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혁
/ 대우재단 / 연혁
2022
- 01. 아트선재센터, 《미니멀리즘-맥시멀리즘-메커니즈즈즘 1막–4막》 기획전
- 03. 아트선재센터, 김장언 관장 취임
- 05. 대우재단-스리체어스, 학술 저널 유통 협력 (북저널리즘 외)
- 06. 아트선재센터, 《톰 삭스 스페이스 프로그램: 인독트리네이션》 개인전
- 07. 대우꿈동산, 한수동 대표 취임
- 07. 오송종합사회복지관, 유응모 관장 취임
- 07. GYBM 아세안 통합과정 연수 (베트남 12기)
- 09. 대우재단-한온시스템 사회공헌사업 협력
- 10. 시민 정신건강 증진사업 ‘휴앤힐링’ 시범 운영 (3박4일, 3회차)
- 12. 제2회 김우중 의료인상 시상
- 12. 학술 공동연구 “자본주의의 미래” 발표
- 12. 대우학술총서 등 우수학술도서 3권, 세종도서 1권 선정
* 학술지원 총서 연간 총 8권 출간
2021
- 01. 김선협 제6대 대우재단 이사장 취임
- 03. 학술사업 유튜브 북토크 ‘D-Talks’ 런칭
- 03. 아트선재센터, 천제런 개인전 《상신유신》
- 04. 아트선재센터-쿤스트할오르후스, 교류협력 프로젝트 《Little ASJC X Little KA》
- 07. 오송종합사회복지관-오송어린이집 위탁 운영
- 08. GYBM 아세안 통합과정 연수 (베트남 11기)
- 11. 대우재단-서울대 중앙도서관 ‘대우학술총서가 걸어온 길’ 전시 및 북콘서트
- 11. 대우학술총서 전자책(e-book) 출간 개시
- 12. 제1회 김우중 의료인상 시상
- 12. 대우학술총서 등 우수학술도서 5권, 세종도서 7권 선정
* 학술지원 총서 연간 총 10권 출간
2020
- 03. 아트선재센터, 남화연 개인전 《마음의 흐름》
- 05. 대우꿈동산-한겨레신문, ‘휴심정’과 ‘꿈과휴’ 사업 런칭
- 07. GYBM 연수 (베트남 10기 외 3개국)
- 07. 아트선재센터, 카미유 앙로 개인전 《토요일, 화요일》
- 10. 학술사업 40주년 기념 심포지엄 ‘인간, 새로운 지평’
- 12. 대우학술총서 등 우수학술도서 3권, 세종도서 4권 선정
* 학술지원 총서 연간 총 17권 출간
2019
01. 학술사업 운영위원회 위촉
(위원장: 김광억 / 위원: 이태수, 주경철, 한준)
04. 아트선재-꿈동산 ‘청소년 미술교육’ 시행
07. 대우꿈동산, 대우유소년축구클럽 축구교실 개시 (다문화)
08. GYBM 연수 (베트남 9기 외 3개국)
09. 시공만고(시민과 공직자가 만나는 고전교실) 시행
12. GYBM 총동문회 창립행사 (베트남 하노이 NCC)
12. 시민인문학강좌 ‘크로스토크’ 개최 (총 58회)
12. 대우학술총서 등 우수학술도서 4권, 세종도서 5권 선정
12. 학술지원 총서 연간 총 13권 출간
2018
02. 아트선재센터, 개관 20주년 기념 도서 『커넥트: 아트선재센터 1995-2016』 발간
05. 대통령 표창 수상 (단체: 대우꿈동산)
06. 대우꿈동산, 최순호 감독과 함께하는 유소년 축구교실
07. ‘나를 깨우는 인문학 강좌’ 시행 (이태수 前 서울대 교수)
08. GYBM 연수 (베트남 8기 외 3개국)
10. 대우재단-청주시, 보건복지사업 공동추진 협약
12. 시민인문학강좌 ‘크로스토크’ 개최 (총 69회)
12. 학술지원 총서 연간 총 13권 출간
2017
07. 김선정 아트선재센터 관장, 광주비엔날레 대표이사 선임
08. GYBM 연수 (베트남 7기 외 3개국)
10.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국회의원, 대우꿈동산 방문 (모범기관 견학)
11. 시민인문학강좌 ‘크로스토크’ 런칭
12. 학술지원 총서 연간 총 15권 출간
2016
05. GYBM 태국 과정 신규 개설 및 1기 연수
05. 제8기 베트남 의료진 연수 프로그램 실시
08. 아트선재센터 재개관전 《커넥트1─스틸 액츠》 개최
08. GYBM 연수 (베트남 6기 외 2개국)
10. 아트선재센터 《룸 프로젝트》 런칭
12. 대우학술총서 등 우수학술도서 1권 선정
12. 학술지원 총서 연간 총 9권 출간
2015
01. 장병주 제5대 대우재단 이사장 취임
03. 제1회 베트남 의료진 연수생 동문회 컨퍼런스 개최
08. GYBM 인도네시아 과정 신규 개설 및 1기 연수
08. 대우꿈동산, 다문화 한부모가정 첫 입주
11. 제3회 베트남 현지 의료봉사활동 실시 (웅비병원)
11. 아트선재센터 리노베이션 (~2016.08)
12. 한국학술협의회 학술사업 대우재단으로 이관
12. 학술종합지 『지식의 지평』 웹진으로 전환
12. 학술사업 35주년 기념행사 개최
12. 대우휴먼사이언스 제1권 『종교의 미래』 출간 (이태하)
12. 대우학술총서 등 우수학술도서 4권 선정
12. 학술지원총서 연간 총 13권 출간
2014
09. GYBM 미얀마 과정 신규개설 및 1기 연수
11. 아트선재센터, 로고 리뉴얼 (ASJC)
11. 제15회 석학연속강좌 개최 (고야스 노부쿠니 日 오사카대 교수)
2013
04. 베트남 보건부 장관 등 정부인사 방한, ‘다문화•개도국 보건의료사업’ 시찰
06. 창업진흥원 ‘글로벌 청년창업 활성화 사업’ 참여
08. 아트선재센터, 《리얼 디엠지 프로젝트 2013: 프롬 더 노스》 개최
11. 아트선재센터, 《배너 프로젝트》 런칭
2012
01. GYBM 베트남 1기 연수
02. ‘규장각 새로 읽는 우리 고전’ 제1권 『양화소록』 출간 (강희안 저, 이종묵 역해)
11. 디딤씨앗 보건복지부장관 표창 (단체: 대우꿈동산)
11. 제14회 석학연속강좌 개최 (천라이 中 칭화대 교수/ 거자오광 中 푸단대 교수)
2011
01. 세계경영 강좌 개설 (아주대, 서강대)
05. 제2회 베트남 현지 의료봉사활동 실시 (웅비병원)
10. 제1회 세계경영포럼 개최
11. GYBM 베트남 과정 개설 및 1기 연수생 선발
11. 제13회 석학연속강좌 개최 (박종현 성균관대 교수)
2010
03. 완도 ‘행복나눔섬지역센터’ 개소 (완도대우한의원 폐원)
07. 제1회 베트남 현지 의료봉사활동 (하동병원)
10. 제12회 석학연속강좌 개최 (시드니 민츠 美 존스홉킨스대 교수)
11. 디딤씨앗 보건복지부장관 표창 (대우꿈동산 김순용)
12. 대우학술총서 600권 『우리 학문이 가야 할 길』 출간
12. 대우꿈동산 설립 20주년 기념 도서 『꿈 하나 둘 셋』 발간
2009 | 11 | 제11회 ‘석학연속강좌’ 개최 (이태수 교수, 인제대) |
11 | 제1회 베트남 하노이시 보건국, 협력병원장 초청행사 실시 (이후 매년 정례 시행중) | |
10 | 대우세계경영연구회 설립 | |
5 | 베트남 의료진 연수 프로그램 개시 (이후 매년 정례 시행중) | |
3 | 《아트선재 라운지 프로젝트》 시작 | |
2008 | 11 | 제10회 ‘석학연속강좌’ 개최(로널드 드워킨 교수, 미국 뉴욕대 로스쿨) |
11 | 국내 다문화가족 및 개발도상국 보건의료지원사업 개시 | |
10 | 예술전문서점 더 북스(The Books) 개점 | |
2007 | 5 | 제9회 ‘석학연속강좌’ 개최 (승계호 교수, 미국 텍사스주립대) |
4 | 대우꿈동산, 아동발달지원계좌 (디딤씨앗통장) 실시 | |
1 | 완도대우병원 폐원 (보건지소 확충에 따른 기능 이관) 및 완도대우한의원 개원 | |
2006 | 12 | 《플랫폼 서울 2006: 썸웨어 인 타임》 개최 (2006.12.4-2007.4.1) |
11 | 학술평론지 첫 권 ‘지식의 지평’ 출간 | |
10 | 제8회 ‘석학연속강좌’ 개최 (필립 큔 교수, 미국 하버드대) | |
2005 | 11 | 제7회 ‘석학연속강좌’ 개최 (김우창 교수, 고려대) |
2004 | 10 | 제6회 ‘석학연속강좌’ 개최 (마이클 루스 교수, 미국 플로리다주립대) |
8 | 대우꿈동산 내 ‘봉명지역아동센터’ 개원 | |
5 | 제5회 ‘석학연속강좌’ 개최 (정재식 교수, 미국 보스턴대) | |
2003 | 10 | 제4회 ‘석학연속강좌’ 개최 (모리스 고들리에 교수, 프랑스 고등사회과학연구원) |
1 | 신안대우병원 폐원 (지역 출신 의료진에 기능 이관) | |
2002 | 11 | 제3회 ‘석학연속강좌’ 개최 (다니엘 데넷 교수, 미국 터프츠대) |
2001 | 11 | 제2회 ‘석학연속강좌’ 개최 (볼프하르트 판넨베르크 교수, 독일 뮌헨대) |
10 | 진도대우의원 폐원 (보건지소 신설로 시설 이관) | |
8 | 대우고전총서 첫 권 ‘의식에 직접 주어진 것들에 관한 시론’ (앙리 베르크손 저, 최화 역) 출간 | |
6 | 2001년 봄 ‘석학연속강좌 특별강연’ 개최 (리처드 로티 교수, 미국 스탠퍼드대) | |
1 | 대우학술총서 500권 출간 | |
2000 | 10 | 제1회 ‘석학연속강좌’ 개최 (김재권 교수, 미국 브라운대) |
1999 | 3 | 김욱한 재단 4대 이사장 취임 |
2 | 《주차장 프로젝트》 시작 | |
1 | 무주대우병원 폐원 (교통발달에 의한 외부환경 변화로 지역병원으로 기능 이관) | |
1998 | 12 | 한국학술협의회에 재단 학술사업 기획업무 이관 |
10 | 대우학술총서 400권 출간 | |
10 | 이불 개인전 개최 (1998.10.16-11.15) | |
7 | 복합문화공간 ‘아트선재센터’ 개관 (1998.7.9) | |
7 | 《반향(反響): 개관기념전》 개최 (1998.7.9-7.29) | |
6 | 아트선재센터 준공 (1998.6.12) | |
1996 | 4 | 아트선재센터 착공 (1996.4.17) |
1 | 아트선재센터 설립 허가(1996.1.15) | |
1995 | 5 | 착공을 앞두고 미술관 건축 부지에서 《싹》 개최 (1995.5.19-8.20) |
3 | 대우학술총서 300권 출간 | |
1992 | 5 | 대우꿈동산 첫 입주 |
1991 | 10 | 대우학술총서 200권 출간 |
4 | 대우꿈동산 착공 (1992년 4월 준공) | |
1990 | ✱ | 대우학술총서 29권 출간, 논저 48건, 연구번역 21건, 공동연구 10건, 학회 7건, 독회 20건, 강연 2건, 해외연구 6건, 박사과정장학연구 47건 지원 |
✱ | 병(의)원지역 장학생 97명에게 장학금 지급 | |
12 | ‘대우꿈동산’ 건립 추가부지 확보 (청주시 봉명동 79-12외 4필지 1,197평) | |
12 | 서울대 사회복지연구소에 ‘청소년가장 가정을 위한 아파트 생활지도 사업에 관한 연구’ 위촉 | |
8 | ‘대우꿈동산’ 건립 부지 확보 (청주시 봉명동 79-16외 8필지 2,446평) | |
4 | 제18회 보건의 날 국민훈장 석류장 수훈 (무주대우병원) | |
2 | 재단 목적사업에 ‘사회복지사업’ 추가 김우중 설립자의 저서 ‘세계는 넓고 할 일은 많다’ 인세 수입 전액 출연으로 청주 소년소녀가장 아파트 ‘대우꿈동산’ 추진 |
1989 | ✱ | 대우학술총서 18권 출간, 논저 48건, 연구번역 11건, 공동연구 6건, 주제별논문 1건, 학회 11건, 독회 20건, 콜로키움 5건, 강연 2건, 해외연구 4건, 국제공동연구 2건, 교육기관 4건 지원 |
✱ | 병(의)원지역 장학생 98명에게 장학금 지급 | |
12 | 신안대우병원, 완도대우병원, 진도대우의원 등 3개 병(의)원장 수산청장 감사패 수상 (낙도 어촌 보건향상 기여 공로) | |
12 | 진도대우의원 치과 개설 | |
4 | 제17회 보건의 날 국무총리 표창 (‘도서·오지사업’ 부문) | |
1 | 재단 목적사업에 ‘박물관, 도서관, 미술관 지원사업’ 추가 | |
1988 | ✱ | 대우학술총서 30권 출간, 논저 50건, 연구번역 9건, 공동연구 9건, 현대학문의 현황 1건, 학회 12건, 독회 20건, 콜로키움 3건, 해외연구 10건, 향토사 27건, 박사과정장학연구 58건, 교육기관 2건 지원 |
✱ | 병(의)원지역 장학생 102명에게 장학금 지급 | |
12 | 한국출판기자단 ‘올해의 책’ 선정 (1988년 출간 대우학술총서 30권) | |
12 | 한국학술협의회 제1회 학협 강좌 (자유의 문제) 개최 (이후 매년 학협 강좌 지원) | |
3 | 대우학술총서 100권 출간 | |
3 | 재단 목적사업에 ‘교육기관 지원사업’ 추가 | |
1 | 이석희 재단 3대 이사장 취임 | |
1987 | ✱ | 대우학술총서 18권 출간, 논저 30건, 연구번역 20건, 공동연구 2건, 주제논문집 2건, 학회 6건, 독회 21건, 강연 6건, 해외연구 3건, 향토사 40건, 박사과정장학연구 86건, 교육기관 1건 지원 |
✱ | 병(의)원지역 장학생 98명에게 장학금 지급 | |
12 | 제1회 한국과학상 대상 수상 (‘소립자와 게이지 상호작용’, 김진의) 한국출판문화상 저작상 수상 (‘洪大容평전’, 김태준) | |
11 | 한국학술협의회 전체대회 개최 (학문 발전의 과제) | |
10 | 연세대 ‘다산기념 강좌’ 개설 지원 (1988년부터 실시되는 교육기관 지원의 효시) | |
5 | 제1회 향토사연구회 전국대회 지원 (이후 한국향토사연구전국협의회가 구성돼 매년 전국대회 지원) | |
4 | 미술사학연구회 연속강좌 실시 (이후 연속강좌 지원 본격화, 1987년 4건 지원) | |
1986 | ✱ | 대우학술총서 16권 출간, 논저 40건, 연구번역 11건, 공동연구 11건, 현대학문의 현황 1건, 학회 5건, 독회 19건, 강연 4건, 해외연구 6건, 향토사 6건, 주제별 논문집 3건, 콜로키움 2건, 박사과정장학연구 92건 지원 |
✱ | 병(의)원지역 장학생 98명에게 장학금 지급 | |
12 | 한국학술협의회 설립 | |
9 | 제1회 박사과정 장학연구지원, 92명에게 장학금 수여 (이후 매년 50-100명 지원) | |
6 | 제1회 향토사연구토론회 개최 (이후 12월 2회 토론회 지원, 전국 규모 향토사 연구조직 기반 조성) | |
3 | 다산 近世 150주기 다산학 학술발표회 개최 (이후 12월까지 2회 공동연구 발표, 9회 개별연구 발표회 진행) | |
1 | 분야별 학술사업 기획간담회 실시 (이후 7월까지 18개 분야에서 간담회 개최) | |
1985 | ✱ | 대우학술총서 21권 출간, 논저 42건, 연구번역 14건, 학회 4건, 해외연구 6건, 국제공동연구 1건, 독회 8건 지원 |
✱ | 병(의)원지역 장학생 175명에게 장학금 지급 | |
12 | 강연실, 세미나실, 자료실, 연구실 등 학술시설 확보 | |
10 | 대통령 표창 (문화예술의 창달·보급을 통한 국가발전 기여 공로) | |
7 | 대우재단빌딩 준공 (9월 IMF총회 회의장으로 활용) | |
1984 | ✱ | 대우학술총서 32권 출간, 논저 52건, 연구번역 32건, 공동연구 6건, 학회 5건, 해외연구 4건, 외국학자초청 1건, 해외한국학회 2건 지원 |
✱ | 병(의)원지역 장학생 197명에게 장학금 지급 | |
11 | 한국일보 제25회 한국출판문화상 수상 (자연과학분야 대우학술총서 전체) | |
7 | 미국 Ford재단과 국제공동연구 진행, ‘미국인의 생활과 실용주의’ | |
7 | 심포지엄 개최 (이후 국제교류지원이 본격 추진되어 해외연구, 외국학자초청지원 등으로 확대) | |
1983 | ✱ | 대우학술총서 3권 출간, 논저 41건, 연구번역 3건, 공동연구 6건 지원 |
✱ | 병(의)원지역 장학생 192명에게 장학금 지급 | |
8 | 대우학술총서 첫 권 ‘문학사회학’ (김현) 출간 | |
6 | 무주대우병원 치과 개설 | |
1982 | ✱ | 논저 87건, 연구번역 3건, 공동연구 5건, 교수연구회 4건 지원 |
✱ | 병(의)원지역 장학생 188명에게 장학금 지급 | |
11 | 도서출판 민음사와 대우학술총서 출판대행계약 체결 | |
11 | 다산학 학술회의 개최 (이후 재단의 중점지원분야로 공동연구, 논저 등 다양한 형식으로 지원) | |
10 | 대우문화센터 (현 대우재단빌딩) 착공 | |
8 | 제1회 이론물리학 심포지엄 지원 (이후 매년 정기적으로 지원) | |
5 | 신안대우병원 치과 개설 | |
2 | 대우문화복지재단에서 대우재단으로 명칭 변경, 대우문화센터 (현 대우재단빌딩) 건립 추진 보고 | |
1981 | ✱ | 논저 62건, 연구번역 5건, 공동연구 1건, 일반연구 9건, 자료집 2건 지원 |
✱ | 병(의)원지역 장학생 179명에게 장학금 지급 | |
8 | 제1회 전국 순수 및 응용수학 워크숍 개최 (이후 매년 정기적으로 지원, 계명대 동서문화관) | |
4 | 학술사업자문위원회 (신일철, 노재봉, 김용준(상근), 목영일) 구성, 매주 화요일 정례회의 개최 | |
4 | 학술진흥 기획간담회 개최 (이후 8월까지 10여회에 걸쳐 기초학문분야 조사 관련 간담회, 인문사회과학분야 간담회, 자연과학분야 간담회 등 통해 학술사업 진행 방향 확정 | |
3 | 기존 목적사업인 도서·오지지역사업에 ‘학술사업’을 새로운 목적사업으로 추가 | |
1 | 기획연구위원회, 신규 학술사업에 관한 ‘사업기획연구보고서’ 제출 | |
1980 | ✱ | 병(의)원지역 장학생 165명에게 장학금 지급 |
10 | 김우중 설립자의 사재 200억원 상당액 추가 출연 및 신규사업을 위한 기획연구위원회 (조순 위원장, 신일철, 이철주, 조완규, 목영일, 노재봉) 구성 | |
8 | 김우중 설립자, 전 재산 사회환원 발표하면서 이를 한국 기초학문 진흥에 써줄 것 희망 | |
3 | 이용희 재단 2대 이사장 취임 | |
3 | 완도대우병원 개원 (20병상, 내과, 소아과, 외과, 산부인과) |
1979 | ✱ | 병(의)원지역 장학생 110명에게 장학금 지급 |
9 | 병원건립지역 보건사업활동 시작 | |
4 | 진도대우의원 개원 (10병상, 내과, 소아과, 외과, 산부인과) | |
3 | 무주대우병원 개원 (20병상, 내과, 소아과, 외과, 산부인과) | |
3 | 신안대우병원 개원 (30병상, 내과, 소아과, 외과, 산부인과) | |
1 | 병원건립사업과 병행, 병원건립지역 장학사업 시작 | |
1978 | 11 | 완도대우병원 기공 (1980년 1월 준공) |
9 | 진도대우의원 기공 (1979년 1월 준공) | |
7 | 신안대우병원 기공 (1979년 1월 준공) | |
6 | 무주대우병원 기공 (1978년 11월 준공) | |
3 | 병원건립기회위원회 (위원: 김효규 위원장, 최삼섭, 김일순, 안성규, 유승흠) 설치 | |
3 | 보건사회부로부터 재단 설립 허가 취득 (명칭: ‘대우문화복지재단’) | |
2 | 재단 설립 발기 (이사: 이한빈, 김보현, 김종규, 김효규, 조순 / 감사: 감구진, 이우복) 및 이한빈 재단 초대 이사장 취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