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주의의 미래’ 시민인문학강좌 개최(6/7)

자본주의에 미래는 있을까?

21세기 들어서 자본주의의 한계를 지적하는 목소리는 끊이지 않았지만, 자본주의는 놀라운 생명력을 보여주었습니다. 하지만 오늘날의 자본주의는 그 어느 때보다 어려운 질문에 답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소득 양극화를 줄여 보다 공평한 자본주의는 될 수 없을까? 자본주의에서 노동의 보람, 일과 여가의 균형을 제고할 방법은 없을까? 자본주의의 변모에 따라 기업은 어떻게 변화할 것인가? 민주주의가 후퇴하지 않도록 자본주의가 도울 방안은 없는가? 기후 온난화와 환경 파괴 추세를 되돌릴 수 있도록 자본주의를 개선할 수는 없을까? 인류에게 더 나은 미래를 약속하기 위해 자본주의는 어떻게 바뀌어야 할까?

대우재단이 2023년 시민인문학강좌 크로스토크 첫번째 특강으로 ‘자본주의의 미래’ 강연을 엽니다. ‘자본주의의 미래’는 대우재단 학술운영위원회가 기획한 미래 시리즈 공동연구의 첫 번째 주제이기도 합니다.

석학들이 진단한 자본주의의 현주소와 미래를 나누고 함께 성찰하고자 하오니 관심있는 분들의 많은 신청 부탁드립니다.

'자본주의의 미래'

시민인문학강좌 크로스토크
  • 대상: 주제에 관심있는 시민 누구나 (40명, 선착순)
  • 일시: 2023년 5월 24일/ 6월 7일, 6월 21일/ 오후 7시 30분 ~ 9시 (총 3회)
  • 장소: 대우재단 ORBIS, 5층 대우학술라운지 (종로구 자하문로 10길 30)

강좌 구성

‘자본주의의 미래’ 강좌는 총 3개의 강좌로 구성됩니다.

제1강은 경제체제로서 자본주의의 성과를 평가하고, 자본주의가 직면한 세 가지 주요 도전을 제시하고 분석합니다. 동시에 민주주의와 자본주의 관계를 유형별로 파악한 후 이 두 제도의 상호 조응되는 관계를 살펴볼 예정입니다.

제2강은 자본주의 첨단이라고 할 수 있는 ICT기업에서의 노동의 변화를 분석합니다. 미국 실리콘밸리 ICT 기업과 동아시아 ICT 기업을 대상으로 기업의 노동환경과 여가에 미치는 영향, 빛과 그늘을 살펴봅니다. 그 과정에서 최근 기업 변화에 주목할 예정입니다. 위기와 전환 과정을 겪으며 자본주의 경제와 기업은 어떻게 바뀌어 가고 있는지 공진화 하는 방향을 가늠해 봅니다.

제3강은 기술의 발전과 자본주의의 변모를 다루면서 범용기술과 자본주의의 불평등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고 해결방안을 제안하고자 합니다.

신청 방법

Step 1. 하단의 Google Forms 정보 입력 

Step 2. 수강료 입금 (국민은행 002-01-0493-958 예금주 : (재)대우재단)

  • 수강료: 회차당 1만원
    (3회차 모두 참석시, 강사들이 집필한 『자본주의의 미래』 책 증정. 8월 출간 예정)
  • 신청 마감: 회차별 강좌 이틀 전까지 수강료 입금
    (1강 5월 22일, 2강 6월 5일, 3강 6월 19일. 정원 초과시 조기 마감)
  • 참석 확정: 입금 확인후 이메일로 개별 안내 예정

※ 문의: 대우재단 기획운영1팀 msy@daewoofound.com 02-6239-7703

연구를 마치며: 도덕 원리에 관한 탐구

『도덕 원리에 관한 탐구』를 번역한 계기 흄(David Hume)의 『도덕 원리에 관한 탐구』 영문판은 석사과정 때부터 늘 책장에 꽂혀 있었다. 대학원을…

연구를 마치며: 한국도자제작기술사

이 책의 저술 배경은 무엇인가요? 이 책의 저술 배경은 저자의 삶의 궤적에 나타난 변곡과 연관이 있다. 적성과 상관없이 진학했던 서울공대…

대우재단-규장각한국학연구원, '새로 읽는 우리 고전 총서' 연구출판 협약

지난 3일, 대우재단(이사장 김선협)과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원장 이창숙)이 ‘새로 읽는 우리 고전 총서 연구 및 출판’ 협약식을 가졌습니다. ‘새로 읽는 우리…
Scroll to Top
Scroll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