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 중세 문학 최초의 여성 작가,
마리 드 프랑스와 그녀의 열세 편의 래(Lai)를 만나다
개인, 사랑, 여성, 자연, 초자연, 마법, 인간의 도리를 주제로 한 중세 문학을 떠올릴 수 있는가? 여성작가가 쓴 중세 궁정문학은 어떨까?
12세기의 궁정문학을 대표하는 장르 중 하나인 ‘래(lai)’는 짧고 함축적인 이야기이다.
인간 말을 하는 사슴이나 스스로 목적지를 찾아가는 배(「기주마르」), 일주일의 반은 잘생긴 귀족 영주로 나머지 반은 숲속에서 늑대로 사는 늑대인간 (「비스클라브레」), 가난한 기사를 순식간에 부자로 만들어 주는 아름다운 요정 여왕(「랑발」), 매로 모습을 바꿔서 인간 연인을 찾아오는 기사와 그가 다스리는 신비로운 성(「요넥」), 목에 편지를 매달고 연인들 사이를 이십 년 동안 오가는 백조(「밀롱」), 죽은 짝을 꽃으로 살려내는 족제비(「엘리뒥」) 등 짧은 이야기가 『래 모음집』에 담겨있다.

래(lai) 속 주인공들은 현실적으로 만날 수 없는 연인을 그리워하며 눈물짓고, 진실한 사랑이 왔을 때 목숨을 다해서 지켜내고, 따돌림과 차별을 당해서 괴로워하고, 타인의 성공에 질투하고, 명성을 좇다 소중한 것을 잃는 실수를 하고, 측은한 마음에 자신의 자리를 내어준다. 작품 속 인물들이 성에 사는 봉건 귀족이나 왕족이라는 점을 제외하면, 본질적으로 그들은 21세기를 하는 우리네와 별반 다르지 않다.
래 장르를 만들어 낸 마리 드 프랑스(Marie de France, fl. 1160-1215)는 12세기 후반에 잉글랜드 왕실과 귀족층을 주요 독자층으로 삼고, 자신의 모국어인 앵글로·노르만어(Anglo-Norman, 고프랑스어 방언 중 하나)로 작품을 쓴 것으로 추정되는 귀족 여성 작가이다.
마리의 『래 모음집』은 총 다섯 개의 중세 필사본에 수록되어 전해졌다. 전문적인 필사자(筆寫者)가 깃털 펜으로 양피지에 한자씩 써 내려간 필사본은 필사자와 전사, 편찬하는 사람에 따라 다른 의미로 해석되기도 한다. 동아시아에서 처음 번역, 출판된 『래 모음집』의 옮긴이 윤주옥 박사는 현대의 필사자가 되어 표기법부터 단어의 의미와 쓰임 하나하나를 확인하며 마리의 글을 충실히 전하고자 한다.
『래 모음집』 강좌를 통해 마리 드 프랑스라는 작가와 그녀의 작품을 알아가고, 중세 문학의 서정성을 새로이 발견하는 시간이 되길 바란다.
마리 드 프랑스의 『래 모음집』
대우재단 시민인문학강좌
- 강좌명: 마리 드 프랑스의 『래 모음집』(대우고전총서 59)
- 일시: 2023. 7. 19(수), 오후 7:30~9:00
- 장소: 대우재단빌딩 오르비스 5층 대우학술라운지 (서울시 종로구 자하문로10길 30)
- 강사: 윤주옥(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전문 연구원)
- 수강료: 1만원 (수강생 중 추첨을 통해 『래 모음집』 증정)
- 정원: 40명
강사 소개
윤주옥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전문연구원)
서강대학교 영문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미국 매사추세츠 주립대학에서 중세영문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연세대학교 HK연구교수와 서강대학교 대우교수를 지냈다. 마리 드 프랑스와 아서 왕 문학을 포함한 중세문학과 중세 문자문화가 주된 연구 분야이다. 주요 저역서로 『서양의 문자 문명과 매체』(2020, 공저), 『세계의 언어 사전』(2016, 공저), 『커뮤니케이션의 편향』(2016, 역서), The Little Prince(2015, 영어 역서), 『문자를 다시 생각하다』(2013, 역서, 2014년 세종도서) 등이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Disgust and the Werewolf’s Wife in Marie de France’s Bisclavret”(2020), “Medieval Documentary Semiotics and Forged Letters in the Late Middle English Emare”(2019), 「서양 중세 문학과 여성 지식인: 12세기 마리 드 프랑스를 중심으로」(2019) 외 다수가 있다.
수강 신청 기간
2023. 7. 5(수)~7. 18(화)
※ 수강료 납부 후 수강 신청을 취소하실 경우, 강좌일 전일까지 취소 의사를 밝혀주셔야만 환불 처리가 가능합니다.
수강 신청 방법
1. Google Forms(https://forms.gle/K1Lwzh5cFSvadpKZ9)를 통해 수강 신청
2. 대우재단 계좌로 수강료 송금 (10,000원)
- 계좌번호 : 국민은행 002-01-0493-958 (예금주 : (재)대우재단)
- 예금주 ‘㈜대우재단’ 확인후 송금해주시기 바랍니다.
- 수강 정원(40명)을 초과하는 경우 수강 신청 접수가 중지될 수 있습니다.
강좌 관련 문의
- 전화 : 02-6239-7703/7708
- 이메일 : jykim@daewoofound.com