7장 수학철학의 주제들
1. 증명 | 2. 집합 | 3. 논리주의 | 4. 수학은 문법인가? | 5. 괴델/비트겐슈타인 논쟁
8장 해석과 언어게임
1. 언어를 보는 두 관점 | 2. 해석의 불확정성 | 3. 극단적 일반화 | 4. 경험주의 비판 | 5. 언어게임 | 6. 문법 | 7. 이해의 양식 | 8. 보론: 홉킨스의 데이빗슨적 모델
III부 모순
9장 모순론
1. 모순의 물음 | 2. 전기의 모순론 | 3. 중기의 모순론 | 4. 후기의 모순론 | 5. 보론: 다시 찾은 케임브리지 1939
10장 모순과 타당성
1. 1913년 6월 15일 | 2. 비트겐슈타인 vs. 타르스키 | 3. 논리학의 방법 | 4. 타당성 증명 | 5. 상호독립성 증명 | 6. 비트겐슈타인과 타당성 | 7. The Summing Up
11장 모순 논쟁
1. 박정일 교수의 서평 논문 「비트겐슈타인이 살아 있다면?」 요약 | 2. 답론 | 3. 비트겐슈타인의 색깔 배타성 문제에 관한 연구 (이희열) | 4. 답론 I | 5. 답론 II
IV부 토론
12장 칸트와 비트겐슈타인
1. 칸트학회에서의 토론 | 2. 비트겐슈타인은 자연주의자인가? (김영건)
13장 의미와 진리
1. 이영철 교수의 논평 「의미와 진리, 그리고 비트겐슈타인과 데이빗슨」 요약 | 2. 답론 | 3. 분석철학회에서의 토론
14장 삶과 자연
15장 자연주의적 수학철학
참고문헌
찾아보기
인명
주제
대우재단 총서 전체 태그
Dtalk
가무희
가족제도
가축
갈릴레오
갑골문자
갑골학
개인주의
건축학
견문기
경영학
경제
경제학
계량경제학
계몽주의
고고학
고구려
고대
고려
고분
고전
고전주의
고진하목사시인
공학
과거제도
과학
과학기술
과학혁명
관료제도
광물학
교육
교육학
구조주의
국가
국경
국방
국제
그리스
근대
금속공예
금융
기독교
기록물관리
기하학
기호
기후변화
기후학
김우중의료봉사상
김우중의료인상
김유석교수
꿈과휴
남미
남성
낭만주의
노예제도
논리학
농업
농학
뇌
뉴튼
니체
다문화주의
다산정약용
다산학
대기
대동서
대우고전총서
대우꿈동산
대우재단
대우학술총서
대학
대한제국
데이비드흄
데이터베이스
데카르트
도교
도시
도시공학
독일
동력
동물학
동물행동학
동북아시아
동아시아
동양
동양철학
라틴아메리카
랑케
러시아
러시아어
레이저
로마제국
르네상스
리만
마르크스
마키아벨리
막스베버
만엽집
맥시멀리즘
메가라학파
메커니즈즈즘
목민심서
몽고
몽고제국
무역
묵자
문명
문명의기원
문자
문학
문헌정보
문화
문화유물론
문화인류학
물리주의
물리학
미국
미니멀리즘
미술
미학
민족
민주주의
바나흐
바도모리
발굴
발해
방언
백제
법인스님
법학
베이컨
베트남
벽화
보수주의
복지국가
봉건제도
분광학
분자물리학
불교
비교문학
비교언어학
비교종교학
비교학
비트겐슈타인
사회
사회계급
사회과학
사회인류학
사회주의
사회학
산업혁명
산업화
삼국시대
상문명
상주사
생리학
생명공학
생명과학
생물
생물학
생체에너지
생체화학
생태학
생화학
샤머니즘
서교
서양
서양미술
서양철학
서장원교수
서재필
서학
서학사
세계화
소설
소재공학
소크라테스
수산업
수학
스탕달
스페인
슬라브어
시베리아
시베리아개발
시장
시장경제
시카고학파
식문화
식물학
신경
신경과학
신동흔
신라
신약성서
신화
실용주의
실증주의
실학
심리
심리학
아담스미스
아동심리학
아랍
아시아
아우구스티누스
아트선재센터
안보
알타이어
암각화
양명학
양자
양자물리학
양자역학
양자학
어원론
언어
언어학
엔트로피
여성
여속사
역사
역사언어학
역사주의
역사학
역학
열역학
영국
영국혁명
영양학
영어
예술
온난화
외교
외교학
우주과학
우주의기원
운동
원철스님
유교
유기물
유기물질
유기화학
유라시아
유럽
유럽연합
유재건
유전자
윤리
윤리학
은대
음악
음악학
음운학
음파
음향학
응용과학
응용화학
의복문화
의상
의식주
의학
이론
이론물리학
이성
이슬람
이슬람교
이승종교수
인간주의
인공지능
인도
인류학
인문학
인상주의
인식론
인지심리학
일본
일본어
입자물리
자기공명
자본주의
자연과학
자유주의
재료공학
전기
전라북도
전쟁
전통
전파
절대주의
정다산
정보통신
정보통신기술
정책
정치학
제1차세계대전
제3세계
제국
제국주의
제주도
조선
조형미술
존스튜어트밀
종교
종교학
종말론
종족제도
주거문화
죽음의춤
중국
중국어
중동
중미
중상주의
중세
중화사상
지구과학
지능
지도
지리
지리학
지명
지방
지방행정
지식의지평
지역
지역발전
지질학
진화론
진화심리학
진화학
천문학
천체물리학
철학
청나라
체계이론
체육
총론
춘추전국시대
충청남도
카시러
칸트
컴퓨터
컴퓨터공학
케인즈
쿤스트할오르후스
토지
토지소유
토텐탄츠
톰삭스
통계학
통신사
파장
포스트모더니즘
포스트모던
포스트휴먼
폴리스
풍속
풍수사상
풍수설
프랑스
프랑스혁명
프래그머티즘
프로이트
플라즈마
플라톤
피카레스크
하이에크
학술연구지원
한국
한국도자제작기술사
한국어
한국의정원
한글
한자
합성소재
해석학
해양법
핵물리학
핵융합
행정
향약
헬레니즘
혁명
현대
현상학
형이상학
호남실학
홍대용
화엄사상
화학
화학공학
환경
환경공학
환경과학
후설
훈민정음
희곡
희극
힉스입자
힐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