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일 MZ세대’ 시민인문학강좌 개최(9/6, 9/12, 9/26)

한중일 MZ세대는 각각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을까?

현재 동아시아 3개 국가 모두 사회적으로 만만치 않은 문제를 안고 있습니다.

일본은 버블이 꺼지면서 활력을 잃은 지 오래되었고, 한국과 중국 또한 국내외의 여러 악재를 만나 지난 수십 년 이어온 고도 성장이 더 이상 불가능해졌습니다. 이런 힘겨운 상황에서 특히 장차 국가와 사회의 중추가 될 청년세대, 이른바 MZ세대가 심각한 곤경에 처한 것으로 보입니다. 이들은 앞세대와 다른 차원의 경쟁과 불안, 좌절감을 느끼고 살아가는 한편, 그들 내부적으로도 분열과 충돌을 겪기도 합니다. 우리나라 젊은 세대의 격렬한 젠더 갈등이 대표적이죠. 게다가 한중일 3국의 MZ세대 간에도 서로 충돌하는 상황입니다. ‘한중일 MZ세대’는 이 복잡하고도 미묘한 문제에 대한 분석의 필요성에서 출발합니다.

대우재단이 2023년 9월 진행하는 시민인문학강좌 ‘한중일 MZ세대’는 대우재단에서 발행하는『지식의 지평』제32호의 기획특집 콘텐츠입니다.

연구자들이 진단한 한중일 각 국가 MZ세대의 현주소를 확인하며 함께 성찰하고자 하오니 관심있는 분들의 많은 신청 부탁드립니다.

'한중일 MZ세대'

시민인문학강좌
  • 대상: 주제에 관심있는 시민 누구나 (30명, 선착순)
  • 일시: 2023년 9월 6일, 9월 12일, 9월 26일/ 오후 7시 30분 ~ 9시 (총 3회)
  • 장소: 대우재단 ORBIS, 2층 (종로구 자하문로 10길 30)

강좌 구성

‘한중일 MZ세대’ 강좌는 총 3개의 강좌로 구성됩니다.

제1강은 한국의 MZ세대의 특징을 분석하고 사회구조적 측면에서 MZ세대의 세대정체성을 파악합니다. 또, 기성세대와 차별화 된 MZ세대의 정치참여방식과 소비행위의 연결성을 살펴볼 예정입니다.

제2강은 한국과 중국 청년들의 갈등을 개략적으로 훑으며 중국의 청년세대와 반중 및 혐중 정서의 문제를 파악합니다. 중국의 세대구분과 청년세대들이 가지고 있는 소비주의와 애국주의를 ‘온라인 민족주의’라는 관점으로 분석하고자 합니다.

제3강은 일본의 저성장기에 자라난 통칭 ‘MZ세대’들을 세분화하여 분석하고 기성세대와 구별되는 차이점을 살펴볼 예정입니다. 일본 MZ세대의 특징과 대외인식, 그리고 변화된 한일관계의 양상을 강연을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신청 방법

Step 1. 하단의 신청하기 클릭 후 정보입력

Step 2. 수강료 입금 (국민은행 002-01-0493-958 예금주: (재)대우재단)

  • 수강료: 회차당 1만원
    (3회차 모두 신청 시, 2만원)
  • 신청 마감: 회차별 강좌 전날까지 수강료 입금
    (1강 9월 5일, 2강 9월 11일, 3강 9월 25일. 정원 초과시 조기 마감)
  • 참석 확정: 입금 확인후 문자로 개별 안내 예정

※ 문의: 대우재단 기획운영1팀

jykim@daewoofound.com / 02-6239-7703/7708

연구를 마치며: 자서전과 반성적 회고

1. 집필의 계기, 혹은 배경은 무엇인가요? 인문학에 관한 한, 문학이든 예술이든, 철학이든 역사든, 당사자 자신의 실감이 배어있지 않는 언어를 나는…

2023년 대우재단 정기학술연구지원 공모

대우재단은 1981년부터 기초 학문 분야의 연구 진작을 위해 학술 연구 활동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연구지원의 결과물은 심사를 거쳐 ‘대우학술총서’와 ‘대우고전총서’로 출간합니다.…

연구를 마치며: 소피스트 단편 선집

1. 『소피스트 단편 선집』 연구 작업의 주안점은? 고대 희랍에서 인간이 갖춰야 할 훌륭함은 흔히 ‘아레테’(‘덕’ 혹은 ‘탁월함’)로 표현되었는데, 처음에는 상고…
Scroll to Top
Scroll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