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철웅
2021/05/20
628 페이지
35,000 원
아카넷
ISBN 978-89-5733-730-1 94910

명· 청 시대 호광 소수민족 지역의 토사와 국가 권력, 1368~1735

Author(s)

정철웅

Biography

숭실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프랑스 스트라스부르(Strasbourg) II 대학과 사회과학고등연구원에서 각각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역사와 환경―중국 명청시대의 경우』(책세상, 2002), 『자연의 저주―명청시대 장강 중류 지역의 개발과 환경』(책세상, 2012) 등의 저서와 『18세기 중국의 관료제도와 자연재해』(민음사, 1995), 『코끼리의 후퇴―3000년에 걸친 장대한 중국 환경사』(사계절, 2011), 『중국적 문화변용의 한 예―18세기 귀주성』(세창출판사, 2015) 등의 역서가 있다. 명청 시대 장강 중류 지역 일대의 사회경제사와 환경사 분야의 논문을 지속적으로 발표해 왔으며, 지금은 명청 시대 서남 지역의 소수민족에 대한 역사를 공부하고 있다. 현재 명지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Abstract

또 다른 중국인 이야기: 명·청 시대 국가 권력과 호광 지역의 소수민족
요사이 우리 중국학계의 연구 수준이 다른 나라와 비교해서 손색이 없을 정도로 높아졌다는 언급이 종종 등장하곤 한다. 학문 분야나 연구 경향, 관심도 등에 따라 약간의 편차는 있을지언정, 대체로 중국사 연구가 이전과 비교할 때 매우 해박하고 정치한 수준에 이르렀다는 말은 그리 과장이 아닐 것이다. 그러나 연구자의 손길이 아직 미치지 않은 분야는 여전히 존재하며, 중국의 소수민족에 관한 연구야말로 그러한 대표적인 분야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이 책의 가장 큰 목적은 이제 막 걸음마 단계인 국내의 중국 소수민족 연구에 대한 관심을 환기시키는 것이다.

한족(漢族)의 그늘에 가려진 중국 소수민족의 역사는 그 자체로서 대단히 흥미로운 주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즉 중국의 소수민족이 지닌 그 엄연한 존재감에도 불구하고 역사 무대에서 전혀 나름의 역할을 하지 못했다는 매우 부정적인 양상으로만 묘사되어 왔다. 정말 소수민족의 존재는 ‘명함도 내밀지 못할 정도로’ 미미했던 것일까? 일단 그들이 자신들만의 국가를 끝내 세우지 못했으며, 상당수가 한족에 동화되었다는 점에서는 그러하다. 하지만 중국의 소수민족의 역사는 역동적이었다. 소수민족에 관한 연구가 지니는 의의가 바로 소수민족 자체가 지닌 이 역동적 역사 때문이다. 그들의 경제 제도, 가족 관계, 통치 형태, 생활과 풍속, 언어, 한족 상인이나 일반 한족들과의 접촉 과정과 그 구체적 양상, 사회 변화 등 이루 다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다양한 양상들이 소수민족 자체의 역사 속에 들어 있다.

이 책에서는 호광(湖廣) 지역 소수민족의 역사를 다루고 있는데, 호광 지역 소수민족의 역사적 의의는 제법 분명하다고 진단하면서, 명(明) 왕조 성립부터 청 옹정(雍正) 연간(1723~1735)에 시행된 개토귀류(改土歸流) 직전 시기까지 호광 토사(土司)와 국가 사이에 전개된 다양한 역학 관계와 함께 토사가 지배한 명·청 시대 소수민족 사회가 다른 지역이나 한족 사회 못지않게 매우 다의적 성격을 지니고 작동했다는 사실을 보여 주기 위한 것이 이 책의 목표라고 밝히고 있다. 이런 목적을 위해 제1장에서는 그 기초 작업의 하나로 호광 지역의 물리적 자연 환경과 호광 토사의 구성을, 제2장에서는 소수민족 사회에 대한 명 왕조의 대표적인 통치 방법은 토사제도(土司制度)라는 일반론 대신에, 위소제도(衛所制度)와 이갑제(里甲制)의 운용과 실시 상황을 언급함으로써 호광 소수민족 지역에서 시행된 국가 권력의 다양성을 살폈다. 이어 제3장에서는 명대에 발생한 소수민족 반란을 단순히 소수민족과 국가 사이의 대립으로 보는 시각에서 벗어나 소수민족 자체 내에서도 끊임없는 이합집산이 발생했던 양상과 반란의 이면에 등장한 소수민족 사회의 역동성을 묘사했다. 마지막 제4장에서는 호광 토사 중 가장 강력했다고 알려진 용미토사(容美土司)의 성장과 몰락을 통해 개토귀류 실시 이전 청초(淸初) 소수민족 정책의 특징을 조명했는데, 이는 명대 토사제도 운용과의 암묵적인 비교뿐 아니라 청대 개토귀류 시행의 전제 조건을 살피기 위한 것이기도 하다고 설명하고 있다.

근래 중국의 변방 지역에 대한 연구가 상당히 진척됐지만, 또 다른 성격을 지닌 내지(內地)의 변방 지역에 대한 연구 성과는 매우 드문 상황이다. 따라서 소수민족 연구는 무엇보다 현재 우리나라 중국 사학계의 연구 영역을 넓힐 수 있는 분야이다. 하지만 이런 외형적 문제보다 좀 더 중요한 효과는 역사 시기 중국 제국이 전개한 팽창 정책의 의의를 다각도로 분석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는 조공이라는 외교정책, 무력 시위와 타협에 기반한 북방 민족과의 관계와는 또 다른 성격을 지니고 있다는 점에서, 동북공정과 같은 현재 중국의 정책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단서를 제공해 줄 수도 있을 것이다.

Table of Contents

서론
연구 의의
소수민족에 대한 시각
연구 내용

제1장 이질적인 세계: 明淸時代 湖廣 소수민족 지역의 자연 환경과 土司 구성
1. 湖廣 소수민족 지역의 자연 환경과 경제 활동
1) 호광토사 지역의 자연 지리
2) 기후와 풍토병
3) 호광 소수민족 지역의 경제 활동
2. 明淸時代 湖廣 지역의 소수민족
1) 소수민족에 대한 인식
2) 명청시대 호광 지역의 苗族
3) 명청시대 호광 지역의 土家族
3. 明代 湖廣土司의 구성
1) 土司와 土官
2) 토사의 통치 체제
3) 明代 施州衛 관할 토사
4) 明代 永順과 保靖 토사

제2장 明~淸初 湖廣土司 지역의 국가 권력: 衛所와 里甲制
1. 衛所와 土司
1) 明初 호광토사 지역의 위소 설치
洪武 초기의 위소 설치 배경
施州衛 설치 배경
大田軍民千戶所와 鎭溪軍民千戶所의 설치 배경
2) 호광 지역 위소의 築城과 屯田
築城과 위소의 구성
위소의 屯田
3) 위소 軍官
위소의 토착 軍官
위소의 隘官
2. 衛所와 소수민족 사회
1) 위소의 賦稅
慈利縣의 邊糧
위소와 隘糧
2) 위소와 토사 사이의 갈등
3) 위소의 병력과 軍餉
3. 明末淸初 湖廣 소수민족 지역과 里甲制
1) 명대 호광 지역의 이갑제 실시 상황
2) 명말청초 麻陽縣의 이갑제 상황
마양현의 編里와 稅役
마양현의 이갑제 운용과 朋充
마양현 均平里甲 논쟁의 결말
3) 이갑제와 명대 호광 소수민족 사회
부역의 징수
소수민족 지역의 행정 체제와 이갑제

제3장 다층 사회의 모순과 충돌: 明代 湖廣 지역의 소수민족 반란
1. 명대 토사 세력의 성장
1) 토사에 대한 통제력의 약화
2) 토사의 물질적 토대: 토사 지역의 木材
3) 소수민족 지역의 목재 생산과 明 왕조
2. 明 중엽 湖廣 지역 소수민족의 반란 양상
1) 明 왕조의 소수민족 대책과 반란 발생의 전제
2) 弘治~正德 연간(1488~1521) 호광 지역 소수민족의 반란
3) 嘉靖 연간 湘西 일대 隴母叟·隴求兒·隴許保의 반란
嘉靖 15~19년(1536~1540): 반란의 시작
嘉靖 21년(1542) 隴求兒의 반란
嘉靖 24년(1545) 隴許保의 반란
3. 湖廣 소수민족 지역의 반란과 明 왕조
1) 다층 사회의 형성
土官과 土兵
衛所 군인과 土官
苗人과 漢人
2) 明 왕조의 방어 대책과 소수민족 사회
巡檢司와 弓兵의 설치
營哨의 설치
蔡復一의 邊牆 築造
3) 군사 동원과 통제의 문제: 湖廣과 貴州
湖廣과 貴州의 행정 관할
三省 관할의 總督 설치와 兼制
군사적 협조 부재와 위무책의 등장
위무책에 대한 비판: 蕭端蒙과 張岳
4) 兵餉 공급의 문제
川·湖·貴 三省의 식량 수급 정황
湖廣省의 軍餉 부담과 수송 문제
嘉靖 연간 이후 식량 수급의 변화

제4장 明末淸初 湖廣 지역 소수민족 세력의 저항과 몰락
1. 明末~淸初 湖北 소수민족 지역의 토지 분쟁
1) 명말 容美土司의 세력 확장
2) 明代~淸初 容美土司 일대 토지 분쟁 양상
명대 連天關과 石柱關 일대 토지 분쟁
연천관·석주관 일대 토지 분쟁과 淸朝의 대응
巴東縣 知縣 齊祖望의 주장
3) 連天關 일대 토지 분쟁의 결말
鈕正己의 「退贖民屯案略」의 의미
「漢土疆界碑」에 등장하는 토지 분쟁 해결 양상
2. 淸 康熙 42년(1703) 湘西 지역의 紅苗 반란
1) 康熙 42년 이전 鎭筸 일대의 홍묘 반란
명대 홍묘 반란
강희 연간 초·중엽의 홍묘 반란
2) 康熙 42년 紅苗 반란의 양상과 진압
진압 작전
事後對策(1): 토벌과 위무
事後對策(2): 軍制 개편과 錢糧 징수
3) 鄂海의 『撫苗錄』에 등장하는 紅苗 대책
乾州 일대 군사 시설의 수리
紅苗의 歸誠
3. 改土歸流 前夜의 容美土司와 淸 王朝
1) 明末淸初 용미토사
明末 용미토사의 상황
容美宣慰使 田玄과 田霈霖
淸初 호광토사의 歸附 상황
2) 容美宣慰使 田舜年과 康熙帝
용미선위사 전순년
전순년 사건
3) 雍正 연간의 田旻如와 容美土司
최후의 容美宣慰使 田旻如
容美土司의 최후 저항
改土歸流를 향해
행정 분할의 구상

결론

참고문헌
찾아보기

Gallery

도서
검색

Daewoo Foundation Library

대우재단 총서 검색

대우재단에서 연구/출판 지원한 모든 도서를 한 곳에서 검색하실 수 있습니다.
바로가기
2021/05/20
아카넷 출판
신국판 A5 152x225mm
628 페이지
35,000원
ISBN 978-89-5733-730-1 94910

관련 총서

대우재단 대우학술총서 제5권 고대한어음운학개요 written by 최영애 and published by 민음사 in 1985

고대한어음운학개요

중국 고대어 연구에 필수불가결할 뿐 아니라 중국어 각 방면에 자료로 이용될 수 있으며 중국어와 밀접한 관련이

대우재단 대우학술총서 제25권 일반언어학이론 written by 권재일 and published by 민음사 in 1989

일반언어학이론

음운 체계와 문법 체계의 규정과 아울러 음운론적인 현상과 문법론적인 현상의 상호관계 및 언어학과 시학의 관계를 논구하였다.

대우재단 대우학술총서 제474권 이슬람 사상의 형성과 발전 written by 김정위, 김영경, 이희수, 손주영 and published by 아카넷 in 2000

이슬람 사상의 형성과 발전

이슬람의 주류파인 순니뿐 아니라 거기에서 파생된 카와리지, 쉬아 같은 각 종파의 역사적 기원과 발전과정, 그들의 주요

대우재단 대우학술총서 제9권 이성·진리·역사 written by 김효명 and published by 민음사 in 1987

이성·진리·역사

현대 영미 철학을 주도하고 있는 대표적 철학자 힐러리 퍼트넘의 저서 “이성. 진리. 역사”는 수학, 물리학, 언어학

대우재단 총서 전체 태그

Dtalk 가무희 가족제도 가축 갑골문자 갑골학 강철웅 개인주의 건축학 견문기 경영학 경제 경제학 계몽주의 고고학 고구려 고대 고려 고분 고전 고전주의 고진하목사시인 공학 과학 과학기술 관료제도 광물학 교육학 구조주의 국가 국방 국제 규장각대우 그리스 근대 금속공예 금융 기독교 기록물관리 기하학 기호 기후학 김백철 김우중의료봉사상 김우중의료인상 김유석교수 꿈과휴 남미 남성 낭만주의 노예제도 노화도 논리학 농업 농학 니체 다문화주의 다산정약용 다산학 대동서 대우고전총서 대우꿈동산 대우재단 대우학술총서 대한제국 데이비드흄 데이터베이스 데카르트 도교 도시 도시공학 독일 동물학 동물행동학 동북아시아 동아시아 동양 동양철학 라틴아메리카 랑케 래모음집 러시아 러시아어 레이저 로마제국 르네상스 리만 마르크스 마리드프랑스 마키아벨리 막스베버 만엽집 맥시멀리즘 메가라학파 메커니즈즈즘 목민심서 몽고 몽고제국 무역 묵자 문광훈 문명 문명의기원 문자 문학 문헌정보 문화 문화유물론 문화인류학 물리주의 물리학 미국 미니멀리즘 미술 미학 민족 민주주의 바나흐 바도모리 박지향 발굴 발해 방언 백제 법인스님 법학 베트남 벽화 병자호란 보수주의 복지국가 봉건제도 분광학 분자물리학 불교 비교문학 비교언어학 비교종교학 비교학 비트겐슈타인 사법품보 사회 사회계급 사회과학 사회인류학 사회주의 사회학 산업혁명 산업화 삼국시대 상문명 상주사 생리학 생명공학 생명과학 생물 생물학 생체에너지 생태학 생화학 샤머니즘 서교 서양 서양미술 서양철학 서장원교수 서재필 서학 서학사 세계화 소설 소재공학 소크라테스 소피스트 수산업 수학 스탕달 스페인 슬라브어 시민인문학강좌 시베리아 시베리아개발 시장 시장경제 시카고학파 식문화 식물학 신경 신경과학 신동흔 신라 신약성서 신화 실용주의 실증주의 실학 심리 심리학 아담스미스 아동심리학 아랍 아리스토텔레스 아시아 아우구스티누스 아트선재센터 안보 알렉산드르게르첸 알타이어 암각화 양명학 양자 양자물리학 양자역학 양자학 어원론 언어 언어학 엔트로피 여성 여속사 역사 역사언어학 역사주의 역사학 역학 열역학 영국 영국혁명 영어 예술 완도 외교 외교학 우주과학 우주의기원 원철스님 유교 유기물 유기물질 유기화학 유라시아 유럽 유럽연합 유재건 유전자 윤리 윤리학 윤주옥 은대 음악 음악학 음운학 음파 음향학 응용과학 응용화학 의복문화 의상 의식주 의학 이론 이론물리학 이성 이슬람 이슬람교 이승종교수 인간주의 인공지능 인도 인류학 인문학 인상주의 인식론 인지심리학 일본 일본어 입자물리 자본주의 자서전 자연과학 자유주의 재료공학 전기 전라북도 전쟁 전통 전파 절대주의 정다산 정보통신 정보통신기술 정책 정치학 제1차세계대전 제3세계 제국 제국주의 제주도 조선 조형미술 존스튜어트밀 종교 종교학 종말론 종족제도 주거문화 죽음의춤 중국 중국어 중동 중미 중상주의 중세 중화사상 지구과학 지능 지도 지리 지리학 지명 지방 지방행정 지식의지평 지역 지역발전 지질학 진화론 진화심리학 진화학 천문학 천체물리학 철학 청나라 체계이론 체육 총론 춘추전국시대 충청남도 카시러 칸트 컴퓨터 컴퓨터공학 케인즈 쿤스트할오르후스 크로스토크 토지 토지소유 토텐탄츠 톰삭스 통계학 통신사 파장 포스트모더니즘 포스트모던 포스트휴먼 폴리스 풍속 풍수사상 풍수설 프랑스 프랑스혁명 프래그머티즘 프로이트 플라톤 하이에크 학술연구지원 학술지원사업 한국 한국도자제작기술사 한국어 한국의정원 한글 한자 합성소재 해석학 해양법 핵물리학 행복나눔섬지역센터 행정 향약 헬레니즘 혁명 현대 현상학 형이상학 호남실학 홍대용 화엄사상 화학 화학공학 환경 환경공학 환경과학 후설 훈민정음 희곡 희극 힉스입자 힐버트
Scroll to Top
Scroll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