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메가라학파
메가라학파는 서기전 4세기부터 2세기 중반까지, 약 한 세기 반에 걸쳐 활동한 그리스의 철학 학파로, 소크라테스의 제자였던 에우클레이데스가 자신의 고향인 메가라에 세웠다. 이 책은 에우클레이데스를 비롯하여 에우불리데스, 디오도로스 크로노스, 스틸폰 등

나는 시민이다
“이 책은 2019년 대우재단의 지원을 받아 〈그리스와 로마에서 시민으로 사는 것〉이란 주제로 8회에 걸쳐 진행된 정암학당 고전인문학강좌를 바탕으로 씌어졌다. 기원론적으로 보면, 시민이라는 개념과 그에 기초한 공동체는 이미 그리스-로마적 고대에 그

소크라테스 회상
소크라테스의 행적에 대한 크세노폰의 보고는 여러 책으로 이루어졌다. 하지만 여러 책 중에서도 『소크라테스 회상』은 가장 중요한 것으로 꼽혀 왔다. 크세노폰의 『향연 』 이나 『소크라테스의 변론』 등은 플라톤의 저술을 참고해서 쓰였을

삼보황도
옛날에 공자가 『춘추』를 쓸 때 대를 쌓고 새로운 문을 만든 일은 반드시 경(經)에다 기록하여, 농사철을 폐하거나 백성들의 힘을 빼앗는 것을 경계하였다. 이제 진·한 이래 관중과 삼보 지역에 있는 궁전·문궐·누관(樓觀)·연못과 동산에

신경과학철학
신경철학 분야의 선구자인 퍼트리샤 처칠랜드 철학의 뇌 중심주의적 접근이 마음과 의식을 설명하는 데 있어 근본적인 한계를 갖는다는 점을 비판하고 그 대안을 제시하는 책이다. 저자는 처칠랜드의 신경철학의 한계를 극복하는 방안으로 체화주의를

조선후기 의역주팔세보 연구
조선후기는 신분 변동이 급격한 사회로 인식된다. 또 일각에서는 그 같은 급격한 변동·해체는 없었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기술직 중인(中人)들의 족보인 팔세보(八世譜)에 대한 연구는 이러한 견해 차이를 넘어서 신분 변동의 다양성과 개방성을 보여주어,

하이데거의 숙고적 사유-계산적 사고를 넘어서
오늘날 생활세계의 전반에 침투되어 있는 ‘계산적・기술적 사고’의 지배 현상이 당연시되면서,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로봇공학, HCI 연구 등이 눈부시게 발전하고 있다. 이제 ‘사유’ 일반은 한갓 정보와 데이터로 대체된다.이런 기술적・계산적 사고가 주도하는 획일적이고

명· 청 시대 호광 소수민족 지역의 토사와 국가 권력, 1368~1735
한족(漢族)의 그늘에 가려진 중국 소수민족의 역사는 그 자체로서 대단히 흥미로운 주제다. 특히 호광(湖廣) 지역 소수민족의 역사적 의의는 제법 분명하다. 이 책의 연구 목표는 명(明) 왕조 성립부터 청 옹정(雍正) 연간(1723~1735)에 시행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